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추 품종별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분석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Domestic Jujube (Zizyphus jujube Miller) Varieti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0 no.4, 2017년, pp.841 - 846  

박재호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정지은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강혜정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오하경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이경희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김영호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윤건묵 (충청북도보건환경연구원) ,  엄현주 (충청북도농업기술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three domestically cultivated jujube fruits (Boeun, Sangwhang, and Bokjo). Nutrient contents were analyzed by freeze-drying the jujube frui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ximate compositions of the three jujub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생산된 대추를 이용하여 가공식품을 개발하고, 그 이용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재배, 수확되고 있는 대추품종(복조, 보은, 상왕)의 일반성분과 생리활성 성분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재배되는 대추 3품종(상왕, 보은, 복조)의 영양성분과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총탄수화물의 함량의 경우, 상왕이 가장 높았고, 나머지 두 품종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가설 설정

  • 1)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 a~c) with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 1)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c) with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 1) Means with different letters(a~c) with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추의 어떤 문제점 때문에 대추의 가공품 개발이 필요한가? 2015), 삶의 질 향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생대추에 대한과실개념의 인식이 높아져서 그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대추 품종이 다양하지 않고, 과실로써의 생대추 판매와 유통은 10~11월에 제한되어 있으며, 쉽게 연화, 부패되는 보관상의 문제점으로 인해 가공식품으로의 기술개발이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대추의 가공품 연구로는 식빵(BaeJH 등 2005), 소스(Ahn JB 등 2012), 술(Choi JS 등 2013) 등 많은 가공품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실용화된 예는 아직은 미비한 실정이다.
대추란? 대추(Zizyphus jujuba Milller)는 갈매나무과(Rhamnaceae)에속하는 낙엽활엽교목의 열매로, 유럽 남부, 아시아 남부 및 동부가 원산지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일본에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이 전 세계 생산량의 90%를 차지하고 있다(Choi KS 1990, Hong JY 등 2010, Gao 등 2012). 우리나라에서는 재래종인 복조, 보은 등의 대추품종을 주로 재배하고 있으며, 몇 가지 개발종이 극히 일부 지역에서만 재배되고 있는 실정이다(Choi KS 1990).
대추의 효능은 무엇인가? 이런 대추의 주요 성분으로는 당질과 더불어 ascorbic acid, phenolic acids, flavonoids, alkaloids, saponins, vitamins, organic acids, amino acids 등이 보고되었다(Yook CS 1972, Gao 등 2012). 대추의 효능에 대한 연구보고는 항산화작용(Na HS 등 1996), 항암작용(Rhee YK 등 1998), 진정작용(Han BH 등 1987), 항알러지작용(Yagi A 등 1981) 등이 있다. 이렇게 약용성분과 기능성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면서도 과용에 대한 부작용이 없기에 식품재료로서의 용도가 넓다고 할 수 있다(Yu MH 등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n JB, Coi SH, Kim HR, Park ML, Lee SH, Kim DS. 2012. Development of teriyaki sauce added with jujube concentrate (Zizyphus jujube Miller) extracts. The Korean J Culinary Res 18:239-251 

  2. Amerine MA, Ough CS. 1980. Methods for Analysis of musts and Wine. Wiley & Sons, New York, USA. pp.176-180 

  3. AOAC. 200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8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4. Bae JH, Lee JH, Kwon KI, Im MH, Park GS, Lee JG, Choi HJ, Jeong SY.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white bread prepared by addition of jujube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 4:603-610 

  5. Cha JY, Kim HJ, Chung CH, Cho YS. 1999.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1310-1315 

  6. Choi JS, Yeo SH, Choi JH, Choi HS, Jeong ST. 2013. Quality properties of jujube Yakju based on the adding rate of dried jujube and storage periods. Korean J Food Preserv 20:52-61 

  7. Choi KS. 1990. Changes in physi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jujube fruits var. Bokjo during maturity and postharvest ripening(in Korean). J Resour Fevelop 9:47-53 

  8. Choi SY, Yoon BR, Kim SS. 2016. Characteristics and nutritional compositions of two jujube varieties cultivated in Korea. Korean J Food Preserv 23:127-130 

  9. Choi Y, Lee SM, Chun J, Lee J. 2006.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ntibio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381-387 

  10. Dai J, Mumper RJ. 2010. Plant phenolics: extraction, analysis, and their antioxidant and anticancer properties. Molecules 15:7313-7352 

  11. Han BH, Park MH. 1987. Sedative activity and its active components of Zizyphi fructus. Arch Pharm Res 10:208-211 

  12. Hong JY, Nam HS, Shin SR. 201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pe and dry jujube (Ziziphus jujube Miller) fruits. Korea J Food Preserv 19:87-94 

  13. Hong JY, Park MH, Shin SR. 2010. Study on the quality and process of jujube fruit jungkwa. Korean J Food Preserv 17:42-49 

  14. Kim SM, Cho YS,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 33:626-632 

  15. Korea Forestry Service. 2015.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pp.1-447. Korea 

  16. Kwon YI, Jung IC, Kim SH, Kim SY, Lee JS, Lee JS. 1997. Changes in proterties of pitted jujube during drying and extraction. Agri Chem Biotechnol 40:43-47 

  17. Lee HB, Kim SY. 1988. Studies on the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of dried jujube (Zizyphus jujuba Miller) during storage. Res Rep Agri Sci Tech Chungnam Nat'l Univ Korea 15:95-113 

  18. Na HS, Kim KS, Lee MY. 1996. Effect of jujube methanol extract on the hepatotoxicity in $CCl_4$ -treated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839-845 

  19. Osborne DR, Voogt P. 1981. The Analysis of Nutrients in Foods. London Academic Press pp.130-134 

  20. Park EJ, Ahn JJ, Kang SA, Kim HY, Kwon JH. 2013. Physiochemical quality and hypoglycemic effect of omija sau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079-1085 

  21. Gao QH, Wu CS, Yu JG, Wang M, Ma YJ, Li CL. 2012. Textural characteristic, antioxidant activity, sugar, organic acid, and phenolic profiles of 10 promising jujube (Ziziphus jujuba Mill.) selections. J Food Science 77:1218-1225 

  22. Rhee YK, Kim DH, Han MJ. 1998. Inhibitory effect of Zizyphi fructus on ${\beta}$ -glucuronidase and tryptophanase of human intestinal 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30:199-205 

  2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1. Food Composition Table. 8thed. pp.1-636. Korea 

  24. Shim DW. 2011. Studies on the process method and quality of black-jujube. Master's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Daegu, Korea 

  25. Tibbot BK, Skadsen RW. 1996.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gibberellin-inducible, putative ${\alpha}$ -glucosidasegene from berley. Plant Mol Biol 30:229-241 

  26. Yagi A, Koda A, Inagaki N, Haraguchi Y, Noda K, Okamura N, Nishioka I. 1981.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Zizyphi fructus IV. Isolation of an anti-allergic component, ethyl ${\alpha}$ -D-fructoruranoside from EtOH extract of Zizyphi fructus. Yakugaku Zasshi 101:700-707 

  27. Yook CS. 1972. Screening test on the components of the henus Zizyphus in Korea. Korean J Pharmacog 3:27-29 

  28. Yu MH, Im HG, Lee HJ, Ji YJ, Lee IS. 2006. Components and their antioxic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arcocarp and seed of Ziziphus jujuba var. inermis Reh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8:128-1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