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숙성용기를 달리한 전통 쌀 증류식 소주의 숙성 중 이화학 특성 및 향기성분의 변화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distilled spirit matured in oak and stainless steel container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9 no.4, 2017년, pp.369 - 376  

강선희 (한국식품연구원 우리술연구팀) ,  김재호 (한국식품연구원 우리술연구팀) ,  이애란 (한국식품연구원 우리술연구팀) ,  김아라 (한국식품연구원 우리술연구팀) ,  김태완 (한국식품연구원 우리술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통 쌀 증류식 소주를 제조하여 오크통에 숙성시킴으로써 숙성 중에 증류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향기성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입국(Aspergillus luchuensis)과 선발된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Y88-4)로 담금한 발효주를 감압 증류하였다. 제조된 증류주는 오크통과 스테인리스통에 12개월 간 실온 숙성 하였다. 숙성 12개월 후 숙성 전에 비해 MSO (Maturated distilled spirits in Oak)와 MSS (Maturated distilled spirits in stainless) 모두 알코올과 pH가 감소하였고, 산도, 전기전도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손실량, 탁도와 적색도, 황색도, 퓨젤유에서 MSO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MSS는 변화가 없었다. 향기성분은 ester 류 20종, alcohol 류 7종, acids 류 2종, 기타 5종으로 총 34종의 향기성분이 검출되었다. 12개월 숙성 후 아세트산 에틸, 페닐에틸 알코올이 감소하였고, 카푸릴산 에틸은 증가하여 향기성분에 변화를 나타냈다. 특히 oaklacton과 푸르푸랄은 MSO에서만 검출되어 오크 숙성시 발생하는 특징적인 향기성분으로 사료된다. 전통 쌀 증류주의 오크통 숙성은 알코올 및 손실량은 컸으나, 오크통의 다양한 물질과 반응하면서 색도 및 향기성분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이로써 숙성 용기의 선택이 숙성 증류주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며, 숙성과정을 통해 다양하고 특색있는 주류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turation of distilled spirit can generate diverse flavors and tastes. Rice Soju was matured in oak casks (MSO) and stainless steel containers (MSS) for one year at ambient temperature. Ipguk (Aspergillus luchuensi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Y88-4 were used, and reduced pressure ($110{\p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쌀 증류식 소주를 오크통에 숙성시킴으로써, 숙성 과정 중의 증류주의 물리 화학적인 변화 특성 및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전통주의 고부가가치를 창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숙성은 실온보관으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지 않은 밀실에서 실시하였으며, 3개월 단위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오크통에 숙성시킨 증류주는 maturated distilled spirits in oak (MSO)로, 스테인리스강 통에 숙성시킨 증류주는 maturated distilled spirits in stainless (MSS)로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증류식 소주는 어떤 장점이 있는가? 최근 경제발전 및 사회변화에 따른 소비자들의 다양화와 고급화 요구에 따라 증류식 소주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증류식 소주는 약, 탁주에 비해 색이 맑고 알코올(alcohol) 함량이 높아 저장성이 우수하다. 또한 약재나 과일 등을 침출하여 다양하게 발전 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2,4). 더불어 증류주는 숙성과정을 통해 증류주의 맛과 향, 색이 변화하여 특색있고 고급화 된 주류제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국내 소비자의 기호 충족을 넘어 해외 진출을 위한 품질향상 및 표준화 등에 관한 기반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오크통에서의 숙성과정은 어떠한 과정이 복합적으로 일어나는 것인가? 숙성 용기 중 오크는 통으로 만들기 용이하고 위스키 등 알코올을 함유한 용액의 저장에 적합한 물리, 화학적 특성을 갖고 있어 예로부터 술의 숙성에 이용되어 왔다. 오크통에서 숙성과정은 증류주의 향과 맛, 색이 변화하게 되는 중요한 과정으로, 나무의 수지 및 목재 성분이 용출되고, 증류주와 용출된 성분들이 상호작용하며, 산소와 결합하는 등 복잡한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4,6).
소주는 숙성과정에 따라 어떤 반응이 나타나는가? 증류 직후의 소주는 자극적인 냄새와 거친 맛을 지니고 있으나, 숙성과정을 통해 부드럽고 원숙한 풍미를 갖게 된다. 숙성은 크게 3단계로 나뉘게 되는데, 숙성초기에는 아세트알데하이드(acetaldehyde)와 유황화합물 등 가스취 성분이 휘발하며 자극취가 감소하게 된다. 숙성중기에는 카보닐화합물(carbonyl compound)의 중축합 반응이 일어나고, 원숙미가 증가하게 된다. 3년 이상장기숙성 시에는 지방산이 에스터화(esterification)되고, 성분이 농축되며 고유 향미를 형성하게 된다(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Cho HC. Brewing the Alcoholic Liquor. Nexus Press, Seoul, Korea. pp. 96-103 (2004) 

  2. In HY, Lee TS, Lee DS, Noh BS.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ju mashes brewed by Korean traditional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34-140 (1995) 

  3. Park SK. Analytical method for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Soju. Korea Alc. Liquor Ind. Assoc. 19: 47-60 (1999) 

  4. Ryu SW, Shin YH. Global commerci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Food Sci. Ind. 41: 34-42 (2008). 

  5. Park HH. The rise of Soju: The transfer of distillation technology from China to Korea during the Mongol period (1206-1368). Cent. Asian. Stud. 21: 69-93 (2016). 

  6. Cho EA and Lee YS. An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carbon isotopes and sugar components of whiskys based on the period of maturation. Korean J. Food Nutr. 25: 57-63 (2012) 

  7. Lee JG, Moon SH, Bae GH, Kim JH, Choi HS, Kim TW, Chung C. Distilled Spirits.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Kwangmoonkag press, Gyeonggi, Korea. pp. 229-232 (2015) 

  8. Lee KYM, Paterson A, Piggott JR, Richardson GD. Origins of flavour in whiskies and a revised flavour wheel: A review. J. I. Brewing 107: 287-313 (2001) 

  9. Park JS, Chung BW, Bae JO, Lee JH, Jung MY, Choi DS. Effects of sweet potato cultivars and Koji types on general propertie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sweet potato Soju.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468-474 (2010) 

  10. Bae SM, Jung SY, Jung IS, Ko HJ, Kim TY. Effect of the amount of water on the yield and flavor of Korean distilled liquor based on rice and corn starch.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 439-446 (2003) 

  11. Lee DH, Jung JW, Lee YS, Seo JS and Park IT.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for preparation of distilled liquor made of mixed grains.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446-455 (2014) 

  12. Choi SI, Kang SA, Cheong C. Yeast selection for quality optimization of distilled spirits. J. Korea Acad. Ind. Coop. Soc. 14: 3887-3896 (2013) 

  13. Bae KH, Ryu HY, Kwun IS, Kwon CS, Shon HY. Optimization of thickness and maturation period of Andong-soju nuruk for fermentation of Andong-soju. Kor. J. Microbiol. Biotechnol. 35: 231-237 (2007) 

  14. Kim MS, Lee YH, Kim IY, Eom TK, Kim SH, Jo NJ, Yu SR, Jeong YH.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pirits brewed with Phellinus linteus by different nuruk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2042-2048 (2013) 

  15. Cho HC, Kang SA, Choi SI and Cheong C.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uit Spirits from a copper distillation apparat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743-752 (2013) 

  16. Jeong YJ and Seo JH. Volatile compounds of potato sojues produced by different distillation condition. Korean J. Food Preserv. 19: 433-437 (2012) 

  17. Lee YH, Eom TK, Cheong C, Kim IY, Lee YS, Kim MS, Yu SR and Jeong YH.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irits by different distillation and filt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2012-2018 (2013) 

  18. Min YK, Yun HS, Jeong HS, Jang YS. Changes in compositions of liquor fractions distilled from Samil-ju with various distilla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440-446 (1992) 

  19. Yi HC, Monn SH, Park JS, Jung JW, Hwang KT. Volatile compounds in liquor distilled from mash produced using koji or nuruk under reduced or atmospheric pressure. Korean J. Food Nutr. 39: 880-886 (2010). 

  20. Lee HK, Choi YS, Chung EH. Higher alcohols composition in Korean alcoholic beverages. Kor. J. Food Hyg. 43: 257-262 (1989) 

  21. Ryu LH, Kim YM. Esterification of alcohols with organic acids during distilled spirit distillation. Korean J. Food Nutr. 15: 295-299 (2002) 

  22. Lee DS, Park HS, Kim K, Lee TS, Noh BS. Gas chromatographic and mass spectrometric determination of alcohol homologues in the Korean folk sojues (distilled liquor). J. Korean Chem. Soc. 38: 640-652 (1994) 

  23. Lee DS, Park HS, Kim K, Lee TS, Noh BS. Determination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flavour components in the Korean folk sojues using GC-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750-758 (1994). 

  24. In HY, Lee TS, Lee DS, Noh BS. Volatile components and fusel oils of sojues and mashes brewed by Korean traditional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35-240 (1995) 

  25. Kim JS, Jung HY, Park EY, Noh BS. Flavor analysis of commercial Korean distilled spirits using an electronic nose and electronic tongue. Korean J. Food Sci. Technol. 48: 117-121 (2016) 

  26. Jeong JH, Chai HS, Lee YH, Kim JM, Lee JH.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Yakju, spirit made by cereal nuruks. Culi. Sci. Hos Res. 21: 267-280 (2015). 

  27. Lee DH, Jung JW, Lee YS, Seo JS, Park IT, Kim TW, Kim JH, Ahn BH. The qualities of liquor distilled from ipguk (Koji) or nuruk under reduced or atmospheric press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25-32 (2014). 

  28. Lee DH, Park IT, Lee YS, Seo JS, Jung JW, Kim TW, Kim JH, Ahn BH.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wine using nuruk by aging container and period of distilled liquor. Korean J. Food Nutr. 43: 1579-1587 (2014) 

  29. Lee DH, Jung JW, Lee YS, Seo JS, Park IT, Kim TW, Kim JH, Ahn BH. Quality characteristics of distilled liquor produced using ipguk (Koji) during 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694-701 (2014) 

  30. Liebmann A, Scherl B. Changes in whisky while maturing. Ind. Eng. Chem. Res. 41: 534-543 (1949) 

  31. Lee DS, Park HS, Kim K, Lee TS, Noh B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folk Soju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649-654 (1994) 

  32. Yamada Masakazu. On the constituents of the Shochu-Japanese whisky. J. Agr. Chem. Soc. Jpn. 4: 33-34 (1928) 

  33. Conner JM, Paterson A, Birkmyre L, Piggott JR. Role of organic acids in maturation of distilled spirits in oak casks. J. I. Brewing 105: 287-291 (1999) 

  34. Ryu BH, Nam KD. Large scale alcohol fermentation with cassava slices at low temperature. Korean J. Appl. Microbiol. Bioeng. 15: 75-79 (1987) 

  35. Lee YS, Cho EA, Cha YH, Yoon DW, Im DH, Choi BG, Jeon JH. Comparisons of flavor ingredients changes according to whisky types and maturation period. Korean J. Food Nutr. 24: 471-479 (2011). 

  36. Yuda J. Volatile compounds from beer fermentation. J. Brew. Soc. Japan. 71: 818-830 (1976) 

  37. Ohba T. Analysis of traditional Shochu presented to the contest. J. Brew. Soc. Japan. 86: 645-650 (1991) 

  38. Fukuda K, Watanabe M, Asano K, Ueda H, Ohta S. Breeding of brewing yeast producing a large amount of ${\beta}$ -phenylethyl alcohol and ${\beta}$ -phenylethyl acetate. Agric. Biol. Chem. 54: 269-271 (1990) 

  39. Madrera RR, Gomis DB, Alonso JJM. Influence of distillation system, oak wood type, and aging time on volatile compounds of cider brandy. J. Agr. Food Chem. 51: 5709-5714 (2003) 

  40. Chatonnet P, Boidron JN, Pons M. The aging of red wines in oak barrels: The formation of specific volatile components and their impact on aroma. Sci. Aliments 10: 565-587 (199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