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보행 능력과 환경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단거리 및 장거리 보행속도검사 결과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Walking Capacity and Environment on the Outcomes of Short- and Long-distance Walking Velocity Tests in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24 no.3, 2017년, pp.1 - 9  

정혜림 (주은라파스병원 물리치료실) ,  오덕원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method of measuring the walking function of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differs depending on patients walking capability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bjects: 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the influences of walking capacity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n the results of short- a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보행 평가의결과가 뇌졸중 환자들의 보행 능력과 환경적인 조건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일치된 결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명확히 설명하고 있는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들의 보행 능력과 환경 조건에 따른 단거리 보행 측정인 10MWT와 장거리 보행 측정인 6MWT의 결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은 보행속도가 느린 집단에서 10MWT의 결과가 6MWT의 결과에 비해 더 높게 나올 것이며, 실내 보행에 비해 실외 보행에서 더 느리게 나올 것이라는것이다.
  • 보행속도(Goldie 등, 1996)와 보행 지구력(Mossberg, 2003)를 측정하는 것은 비교적 쉽고 간단하게 뇌졸중 환자들의 보행능력을 측정할 수 있으면서도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임상 현장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Peters 등, 2013). 본 연구는 10MWT를 사용한 단거리 보행속도 측정과 6MWT를 사용한 장거리 보행속도 측정의 결과가 뇌졸중 환자들의 보행능력과 측정 환경에 따라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행속도가 제한된 지역사회 보행군에서 10MWT의 결과가 6MWT의 결과에 비해 더 높게 나왔으며, 제한된 지역사회 보행군과 지역사회 보행군에서 실내 보행에 비해 실외 보행에서 더 느리게 나타났다.

가설 설정

  • 8㎧)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Perry 등, 1995), 이러한 보행 능력은 비교적 변수가 적은 실내 환경에서와 많은 변수를 포함하는 실외 환경에서 측정될 때 달라질 수 있다(Carvalho 등, 2010). 본 연구의 가설은 보행속도가 느린 집단-1에서 상대적으로 보행속도가 빠른 집단-2와 집단-3보다 10MWT와 6MWT의 보행속도의 차이, 그리고 실내 및 실외 환경의 보행속도의 차이가 더 클 것이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가설의 내용과 달리, 군내 비교에서는 집단-1은 10MWT와 6MWT의 보행속도, 그리고 실내 및 실외 보행속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군간 비교에서는 오히려 다른 집단보다 더 작은 차이값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환자들의 평균 보행속도는 얼마인가? 노인의 정상적인 보행속도는 1.3㎧ 이지만(Neumann, 2004), 뇌졸중 환자들의 평균 보행속도는 .4∼.8㎧ 범위에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다(Eng 등, 2002; Green 등, 2002; Pohl 등, 2002). 뇌졸중 환자들의 보행 능력은 보행속도에 따라 .
보행이란 무엇인가? 보행은 신체 중심이 움직이면서 공간에서 몸을 앞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다양한 관절과 근육들의 복잡한 협응적 움직임을 필요로 한다(Ryerson과 Levit, 1997). 일반적으로 보행 능력은 보행속도를 측정함으로써 설명된다.
정상인과 뇌졸중 환자의 6MWT를 비교하면 어떠한가? 6MWT는 최대하 운동검사로 기능 및 움직임 수준을 평가하고 보행 지구력을 반영하여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Mossberg, 2003). 정상 남녀의 6분 동안의 평균 보행거리는 490∼ 580m 이지만, 뇌졸중 환자들의 보행거리는 평균 250 ∼ 300m인 것으로 보고되었다(Ada 등, 2003; Dean 등,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da L, Dean CM, Hall JM, et al. A treadmill and overground walking program improves walking in persons residing in the community after stroke: a placebo-controlled, randomiz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03;84(10):1486-1491. 

  2. ATS (American Thoracic Society). ATS statement: Guidelines for the Six-Minute Walk Test.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2;166(1):111-117. 

  3. Carvalho C, Sunnerhagen KS, Willen C. Walking speed and distance in different environments of subjects in the later stage post-stroke. Physiother Theory Pract. 2010;26(8):519-527. https://doi.org/10.3109/09593980903585042 

  4. Combs-Miller SA, Kalpathi Parameswaran A, Colburn D, et al. Body weight-supperted treadmill training vs. overground walking training for persons with chronic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014;28(9):873-884. https://doi.org/10.1177/0269215514520773 

  5. Dean CM, Richards CL, Malouin F.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locomotor tasks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00;81(4):409-417. 

  6. Dean CM, Richards CL, Malouin Fx. Walking speed over 10 metres overestimates locomotor capacity after stroke. Clin Rehabil. 2001;15(4):415-421. 

  7. Dean E, Ross J. Relationships among cane fitting, function, and falls. Phys Ther. 1993;73(8):494-500. 

  8. Dobkin BH. Short-distance walking speed and timed walking distance: Redundant measures for clinical trials? Neurology. 2006;66(4):584-586. 

  9. Donovan K, Lord SE, McNaughton HK, et al. Mobility beyond the clinic: The effect of environment on gait and its measurement in community-ambulant stroke survivors. Clin Rehabil. 2008;22(6):556-563. https://doi.org/ 10.1177/0269215507085378 

  10. Eng JJ, Chu KS, Dawson AS, et al. Functional walk tests in individuals with stroke relation to perceived exertion and myocardial exertion. Stroke. 2002;33(3):756-761. 

  11. Flansbjer UB, Downham D, Lexell J. Knee muscle strength, gait performance, and perceived participation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6;87(7):974-980. 

  12. Goldie PA, Matyas TA, Evans OM. Deficit and change in gait velocity during rehabilitation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1996;77(10):1074-1082. 

  13. Green J, Forster A, Bogle S, et al. Physiotherapy for patients with mobility problems more than 1 year after stroke: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Lancet 2002;359(9302):199-203. 

  14. Hwang EO, Oh DW. Kim SY, et al. Effects of comunity-based adaptive ambulation training on walking function in patients with post-stroke hemiparesis. Korean J Health Promot. 2010;10(2):78-85. 

  15. Jorgensen JR, Bech-Pedersen DT, Zeeman P, et al. Effect of intensive outpatient physical training on gait performance and cardiovascular health in people with pemiparesis after stroke. Phys Ther. 2010;90(4):527-537. https://doi.org/10.2522/ptj.20080404 

  16. Kollen B, Kwakkel G, Lindeman E. Time dependency of walking classification in stroke. Phys Ther. 2006;86(5):618-625. 

  17. Kuan TS, Tsou JY, Su FC. Hemiplegic gait of stroke patients: The effect of using a cane. Arch Phys Med Rehabil. 1999;80(7):777-784. 

  18. Laufer Y. Effects of one-point and four-point canes on balance and weight distribution in patients with hemiparesis. Clin Rehabil. 2002;16(2):141-148. 

  19. Laufer Y. The effect of walking aids on balance and weight-bearing patterns of patients with hemiparesis in various stance positions. Phys Ther. 2003;83(2):112-122. 

  20. Michael KM, Allen JK, Macko RF. Reduced ambulatory activity after stroke: The role of balance, gait, and cardiovascular fitness. Arch Phys Med Rehabil. 2005;86(8):1552-1556. 

  21. Mossberg KA. Reliability of a timed walk test in persons with acquired brain injury. Am J Phys Med Rehabil. 2003;82(5):385-390. 

  22. Neumann DA.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2nd ed. St. Louis, Missouri, Mosby. 2004:627-630. 

  23. Ottawa, Khadilkar A, Phillips K, et al. Ottawa panel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post-stroke rehabilitation. Top Stroke Rehabil. 2006;13(2):1-269. 

  24. Perry J, Garrett M, Gronley JK, et al. Classification of Walking Handicap in the Stroke Population. Stroke. 1995;26(6):982-989. 

  25. Peters DM, Fritz SL, Krotish DE. Assess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shorter walk test compared with the 10-meter walk test for measurements of gait speed in healthy, older adults. J Geriatr Phys Ther. 2013;36(1):24-30. https://doi.org/10.1519/JPT.0b013e318248e20d 

  26. Plummer-D'Amato P, Altmann LJ, Behrman AL et al. Interference between cognition, double-limb support, and swing during gait in community-dwelling individuals poststroke.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10;24(6):542-549. https://doi.org/10.1177/1545968309357926 

  27. Pohl M, Mehrholz J, Ritschel C, et al. Speed-dependent treadmill training in ambulatory hemiparetic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002;33(2):553-558. 

  28. Ryan AS, Dobrobolny CL, Silver KH, et al. Cardiovascular fitness after stroke: Role of muscle mass and gait deficit severity. J Stroke Cerebrovasc Dis. 2000;9(4):185-191. https://doi.org/10.1053/jscd.2000.7237 

  29. Ryerson S, Levit K. Functional movement reeducation: A contemporary model for stroke rehabilitation.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1997:4-10 

  30. Schmid A, Duncan PW, Studenski S, et al. Improvements in speed-based gait classifications are meaningful. Stroke. 2007;38(7):2096-2100. 

  31. Song EK, Lee JE, Han JH.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J Occupational Ther Aged Dementia. 2012;5(1):47-54. 

  32. Stibrant Sunnerhagen K. Circuit training in community-living younger men after stroke. J Stroke Cerebrovasc Dis. 2007;16(3):122-129. 

  33. Taylor D, Stretton CM, Mudge S, et al. Does clinic-measured gait speed differ from gait speed measured in the community in people with stroke? Clin Rehabil. 2006;20(5):438-444. 

  34. Tyson SF, Rogerson L. Assistive walking devices in nonambulant patients undergoing rehabilitation after stroke: The effects on functional mobility, walking impairments, and patients opinion. Arch Phys Med Rehabil. 2009;90(3):475-479. https://doi.org/10.1016/j.apmr.2008.09.563 

  35. van de Port IG, Kwakkel G, Lindeman E. Community ambul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How is it related to gait speed? J Rehabil Med. 2008;40(1):23-27. https://doi.org/10.2340/16501977-0114 

  36. Vickrey BG, Rector TS, Wickstrom SL, et al. Occurrence of secondary ischemic events among persons with atherosclerotic vascular disease. Stroke. 2002;33(4):901-906. 

  37. Yang YR, Tsai MP, Chuang TY, et al. Virtual reality-based training improves community ambulation in individuals with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Gait Posture. 2008;28(2):201-206. https://doi.org/10.1016/j.gaitpost.2007.11.007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원문 보기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