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의 사회적 쟁점에서 시민 참여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실천 역량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and Practical Capabilities on Citizen Participation in Social Issues of Science and Technology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7 no.4, 2017년, pp.637 - 650  

이영희 (단국대학교) ,  윤지현 (단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민성이 성숙 단계에 이르는 대학생들은 과학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에서 시민 참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시민의 권리와 책임을 의미 있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과학기술 시민 참여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실천역량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D 대학교에 재학중인 예 체능 계열(33명), 인문 사회 계열(62명), 이공계열(67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시민 참여 중심의 과학기술과 사회의 상호작용, 책임 있는 의사결정능력, 과학기술쟁점 효능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기술과 사회의 상호작용에 대한 대학생들의 전반적인 인식 수준은 예 체능 계열, 인문 사회 계열, 이공계열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지만, 그 점수가 모두 평균에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현재 대학생들은 전공 계열에 상관없이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부족한 상태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과학기술과 사회 간의 관계에서 시민 참여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도 전공 계열에 상관없이 전체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책임 있는 의사결정능력에서 대학생들은 개인의 신념과 공동체의 복지를 고려하여 최선의 대안을 선택하고, 실천 전략을 수립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기술쟁점 효능감에서 과학기술관련 지식과 기능 및 행위 능력에 대한 대학생들의 자신감도 전공계열에 상관없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necessary for undergraduate students whose citizenship reaches a maturity stag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itizen participation in social issues related to science and technology and to be able to make meaningful use of citizens' rights and responsibilities.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적 효능감의 구성은? 내적 효능감은 과학기술 관련 사회적 쟁점의 이해에 대한 인식,과학기술 관련 사회적 쟁점 해결을 위한 참여 과정에서 개인 자신에 대한 자신감, 과학기술 관련 사회적 쟁점 해결을 위한 참여 과정에서 개인 자신의 영향력에 대한 자신감과 같은 세 개의 소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적 효능감은 과학기술 관련 사회적 쟁점의 정책 결정 과정에서 개인 자신의 건의에 대한 과학기술 관료의 반응에 대한 인식, 과학기술 관련 사회적 쟁점의 정책 결정 과정에서 개인 자신의 생각에 대한 과학기술 관료의 관심에 대한 인식, 과학기술 관련 사회적 쟁점의 정책 결정 과정에서 개인 자신의 의견과 행동에 대한 정부의 반응에 대한 인식과 같은 세 개 소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새로운 과학기술의 등장이 사회적 문화⋅윤리와 상충을 일으킬 수밖에 없는 이유는? 원자력 발전, 기후변화, 광우병, 유전자조작식품, 인간배아복제 등을 둘러싼 일반 시민들의 위험 인식과 광범위한 불만은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의 불안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즉, 새로운 과학기술의 등장은 사회적 문화⋅윤리와 상충을 일으킬 수밖에 없는데, 이는 과학기술이 가져올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확실하게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이다(Song, 2009, 2011). 그러므로 과학기술이 지니고 있는 긍정적인 측면을 최대화하고, 부정적인 측면을 최소화하여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사회적 관리 방안 마련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었다(Andersen & Jager, 1999; Moon, 2009; Park, 2004).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를 둘러싼 불안이 커지는 이유는? 그런데 과학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질수록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를 둘러싼 불안도 함께 커지고 있다(Kim, 2003; Lee,2002). 첨단 과학기술의 개발과 확산은 시민 사회에 다양한 사회적⋅윤리적 갈등을 유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원자력 발전, 기후변화, 광우병, 유전자조작식품, 인간배아복제 등을 둘러싼 일반 시민들의 위험 인식과 광범위한 불만은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의 불안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Ahn, K., & Kim, N. (2009). A study of neo-institutionalism for governmental policy reflection of the citizen participation: Focus on the consensus conference of bio-tech industry in Korea and Denmark. Korean Policy Science Review, 13(2), 145-174. 

  2. Aikenhead, G. S., Fleming, R. W., & Ryan, A. G. (1987). High-school graduates' beliefs about science-technology-society: Methods and issues in monitoring student views. Science Education, 71(2), 145-161. 

  3. Aikenhead, G. S., & Ryan, A. G. (1992). The development of a new instrument: Views on science-technology-society(VOSTS). Science Education, 76(5), 477-491. 

  4. Andersen, I. E., & Jager, B. (1999). Scenario workshops and consensus conferences: Towards more democratic decision-making. Science and Public Policy, 26(5), 331-340. 

  5. Autor, D. (2015). Why are there still so many jobs? The history and future of workplace automation.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29(3), 3-30. 

  6. Banks, M. (1999). Teaching strategies for the social studies: Decision-making and citizen action. New York: Longman. 

  7. Barnes, S., Kaase, M., Allerback, K. R., Farah, B., Heunks, F., Inglehart, R., Jennings, M. K., Klingemann, H. D., Marsh, A., & Rosenmayr, L. (1979). Political action: Mass participation in five western democracies. Beverly Hills: Sage Publications. 

  8. Beierle, T. C., & Cayford, J. (2002). Democracy in practice: Public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decisions. Washington, DC: Resources for the Future. 

  9. Bowman, D. M., & Hodge, G. A. (2007). Nanotechnology and public interest dialogue: Some international observations. Bulletin of Science, Technology & Society, 27(2), 118-132. 

  10. Burgess, J., & Chilvers, J. (2006). Upping the ante: A conceptual framework for designing and evaluating participatory technology assessments. Science and Public Policy, 33(10), 713-728. 

  11. Bybee, R. (1997). Toward an understanding of scientific literacy. In W. Graber & C. Bolte (Ed.), Scientific Literacy, (pp. 37-68). Kiel: IPN. 

  12. Cha, Y. (1993). Nonparametric statistics using SPSS/PC+. Seoul: Free Academy. 

  13. Choi, G. (2014). Artificial intelligence: Disruptive innovation and evolution of the internet platform. Research Report of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14. Choi, Y. (1999). US science and technology systems and policies. Research Report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15. Fleming, R. W. (1985). Student reasoning in socio-scientific issues: Implications for instruction. In R. Bybee (Ed.), Science-Technology- Society. Washington, DC: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16. Gabriele, A. (2007). Citizen involvement in public policy-making: Does it improve democratic legitimacy and accountability? The case of PTA. Interdisciplinary Information Sciences, 13(1), 103-116. 

  17. Goldstein, B., & Dyson, L. (2013). Beyond transparency: Open data and the future of civic innovation. San Francisco, CA: America Press. 

  18. Hong, S. (2006). Possibility of new governance i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Lighting of civic participatory programs. Korea Policy Research, 6(1), 109-124. 

  19. Jamison, A. (2006). Social movements and science: Cultural appropriations of cognitive praxis. Science as Culture, 15(1), 45-59. 

  20. Jang, H., & Chung, Y. (2009). An analysis of informal reasoning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decision-ma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9(2), 253-266. 

  21. Jang, Y., & Han, J. (2008). Development plan of citizen participatory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Research Report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22. Jang, Y., Seoung, J., & Lee, M. (2007). Research and analysis of trends i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by region: Analysis of case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governance in major countries. Research Report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23. Jasanoff, S. (2003). Technologies of humility: Citizen participation in governing science. Minerva, 41(3), 223-244. 

  24. Jeong, B., & Sohn, H. (2008). Science.technology and the political paradigm of civil society: A search for an alternative possibility of the science shops in Korea.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15(2), 217-235. 

  25. Joo, C. (2010). Policy process citizen participation type, cognitive legitimacy and long tail politics.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22(4), 363-379. 

  26. Ju, J. (2010). The effects of scientific technological issue-centered discussion on scientific technological citizenship. Doctoral thesis by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27. Kang, C. (2012). An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 and character for cultured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18(2), 83-107. 

  28. Kang, S., Yoon, J., Kim, B., Kim, S., & Lee, G. (2016).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plan for the contribution of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to social progress. Research Report of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29. Kang, S., Han, S., Kim, J., & Noh, T. (2001).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views on relationship between science/technology and socie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1(3), 537-546. 

  30. Kim, B. (2003). A search for the concept of technology assessment: A histor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6(3), 306-327. 

  31. Kim, S., & Park, H. (2013). College students' understanding of nature of science: Discipline and gender differenc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3(6), 239-256. 

  32. Kleinman, D. L. (2000). Science, technology and democracy.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3. Kleinman, D. L. (2005). Science and technology in society: From biotechnology to the Internet. Oxford, UK: Blackwell Publishing. 

  34. Lee, S. (2005). Science shop: New social practice of technologists. Conference Report of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35. Lee, Y. (2000). Sociology of science and technology. Paju: Hanul Publishing. 

  36. Lee, Y. (2002). Science and technology, environment, citizen participation. Paju: Hanul Publishing. 

  37. Lee, Y. (2014). Disaster citizenship for improving social responsiveness. Research Report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38.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39. Moon, G. (2009).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social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uncertainty of science technology. Crisisonomy, 5(1), 59-72. 

  40. Morrel, M. E. (1998). Broadening horizons: Can participation make better citizens? A dissertation for degree doctor of philosophy, Arizona State University. 

  41. Park, G., & Yoo, M. (2013). The effects of 'science history based chemist inquiry program' on the understanding toward nature of science, scientific attitudes, and science career orientation of scientif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7(6), 821-829. 

  42. Park, J. (2004). The history and the role of citizens' organizations in science and technology.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4(1), 111-140. 

  43. Parry, G., Moyser, G., & Day, N. (1992). Political participation and democracy in Britai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 Rowe, G., & Frewer, L. J. (2000). Public participation methods: A framework for evaluation.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25(1), 3-29. 

  45. Rowe, G., & Frewer, L. J. (2004). Evaluating public participation exercises: A research agenda.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29(4), 512-556. 

  46. Rubba, P. A., Schoneweg, C., & Harkness, W. J. (1996). A new scoring procedure for the views on science-technology-society instru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8(4), 387-400. 

  47. Ryu, K., & Jung, J. (2015). Research and analysis of present status of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28(2), 61-83. 

  48. Song, S. (2009). Exploring science and technology culture: When science and technology meet. Paju: Hanul Publishing. 

  49. Song, S. (2011). Transition of science and culture policy: From science popularization to citizen participation. Research Report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50. Song, W. (2003). A study on the change of science and technology decision making process: Searching for new model.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6(2), 159-174. 

  51. UBS (2016). Extreme automation and connectivity: The global, regional, and investment implication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te Paper for the World Economic Forum Annual Meeting 2016. 

  52. Yang, C., Lee, J., & Noh, T. (2012). An analysis of the STS content in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1(2), 154-163. 

  53. Yoo, J., Han, M., Im, H., Ahn, B., & Hwang, G. (2010). The current status and tasks of technology assessment in Korea.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13(4), 617-6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