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과 병원간호사의 가상현실기반 환자안전을 위한 팀 의사소통과 팀워크 기술에 대한 교육요구의 차이: 혼합연구설계
Nursing Students and Clinical Nurses' Awareness of Virtual Reality(VR) Simulation and Educational Needs of VR-based Team Communication and Teamwork Skills for Patient Safety: A Mixed Method Stud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1, 2022년, pp.629 - 645  

허혜경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 ,  정지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과 간호사를 대상으로 가상현실기반 환자안전을 위한 의사소통과 팀워크 기술 교육요구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60명과 간호사 123명에게 질문지 조사를 시행하고, 간호사 14명에게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시행한 혼합연구설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5.0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 후 귀납적 내용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대상자의 가상현실인식과 팀 의사소통 및 팀워크 기술 교육요구는 보통수준 이상이었고 간호대학생에서 가상현실인식과 교육요구가 더 높았다. 팀워크 지식은 보통수준으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질적 자료 분석에서 간호사는 병원에서 의사 또는 타부서 직원과의 의사소통 어려움을 일으키는 4개 주제와 결과요인 2개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대상자들의 가상현실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었으며, 환자안전을 위해서 팀 의사소통과 팀워크 교육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대상자들의 교육요구를 반영한 가상현실기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간호대학생과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환자안전을 위한 팀 의사소통과 팀워크 기술 역량을 향상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needs of virtual reality(VR)-based communication and teamwork skills for patient safety intended for nursing students and nurses. For this study, mixed method design was used with surveyed data collected 60 nursing students and 123 nurses.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혼합연구방법(mixed method)을이용하여 간호대학생과 간호사의 가상현실기반 환자안전을 위한 의사소통과 팀워크 기술 교육요구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질문지를 활용한 양적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간호대학생과 간호사의 가상현실 인식, 팀워크 지식과 의사소통과 팀워크 기술 교육 요구 정도를 파악하고, 둘째, 간호대학생과 간호사 간 변수들의 차이를 파악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교육에서 간호대학생과 간호사에게 환자안전을 위한 팀 의사소통과 협력 역량 향상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일차적으로 간호대학생과 간호사를 대상으로 팀 의사소통과 팀워크 기술에 대한 교육요구 사정하였고 두 군 간의 차이를 확인하여 이를 통해 환자안전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학습콘텐츠 구성 시에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http://www.kops.or.kr/portal/board/reference/boardDetail.do, 2021.10.02. 

  2. http://www.kops.or.kr/portal/board/stat/boardDetail.do, 2021.10.02. 

  3. The joint commission, "Sentinel event statistics released for 2015," Joint Commission Perspectives, Vol.36, No.4, p.10, 2016. 

  4. https://www.ahrq.gov/teamstepps/instructor/fund-amentals/index.html, 2021.06.01 

  5. 박태준, "의료 현장에서의 의사소통 문제와 팀 훈련을 통한 해결방안," 환자안전과 의료의 질, 제5권, 제1호, pp.50-56, 2019. 

  6. A. Parker, L. L. Forsythe, and I. K. Kohlmorgen, "TeamSTEPPS: An evidence-based approach to reduce clinical errors threatening safety in outpatient settings: An integrative review," Journal of Health Care Risk Management, Vol.38, pp.19-31, 2019. 

  7. 이진희, 임상간호사의 조직 내 의사소통과 팀워크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1. 

  8. 이영주, 황지인, "간호사-간호사 및 간호사-의사 협력 정도와 의료 오류 발생 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제25권, pp73-82, 2019. 

  9. 한미영, 정명숙, "병원간호사가 지각하는 조직건강과 환자안전문화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23권, 제2호, pp.127-138, 2017. 

  10. 서은주, 서영선, 홍은희, "간호학생의 환자안전역량 향상을 위한 환자안전교육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255-266, 2020. 

  11. World Health Organization, Patient safety curriculum guide: Multi-professional edit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 

  12. 한국간호교육평가원, 4주기 간호교육인증평가설명회 보고자료, 한국교육평가원, 2021. 

  13. H. Park, J. Cho, and S. H. Chu, "Inter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s for nursing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4, pp.235-249, 2018. 

  14. A. Blackmore, E. V. Kasfiki, and M. Purva, "Simulation-based education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A systematic review and identification of current best practice," BMJ, Vol.4, pp.159-164, 2018. 

  15. 박귀화, 박경혜, "환자안전 교육에서 팀 의사소통과 전문직 협업,"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Vol.12, pp.22-30, 2019. 

  16. G. Barton, A. Bruce, and R. Schreiber, "Teaching nurses teamwork: Integrative review of competency-based team training in nursing education," Nurse Education in Practice, Vol.32, pp.129-137, 2018. 

  17. 주가을, 김보나, 박민정, 박상욱, 방애린, 임유진, 정경빈, 정지민, 주연정,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인식과 관련 교육실태 및 요구도 조사," 경북간호과학회지, 제24권, 제2호, pp.1-9, 2020. 

  18. S. K. Loke, "How do virtual world experiences bring about learning? A critical review of theorie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31, No.1, pp.112-122, 2015. 

  19. C. A. Kilmon, L. Brown, S. Ghosh, and A. Mikitiuk, "Immersive virtual reality simulations in nursing education,"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 Vol.31, pp.314-317, 2010. 

  20. S. Y. Liaw, S. L. Soh, K. K. Tan, L. T. Wu, J. Yap, Y. L. Chow, T. C. Lau, W. S. Lim, S. C. Tan, H. Choo, L. L. Wong, S. M. Lim, J. Ignacio, and L. F. Wong, "Design and evaluation of 3D virtual environment for collaboration learning in interprofessional team care delivery," Nurse Education Today, Vol.61, pp.64-71, 2019. 

  21. 김유정,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enario-based admission management VR contents for nursing students,"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26권, 제1호, pp.209-216, 2021. 

  22. 김선경, 엄미란, 박미현, "가상현실을 활용한 간호교육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2호, pp.661-670, 2019. 

  23. S. Rourke, "How does virtual reality simulation compare to simulated practice in the acquisition of clinical psychomotor skills for pre-registration student nurses?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102, from http://doi.org/10.1016/j.ijnurstu.2019.103466, 2021.04.01. 

  24. J. Jeon, J. H. Kim, and E. H. Choi, "Needs assessment for a VR-based adult nursing simulation training program for Korean nursing students: A qualitative study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17, from https://doi.org/10.3390/ijerph17238880, 2021.04.01 

  25. D. Rim, H. Shin, "Effective instructional template for virtual simulations in nursing," Nursing Education Today, Vol.96, from http://doi.org/10.1016/j.nedt.2020.104624, 2021.03.15 

  26. M. Yu, M. Yang, B. Ku, and J. S. Mann, "Effects of virtual reality simulation program regarding high-risk neonatal infection control on nursing students," Asian Nursing Research, Vol.15, pp.189-196, 2021. 

  27. S. Y. Liaw, G. A. C. Carpio, Y. Lau, S. C. Tan, W. S. Lim, and P. S. Goh, "Multiuser virtual worlds in healthcare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Nurse Education Today, Vol.65, pp.136-149, 2018. 

  28. M. Peddle, M. Bearman, and D. Nestel, "Virtual patients and nontechnical skills in undergraduate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An integrative review,"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Vol.12, pp.400-410, 2016. 

  29. M. Bracq, E. Michinov, and P. Jannin, "Virtual reality simulation in nontechnical skills training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Simulation in Healthcare, Vol.14, pp.188-194, 2019. 

  30. C. Foronda, K. Gattamorta, K. Snowden, and E. B. Bauman, "Use of virtual clinical simulation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A pilot study," Nurse Education Today, Vol.34, pp.53-57, 2014. 

  31. J. W. Creswell, V. L. Plano Clark, K. S. Petska, and J. D. Creswell, "Mixed methods research designs in counseling psychology,"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Vol.52, No.2, pp.224-235, 2005. 

  32. 한상숙, 손인순, 김남은,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와 영향요인," 대한간호학회지, 제39권, 제6호, pp.878-887, 2009. 

  33. 장금성, 간호사의 임상경력개발 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34. https://www.ahrq.gov/sites/default/files/wysiwyg/teamstepps/lomgtermcare/sitetools/ts2-01t-learning-benchmark.PDF, 2021.06.01. 

  35. https://sites.google.com/site/teamsteppskorea, 2021.06.10. 

  36. T. Gaston and N. Short, "Promoting patient safety: Resulting of a TeamSTEPPS Ⓡ initiativ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46, No.4, pp.201-207, 2016. 

  37. M. Cooke, "TeamSTEPPS for health care risk managers: Improving teamwork and communication," Clinical Risk Management, Vol.36, No.1, pp.35-45, 2016. 

  38. 안신애, 수술실 간호사의 수술환자안전을 위한 팀워크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39. https://www.ahrq.gov/teamstepps/instructor/essentials/pocketguide.html, 2021.06.01. 

  40. https://www.kops.or.kr/portal/video/videoEdcList.do, 2021.10.27. 

  41. 안신애, 이남주, "수술실 간호사의 안전한 수술에 대한 의사소통 경험," 간호행정학회지, 제25권, 제4호, pp.329-339, 2019. 

  42. S. Elo and H. Kyngas, "The quality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2, No.1, pp.107-115, 2008. 

  43. 한달롱, "간호대학생의 가상현실(VR)에 대한 인식과 정신간호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에 대한 요구 조사,"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집, 제21권, 제4호, pp.1481-1487, 2020. 

  44. 권선영, "가상현실(VR) 기술의 도서관서비스 적용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및 요구 조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10권, 제5호, pp.141-148, 2019. 

  45. 김아린, "국내 간호대학생과 간호사 대상 환자안전교육에 관한 고찰," 청주대학교 보건의료과학연구, 제8권, 제1호, pp.41-48, 2019. 

  46. 천희란, 신은희, "보건의료관련 학과에서 환자안전교육에 대한 고찰," 대한보건연구, 제42권, 제4호, pp.45-58, 2016. 

  47. 이정우, 박용익, 백승주, 이지언, 이혜용, 정연옥, "간호사는 의사와 어떻게 의사소통하는가?," 인문논총, 제71권, 제1호, pp.345-385, 2014. 

  48. K. O. Park, "Nurses' experience of health communication with doctors in the clinical fiel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1, No.1, pp.53-63, 2015. 

  49. 노미나, 간호사가 인지하는 안전분위기: 조직의사소통만족과 환자안전태도,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50. J. Brown, L. Lewis, K. Ellis, M. Stewar, T. R. Freeman and M. J. Kasperski, "Conflict on interprofessional primary health care teams-can it be resolved?," 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Vol.25, No.1, pp.4-10, 2011. 

  51. B. McFetridge, M. Gillespie, D. Goode, and V. Melby, "An exploration of the handover process of critically ill patients between nursing staff from the emergency department and the intensive care unit," Nurse Critical Care, Vol.12, No.6, pp.261-269, 2007. 

  52. J, Tjia, K. M. Mazor, T. Field, V. Meterko, A. Spenard, and J. H. Gurwitz, "Nurse-physician communication in the long-term care setting: perceived barriers and impact on patient safety," Journal of Patient Safety, Vol.5, No.3, pp.145-152, 2009. 

  53. E. Jo, S. Lee, and Y. Kim, "The lived-experience in communication of nurses," Journal of Korean Nursing Research, Vol.3, No.1, pp.13-25,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