$\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관자원을 중심으로 한 농촌마을들 간의 네트워크 잠재력 분석 - 충청남도 당진군, 서산시, 태안군을 중심으로 -
Network Potential Analysis among Agricultural Villages based on Landscape Resources - Focused on Dangjin, Seosan, and Taean in Chungchungnam-do Region-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3 no.3, 2017년, pp.1 - 12  

이상우 (건국대학교 산림조경학과) ,  전진형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김상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유진 (국립 강릉원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network potential among agricultural villages focused on landscape and amenity resources. For this study, we conducted Social Network Analysis (SNA) utilizing existing landscape resource database. As a result of the study, major landscape types shared among vi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과 연계되어서 농촌의 활성화를 위한 하나의 요소로 역할을 할 수 있는 경관을 지시하고자 사용되었다. 당진 군의 경우, 주거지 (913.
  • 이 단계는 농촌경관자원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서비스를 활용하여 각마을이 보유한 다양한 자원의 유형 중 선별된 경관자원의 유형과 자원의 양을 바탕으로 경관자원 표를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두번째 단계에서는 마을들이 보유한 경관유형과 자원의 양을 바탕으로 SNA를 통해 숨어있는 연결 구조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SNA 분석을 위해서 파이썬 언어에 기반한 UCINET, Pajek 등의 프로그램이 개발되었으며, 국내에서는 국내에서 개발된 Netminer 4.
  • 본 연구는 개별 마을 단위 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농촌 마을들 간 상호보완적 네트워크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1) SNA 분석의 농촌진흥청 경관자원 데이터에의 적용 2) 도출 가능한 결과 및 결과의 활용 가능성 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 본 연구는 경관요소들을 정량화하여 수치로 도출함으로서 마을들 간 연계에 있어 보다 객관적인 근거를 도출한다는 데에 의의를 두고 있다. 이에 더해, 2006년부터 농업 진흥청에서 꾸준히 축적해 온 경관자원 데이터베이스의 활용도를 높인다는 데에도 의의가 있다.
  •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행정적 경계가 아닌, 어떤 생태적 이슈 혹은 사회 문화적 자원을 중심으로 한 지역 마을들 간의 연계가 필요한 부분에 있어서 SNA 분석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에 동참하면서, 특히, 지금까지 조사된 농촌 진흥청의 경관자원 데이터에 근거하여 마을들 간의 SNA 분석이 어느 정도까지 이루어질 수 있고, 도출 가능한 결과 및 의의는 무엇인지, 보다 나은 결과의 도출을 위해서, 기존 경관자원의 조사 및 평가에 어떠한 변화가 필요한지 살펴보는 데에 의의를 두고 있다.
  • 본 연구는 최근 농촌의 변화에 대응하는 하나의 전략으로, 농촌 마을들 간의 경관자원을 바탕으로 한 연계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최근 빅데이터 분석에 활용되고 있는 SNA를 경관자원 데이터에 적용하여 결과의 활용성을 살펴보고, 기존 데이터의 한계 및 개선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연결 중심성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결 중심성은 노드와 직접 연결되는 노드 수에 근거해 단순하게 측정할 수도 있고, 각 연결에 가중치를 반영하여 산출할 수도 있다.
  •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행정적 경계가 아닌, 어떤 생태적 이슈 혹은 사회 문화적 자원을 중심으로 한 지역 마을들 간의 연계가 필요한 부분에 있어서 SNA 분석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에 동참하면서, 특히, 지금까지 조사된 농촌 진흥청의 경관자원 데이터에 근거하여 마을들 간의 SNA 분석이 어느 정도까지 이루어질 수 있고, 도출 가능한 결과 및 의의는 무엇인지, 보다 나은 결과의 도출을 위해서, 기존 경관자원의 조사 및 평가에 어떠한 변화가 필요한지 살펴보는 데에 의의를 두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촌계획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는 이유는? 인구감소, 고령화, 도농 소득격차 심화 등 부정적 상황이 지속되고, 이와 함께 젊은 층의 귀농수요 증가, 최신 농업기술 및 신유통망의 발전 (스마트 팜, 로컬푸드 직매장, 커뮤니티 비즈니스 등) 등의 새로운 변화가 진행됨에 따라 농촌계획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농촌 변화에 대한 대응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계획적 측면에 있어서 다양한 연구들 (Heo et.
행정적 경계를 넘어 경관자원을 바탕으로 한 농촌계획이 중요한 이유는? 농촌경관은 지역환경, 생활형태, 인구구성 등 다양한 요소들의 영향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행정적 경계를 넘어서, 축적되어 온 경관자원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연계 및 네트워크,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농촌계획이 중요하다.
“찾아가고 싶은 농촌, 아름다운 경관 가꾸기: 농촌계획의 실제”에서 제시한 농촌경관이란? 2015년 농진청에서 발행된 “찾아가고 싶은 농촌, 아름다운 경관 가꾸기: 농촌계획의 실제”에 따르면 농촌경관은 인간이 자연과 경쟁 및 조화를 이루며 오랜 기간에 걸쳐 일구어 낸 경지형태, 영농형태, 취락구조, 생활양식 등의 여러 가지 요소가 긴밀한 관계를 이루고 누적되어 나타난 생활 속의 모습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김상범 외, 2015). 이렇게 오랜 시간 축적되어온 농촌경관은 도시와는 차별화 된 농촌 계획 및 사업을 추진하는데 있어 중요한 밑거름이 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O. Lee. (2013). Agricultural Business Diversification and Integration Policy in Japan. Journal of Agricultural,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s, 25(2), 78-92. 

  2. Gang-Hee Gwak. (2015). A Study on the Types of Network Management Organization in Tourism Villages: A Case Study of Tourism Villages at Local and Japan.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9(11), 49-58. 

  3. Jieun Kim, Namgyu Kim, & Yoonho Cho (2014). User-Perspective Issue Clustering Using Multi-Layered Two-Mode Network Analysis. J Intell Inform Syst, 20(2), 93-107. 

  4. Jong-Im Yang, Jung-Hee Lee, & Dae-Yong Hwang. (2014). Empirical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for 6th Industrialization of Rural Agricultural Resources : Focus on the Field Experts and the Complementary Deman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0(3), 111-120. 

  5. Joo-nyung, H.E.O., & Yong-lyoul, K. I. M. (2016). Analysis of Priorities of the 6th Industrialization Policies for Agriculture through AHP.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2(1), 113-120. 

  6. Kyoung-Chan Kim, Seok-Ho Cho, Byeong-Hun Son, Yong-Hoon Son (2015).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Japanese Policy for the Activation of Sixth Industr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1(2), 149-162. 

  7. Kyung Hoon Han, Young Su Seo, & Geun Byung Park. (2015). Subway Stations Network Structure Analysis b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Conference Proceedings, 34-40. 

  8. Lee, S. H., Choi, J. Y., Yoo, S. H., & Oh, Y. G. (2013). Evaluating spatial centrality for integrated tourism management in rural areas using GIS and network analysis. Tourism Management, 34, 14-24. 

  9. Meejeong Park, Sang Bum Kim, Eun Ja Kim, Shinho Rhee, Yi Song, Chang Su Lim, Jin Ah Choi, & Hyun Seung Chin. (2014). The Current State of the Korean Rural Amenity Resource Databas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0(4), 263-276. 

  10. Minor, E. S., & Urban, D. L. (2008). A graph­theory framework for evaluating landscape connectivity and conservation planning. Conservation biology, 22(2), 297-307. 

  11. Myung-Sook Jeon. (2014). Medical Tourism Development through Agricultural Tourism Resources -Based on K-FARM NURI Project. Jorunal of Photo Geography , 24(4), 15-26. 

  12. Rathwell, K. J., & Peterson, G. D. (2012). Connecting social networks with ecosystem services for watershed governance: a social ecological network perspective highlights the critical role of bridging organizations. Ecology & society, 17(2), 24. 

  13. Sang-Bum Kim. (2005). Research Article: The Study of Using Local Resource's Information for Rural Village Activ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3(4), 104-111. 

  14. Sang Bum Kim, Eun Ja Kim, Meejeong Park, Chang Su Lim, Jin Ah Choi, & etc (2015). Making Attractive and Beautiful Rural Landscape: Rural Landscape Planning Practiv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15. Sang-Hyun Lee, Jin-Yong Choi, Seung-Jong Bae, & Yun-Gyeong Oh. (2009). Analyzing the Spatial Centrality of Rural Villages for Green-Tourism using G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Rural Amenity and Human Resourc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5(1), 47-59. 

  16. Sang-Kyu Eun, Soo-Jin Kim, & Seung-Jong Bae. (2016). Study of Trade Network among Agricultural Product and Export Attribute Effect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22(3), 107-118. 

  17. Sun Moo Ryu, Sung Gi Kim, Young Il Park, & Hee Jung Ryu. (2002). How to Make Agriculture, the sixth Industry and to Adopt Multilayered Administration. Korean Rural Tourism Association, 9(1), 1-21. 

  18. Sung-Kuk, Kim. (2013). A Social Network Analysis for Fishery commodities International Trade Network. Korea Association of Maritime Business, 27-56. 

  19. Young-Il Song, Min-Ah Choi, Hong-Ju Kim, & Ju-Ho Im. (2014). Linking Small and Midium sized Urban development by the urban network system,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Land & Housing Institute. 

  20. Young Ju Shim, Jin Hee Jo, Jeng Ju Kwon, & Hee Yun Hwang . (2012). Analysis of Spatial Boundary of Conurbation Regions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SNA) Methods -Focused on Cases of jeollabuk-do Province-.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6(2), 95-105. 

  21. Dangjin city webpage www.dangjin.go.kr 

  22. Nongsaro, Nong-Chon-Daum Resource Search Service, http://www.nongsaro.go.kr 

  23. Seosan city webpage www.seosan.go.kr 

  24. Taean city webpage www.taean.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