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Psychosocial Adjustment in Out-of-School Youth: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9, 2017년, pp.549 - 562  

이화명 (경남정보대학교) ,  김영미 (부산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낙인이 학교 밖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시에 거주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첫째, 사회적 낙인은 자기개념 명확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낙인은 심리사회적 적응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개념 명확성은 심리사회적 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봄으로써 학교 밖 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적응 방안을 모색하고, 자기개념 명확성을 높일 수 있는 상담적 개입을 촉구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psychosocial adjustment in out-of-school youth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psychosocial adjust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out-of-school youth who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문제아 또는 비행청소년이라는 주위환경으로부터의 낙인은 당장 눈에 보이는 문제에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심리사회적 적응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낙인이 학교 밖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사회적 낙인이 학교 밖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심리사회적 적응을 환경과 조화로운 관계를 이루어가는 생활 과정에서 느끼는 심리적·사회적 안녕감이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이 심리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교 밖 청소년들이 보다 사회에 효율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학교 밖 청소년의 상담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이 심리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교 밖 청소년들이 보다 사회에 효율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학교 밖 청소년의 상담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2. 사회적 낙인은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 사회적 낙인은 자기개념 명확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자기개념 명확성은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인은 내재화되는 과정에 따라 어떻게 분류될 수 있는가? 낙인은 내재화 되는 과정에 따라 주위사람들의 낙인과 자기낙인의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청소년을 둘러싼 공식적 체계와 비공식적 인물들 즉 부모, 교사, 친구 등 주위 사람들로부터 일차적 낙인을 주위사람들의 낙인이라고 할 수 있다.
학교 밖 청소년이란 무엇인가? 학교 밖 청소년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현재 학교를 다니지 않는 청소년을 의미한다. 학교 밖 청소년과 유사한 개념으로는 학교 중도탈락 청소년, 자퇴생, 학업중단 청소년, 중퇴 청소년, 비(非)학생 청소년, 탈학교 청소년 등이 있다.
학교 밖 청소년들이 학교를 중단함으로써, 성장과 교육의 기회를 박탈당하는 것은 어떤 문제를 초래하는가? 학교 밖 청소년들은 학교를 중단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청소년들에게 당연히 주어지는 성장과 교육의 기회를 박탈당하게 된다. 이러한 기회의 부족은 개인의 의미 있는 자아 형성을 어렵게 하며, 나아가 낮은 자아개념과 사회적 기술 결여는 삶의 질의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17]. 이처럼 학교 밖 청소년들은 일반 청소년이 경험하는 발달 과정상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문제아 또는 실패자라는 낙인과 소외감, 좌절감 등으로 인한 고통에 시달리게 된다[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1)

  1. 여성가족부,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통계자료, 2015. 

  2. 김소현, "다층성장모형표(HLM)을 통한 청소년의 비공식적 낙인 변화추정,"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제7권, pp.7-31, 2010. 

  3. 이순래, 박현기, "비행소년의 발전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학, 제1권, 제2호, pp.149-190, 2007. 

  4. G. F. Jensen, "Delinquency and adolescent self-conceptions: A study of the personal relevance of infraction," Social Problems, Vol.20, pp.84-103, 1972. 

  5. 김영희, 학업중단을 경험한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과정,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6. 이성식, "청소년비행과 비공식낙인의 영향: 청소년패널자료의 분석," 형사정책연구, 제71권, pp.1105-1127, 2007. 

  7. J. D. Campbell, P. D. Trapnell, S. J. Heine, M. Katz, L. F. Lavellee, and D. R. Lehman, "Self-concept clarity: measurement, personality correlates, and cultural boundar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0, pp.141-156, 1996. 

  8. J. D. Campbell, "Self-esteem and clarity of the self-concep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9, pp.538-549, 1990. 

  9. M. A. Gara, R. L. Woolfolk, B. D. Cohen, R. B. Goldston, L. A. Allen, and J. Novalany, "Perception of self and other in major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02, No.1, pp.93-100, 1993. 

  10. J. D. Campbell, S. Assanand, and A. Paula, "The Structure of the self-concept and its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adjustment," Journal of Personality, Vol.71, No.1, pp.115-140, 2003. 

  11. 이기재, 최해림, "분리-개별화, 자기개념 명확성 및 비합리적 신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간이해, 제30권, 제2호, pp.81-99, 2009 

  12. 정현희, 상담자의 완벽성향과 주관적 안녕감,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3. 한국청소년상담원, 학업중단 청소년 실태조사, 2004. 

  14. 최연수, 학교 밖 청소년의 도시형 대안학교 적응과정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5. 한국청소년상담원, 위기청소년 사회진출지원을 위한 두드림존 특성화 연구, 한국청소년상담원, 2008. 

  1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학업중단 청소년 실태조사, 2014. 

  17. 이용교, 김영자, 김형수, 남국희, 박영석, 이형하, 임성욱, 정광익, 조준, 청소년 문제와 청소년 복지, 서울: 인간과 복지, 2002. 

  18. 홍봉선, 남미애, "학교폭력문제해결을 위한 학교차원의 회복적 사법의 적용," 형사정책, 제26권, 제2호, pp.45-79, 2014. 

  19. 조규필, "학업중단 청소년 대책을 위한 정책제안," 학교 밖 청소년 문제 대책 마련 토론회 자료집: 학교 밖 청소년 문제 대책 마련 토론회, pp.74-82, 2013. 

  20. 김문희, "학업중단 예방 및 Wee센터의 역할," 학업중단 예방 및 학교 밖 청소년 지원을 위한 정책토론회 자료집: 학업중단 예방 및 학교 밖 청소년지원을 위한 정책 토론회, pp.95-100, 2013. 

  21. 김범구, 조아미, "잠재계층분석(LCA)을 이용한 학업중단 청소년의 유형과 특성," 한국청소년연구, 제24권, 제3호, pp.5-31, 2013. 

  22. 이자영, 강석영, 김한주, 이유영, 양은주, "학업중단 위기청소년이 지각한 학업중단의 위험 및 보호요인 탐색: 개념도 연구법의 활용," 청소년상담연구, 제18권, 제2호, pp.225-241, 2010. 

  23. 한상철, 김혜원, 설인자, 임영식, 조아미, 청소년심리학, 교육과학사, 2004. 

  24. 배영태, "학교 중도탈락의 선행요인과 판별," 청소년상담연구, 제11권, 제2호, pp.323-35, 2003. 

  25. 이숙영, 남상인, 이재규, 중도탈락학생의 사회적 응 상담정책 개발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997. 

  26. R. W. Rumberger, "High school dropouts: A review of issues and evidenc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57, No.2, pp.101-121, 1987. 

  27. A. Fomm, 지경자 역, 자유로부터의 도피, 홍신문화사, 2000. 

  28. 서정아, 권해수, 정찬석, 학교밖 청소년의 실태와 정책적 대응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6. 

  29.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3. 

  30. 남미애, "학교밖 청소년의 욕구와 사회적 지원방안," 사회과학논문집, 제24권, 제4호, pp.147-196, 2006. 

  31. 금명자, 권해수, 이자영, 이수림, 김상수, "학교밖 청소년 종합지원체제 구축 운영연구," 청소년상담연구, pp.2-221, 2004. 

  32. 황정숙, 중퇴경험생과 일반재학생의 자아정체감 및 성격특성 비교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33. G. A. Bernstein and C. M. Borchardt, "Anxiety disorders of childhood and adolescence: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ol.30, pp.519-532, 1991. 

  34. 김지현, 초등학교 남녀 학생의 성역할정체감 유형에 따른 자아효능감 및 학교생활 적응 차이 분석,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5. 김신희, 방임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6. 이혜련, "심리상담지원: 치유를 위한 심리치료," 발간자료, 제1호, pp.65-70, 2004. 

  37. 장연정,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사회적 적응간의 관계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38. D. Cicchetti and S. L. Toth, Disorders and Dysfunctions of the Self,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1. 

  39. G. Achenbach, Die Eroffnung, Philosophische Praxis: Vortrage U, Aufsatze. Koln: Verglag fur Philosophie dinter, 1991. 

  40. A. Kazdin, "Adolescent mental health: Prevention and treatment programs," American Psychologist, Vol.48, pp.127-141, 1993. 

  41. R. S. Lazarus and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 1976. 

  42. J. Altrocchi, "Individual differences in pluralism in self-structure," In J. Rowan & M. Cooper (Eds.), The plural self: Multiplicity in everyday life(pp.168-182), London: Sage, 1999. 

  43. 송보라, 이기학, "자기개념 복잡성과 심리적 적응관계에서의 인지적 유연성 및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 성격, 제23권, 제3호, pp.73-88, 2009. 

  44. 유성은,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분노 수준의 관계: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와 가족응집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45. S. Harter and A. Monsour, "Developmental analysis of conflict caused by opposing attributes in the adolescent self-portrait,"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8, No.2, pp.251-260, 1992. 

  46. T. S. Stucke and S. L. Sporer, "When a grandiose self-image is threatened: Narcissism and self-concept clarity as predictors of negative emotions and aggression following ego-threat," Journal of Personality, Vol.70, pp.509-532, 2002. 

  47. 안연옥, 자기애와 공격성 간의 관계: 자존감, 자존감 안정성,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48. 홍정순, 자기개념이 청소년의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49. 김유영, 고등학생의 자기개념 명확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와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50. N. Komiya, G. E. Good, and N. B. Sherrod, "Emotional openness as a predictor of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seeking psychological help,"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7, No.1, pp.138-143, 2002. 

  51. 이민지, 손은정, "낙인과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간의 관계 : 전문적 도움 추구 태도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9권, 제4호, pp.949-966, 2007. 

  52. 김대익, 한국인의 자아개념 명료성에 대한 연구: 성격, 자의식, 행동의 관계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53. 오승환, "저소득 편부모가족의 가족기능과 자녀의 심리사회적 특성 비교 연구: 양친가족, 편부가족, 편모가족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지, 제12권, pp.109-133, 2001. 

  54. 조수민, 가정외보호아동의 낙인감, 자아존중감, 학업성취의 양방향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55. 최인실,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낙인과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56. 정원철, 김진영, "장애대학생의 지각된 낙인과 우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8호, pp.345-355, 2015. 

  57. M. Bigler, G. J. Neimeyer, and E. Brown, "The divided self revisited: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and self-concept differentiation on psychological adjustment,"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Vol.1.20, pp.396-415, 2001. 

  58. J. D. Campbell, B. Chew, and L. S. Scratchley, "Cognitive and emotional reactions to daily events: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complexity," Journal of Personality, Vol.59, pp.473-505, 1991. 

  59. 옥주희, 부정적 자기개념과 자기개념 명확성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부적응적 자지초점적주의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60. L. Stopa, M. J. Brown, M. A. Luke, and C. R. Hirsch, "Constructing a self: The role of self-structure and self-certainty in social anxiety,"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Vol.48, pp.955-965, 2010. 

  61. 문경하, 자기개념명확성과 자의식이 주관적 안녕감 및 평가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