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수기 완전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Mastery Learning Program of Nursing Skills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7 no.4, 2017년, pp.526 - 539  

박소미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 ,  허혜경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 ,  김기경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 ,  송희영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velop and test a mastery learning program of nursing skills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Methods: In this methodological study, first, the preliminary draft of a mastery learning program to provide training for nursing skills was developed based on Blo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료 환경변화에 따른 간호학생 임상실습 교육의 제한점을 극복하고 간호학생들이 신규간호사로서 임상에서 요구되는 정확하고 숙련된 간호수기 수행역량을 습득하도록 완전학습모델을 적용한 간호수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예비적용을 통해 평가하고자 한다.
  • 교정학습 과정에서 형성평가가 학습자들이 학습과정이 아닌 평가로 인지하지 않도록 평가자와 평가자의 사전교육에서 강조하였을뿐 아니라 프로그램 운영과정에서도 주의를 기울였다. 또한 교정학습 활동과정에서 학습자의 우수한 점과 보완점 등을 학습자에게 개별적으로 피드백하여 학습강화와 동기가 일어나도록 하였다. 학생 1 인당 완전학습 프로그램 참여시간은 개인차가 있지만 교정학습 3차를 모두 참여할 경우 210분~230분이 소요되었다.
  • 본 연구는 4학년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완전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한 간호수기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예비적용 하여 평가한 후 최종 간호수기 완전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은 학생 별 수기능력의 차이를 반영한 반복학습을 진행하여 성취수준을 달성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직접 수행기회가 제한된 실습교육을 보완하고 신규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정확하고 숙련된 수기 역량 습득에 기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간호수기 완전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예비적용을 통한 평가를 실시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의료 환경 변화에 따른 간호학생 임상실습 현장의 제한점을 극복하고 간호학생들이 신규간호사로서 임상에서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정확하고 숙련된 간호수기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습득하도록 간호수기 완전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예비적용을 통해 평가한 후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개인 별 수기능력의 차이를 고려한 반복학습을 진행하여 성취수준 달성을 유도함으로써 직접 수행기회가 제한된 실습교육을 보완하고 정확하고 숙련된 수기 역량 습득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으로서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수기 완전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예비 적용하여 평가한 후 최종 간호수기 완전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간호수기 완전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위해 활용된 다양한 전략들이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격려하여 그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으나, 프로그램의 적용과정에서 형성평가에 대해 학생들이 이를 건설적 학습의 과정으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반복적으로 평가를 받는 부담스러운 경험으로 받아들이는 경우도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각 수기별 학습 시작에 앞서 완전학습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을 강화하여 프로그램에 포함된 모든 과정이 수기술의 완전 습득을 위한 학습의 과정임을 좀 더 강조하여 설명하였으며, 추후 이를 반영하여 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완전학습 적용군과 비적용군의 정맥주사요법, 수혈요법 및 환자이동 수기의 성취수준 달성분포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완전학습 적용군과 비적용군의 정맥주사요법, 수혈요법 및 환자이동 수기의 수행평가 점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상현장이란 무엇인가? 숙련되고 전문적인 간호서비스에 대한 환자의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임상현장은 간호학생들이 이러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배우고 적용할 수 있는 중요한 교육의 장이다. 그러나 환자의 권리의식이 높아지고 환자안전이 가장 우선시됨에 따라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대부분이 직접적인 간호수행 보다는 관찰위주의 실습으로 변화되었다[1].
임상현장 관찰학습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환자의 권리의식이 높아지고 환자안전이 가장 우선시됨에 따라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대부분이 직접적인 간호수행 보다는 관찰위주의 실습으로 변화되었다[1]. 이러한 관찰학습은 임상현장에서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간호역량을 갖추는데 제한이 있으며, 직접 수행을 충분히 하지 못한 학생이 신규간호사가 되었을 때 학교에서 배운 것과 실무에서 요구하는 업무역량의 차이로 ‘현실충격’을 경험하게 된다[2].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호교육평가원에서는 간호사 직무수행에 있어 수행 빈도와 중요도가 높아 교육과정에서 필수적으로 학습되고 성취되어야 할 핵심간호수기 20가지를 제시하고 인증기준에 간호수기 수행평가를 포함시켜 전체 간호학생이 간호수기를 완전하고 숙련되게 수행할 수 있는 교육을 요구하고 있다[3].
임상현장이 변화한 이유가 무엇인가? 숙련되고 전문적인 간호서비스에 대한 환자의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임상현장은 간호학생들이 이러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배우고 적용할 수 있는 중요한 교육의 장이다. 그러나 환자의 권리의식이 높아지고 환자안전이 가장 우선시됨에 따라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대부분이 직접적인 간호수행 보다는 관찰위주의 실습으로 변화되었다[1]. 이러한 관찰학습은 임상현장에서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간호역량을 갖추는데 제한이 있으며, 직접 수행을 충분히 하지 못한 학생이 신규간호사가 되었을 때 학교에서 배운 것과 실무에서 요구하는 업무역량의 차이로 ‘현실충격’을 경험하게 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Jung HJ.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nursing simulation program based on the mastery learning model and peer feedback debriefing method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6;16(10):29-57. http://dx.doi.org/10.22251/jlcci.2016.16.10.29 

  2. Sin KM, Kwon JO, Kim EY. Factors associated with new graduate nurses' reality shock.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3):292-301.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3.292 

  3.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ssential nursing skills for accreditation [Internet]. Seoul: Author; 2012 [cited 2016 December 05]. Available from: http://www.kabone.or.kr/HyAdmin/upload/goodFile/120130201102332.pdf. 

  4. Chae YJ, Ha YM. Effectiveness of education program f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using recording video with smartphone and formative feedback.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6;14(6):285-294. http://dx.doi.org/10.14400/JDC.2016.14.6.285 

  5. Blum CA, Borglund S, Parcells D. High-fidelity nursing simulation: Impact on student self-confidence and clinical compet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2010;7:Article 18. http://dx.doi.org/10.2202/1548-923x.2035 

  6. Guskey TR. Closing achievement gaps: Revisiting Benjamin S. Bloom's "Learning for mastery". Journal of Advanced Academics. 2007;19(1):8-31. http://dx.doi.org/10.4219/jaa-2007-704 

  7. Kim JW. The separate and combined effect size of the enhanced prerequisite learning, the use of organizers and the feedback-corrective procedures of mastery learning.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994;32(5):235-253. 

  8. McGaghie WC, Issenberg SB, Cohen ER, Barsuk JH, Wayne DB. Medical education featuring mastery learning with deliberate practice can lead to better health for individuals and populations. Academic Medicine. 2011;86(11):e8-e9. http://dx.doi.org/10.1097/ACM.0b013e3182308d37 

  9. Wayne DB, Butter J, Siddall VJ, Fudala MJ, Wade LD, Feinglass J, et al. Mastery learning of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skills by internal medicine residents using simulation technology and deliberate practice.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006;21(3):251-256. http://dx.doi.org/10.1111/j.1525-1497.2006.00341.x 

  10. Wayne DB, Barsuk JH, O'Leary KJ, Fudala MJ, McGaghie WC. Mastery learning of thoracentesis skills by internal medicine residents using simulation technology and deliberate practice. Journal of Hospital Medicine. 2008;3(1):48-54. http://dx.doi.org/10.1002/jhm.268 

  11. Barsuk JH, Cohen ER, Vozenilek JA, O'Connor LM, McGaghie WC, Wayne DB. Simulation-based education with mastery learning improves paracentesis skills. Journal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2012;4(1):23-27. http://dx.doi.org/10.4300/jgme-d-11-00161.1 

  12. Barsuk JH, Cohen ER, Mikolajczak A, Seburn S, Slade M, Wayne DB. Simulation-based mastery learning improves central line maintenance skills of ICU nurses.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5;45(10):511-517. http://dx.doi.org/10.1097/nna.0000000000000243 

  13. McGaghie WC, Issenberg SB, Barsuk JH, Wayne DB. A critical review of simulation-based mastery learning with translational outcomes. Medical Education. 2014;48(4):375-385. http://dx.doi.org/10.1111/medu.12391 

  14. Kwon EO, Shim MY, Choi EH, Lim SH, Han KM, Lee EJ, et al. The effects of an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simulation training based on the mastery learning mode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2;18(1):126-135. 

  15. Kim BH, Chang SJ, Choi JS.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linical practice nursing students'icrobiology program based on the mastery learning model.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3;15(2):90-98. http://dx.doi.org/10.7586/jkbns.2013.15.2.90 

  16. Bloom BS. Mastery learning. In: Block JH, editor. Mastery learning: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NY: Holt, Rinehart, and Winston; 1971. p. 47-63. 

  17. Cusimano MD. Standard setting in medical education. Academic Medicine. 1996;71(10 Suppl):S112-S120. 

  18. Downing SM, Tekian A, Yudkowsky R. Procedures for establishing defensible absolute passing scores on performance examination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in Medicine. 2006;18(1):50-57. http://dx.doi.org/10.1207/s15328015tlm1801_11 

  19. Griswold-Theodorson S, Ponnuru S, Dong C, Szyld D, Reed T, McGaghie WC. Beyond the simulation laboratory: A realist synthesis review of clinical outcomes of simulation-based mastery learning. Academic Medicine. 2015;90(11):1553-1560. http://dx.doi.org/10.1097/acm.0000000000000938 

  20. Polit DF, Beck CT. The content validity index: Are you sure you know what's being reported? Critique and recommendation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2006;29(5):489-497. http://dx.doi.org/10.1002/nur.20147 

  21. Lee EO, Lim NY, Park HA, Lee IS, Kim JI, Bae J, et al.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s. Paju: Soomoonsa; 2009. 

  22. Tang WE, Dong L. Applying mastery learning in a clinic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primary care nurses.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2013;44(12):535-541. http://dx.doi.org/10.3928/00220124-20131015-13 

  23. Durham CF, Alden KR. Enhancing patient safety in nursing education through patient simulation. In: Hughes RG, editor. Patient safety and quality: An evidence-based handbook for nurses. Rockville, MD: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08. p. 1364-1403. 

  24. Shin SJ.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for nurses. In: National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editor. Proceedings of the public hearing on national certification examination for registered nurse. Seoul: National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of the Republic of Korea; 2014. p. 37-67. 

  25. Cook DA, Brydges R, Zendejas B, Hamstra SJ, Hatala R. Mastery learning for health professionals using technology-enhanced simul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cademic Medicine. 2013;88(8):1178-1186. http://dx.doi.org/10.1097/ACM.0b013e31829a365d 

  26. Cason ML, Gilbert GE, Schmoll HH, Dolinar SM, Anderson J, Nickles BM, et al. Cooperative learning using simulation to achieve mastery of nasogastric tube insertion.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15;54(3 Suppl):S47-S51. http://dx.doi.org/10.3928/01484834-20150218-09 

  27. Hunter T. Mastery learning in nursing education. The Oklahoma Nurse. 2012;57(3):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