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격특성과 셀프리더십이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Self Leadership on Job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Ownership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9, 2017년, pp.111 - 123  

백수민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정보경영학과) ,  양해술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정보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4차 산업혁명융복합 환경에서 본 연구는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적 역할에 주목하여, 개인의 성격특성과 셀프리더십이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의 성격특성은 직무열의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이직의도에는 심리적 주인의식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만 나타난 점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셀프리더십은 직무열의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이직의도에는 직접적인 정적 영향과 더불어 심리적 주인의식을 매개로 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심리적 주인의식은 직무열의를 높이고,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의 인적자원개발과 조직 관리 차원에서 실무적인 의의를 갖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self-leadership on job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ownership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nvergence environment. Whil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had a significa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성격특성과 셀프리더십, 심리적 주인의식 그리고 직무열의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조직 구성원들의 성격 특성과 셀프리더십이 심리적 주인의식을 매개로 직무열 의와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 먼저 본 연구에서는 성격특성이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성격특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성향으로 검증된 바 있다[32].
  • 본 연구는 개인의 성격특성과 셀프리더십, 심리적 주인의식,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국내 기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파악하였다. 구체적으로 개인의 성격특성과 셀프리더십에 따라 구성원의 직무열의와 이직의도가 영향을 받는지, 또한 심리적 주인의식이 독립변인과 종속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지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기업의 융·복합화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기업의 생존을 위하여 기업의 인적자원개발(HRD: Human Resource Development)에 주목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구성원의 성격특성과 셀프리더십이 심리적 주인의식을 매개로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연구목적과 가설을 도식화하면 [Fig. 1]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성격특성과 셀프리더십, 심리적 주인의식 그리고 직무열의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조직 구성원들의 성격 특성과 셀프리더십이 심리적 주인의식을 매개로 직무열 의와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는 조직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데에 있어서 기업의 인적자원개발(HRD: Human Resource Development) 전략을 세우는데 이론적 측면은 물론 실무적 측면에 있어서도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첫째, 셀프리더십과 성격특성, 심리적 주인의식, 이직의도와 직무열의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과정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점은 실무적, 학술적 차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개인의 성격특성이 직접적으로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아닌 심리적 주인의식을 높이려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함을 학문적으로 규명하였다. 실무적 차원에서 조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이 조직에 대한 소속감과 책임감을 갖고, 지속적으로 근속하려는 의지를 갖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구성원 개개인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 관점에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본 연구는 기업의 융·복합화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기업의 생존을 위하여 기업의 인적자원개발(HRD: Human Resource Development)에 주목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성격특성과 셀프리더십 그리고 심리적 주인의 식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연구가설 1 : 성격특성은 직무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2 : 성격특성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3 : 셀프리더십은 직무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4 : 셀프리더십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5 : 성격특성은 심리적 주인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6 : 셀프리더십은 심리적 주인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7 : 심리적 주인의식은 직무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8 : 심리적 주인의식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9 : 직무열의는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또한 선행연구에서는 각각의 변인으로 효과를 검증한 경우는 있었으나 직무열의와 이직의도 사이의 직접적인 영향을 측정한 경우는 드물었다[40,41].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무열의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보기 위하여 연구가설 9를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격은 어떤 개념인가? 성격(personality)은 일반적으로 한 개인이 타인과 구분되는 특성에 대한 개념으로 학자들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하고 있다. Allport(1961)는 자신이 처한 환경에 대하여 개개인만의 독특한 적응력을 결정하는 정신적이고 신체적인 총체(psychophysical systems)로서의 개인의 역동성 측면에서 성격을 정의하였다[6].
외향성이 높은 조직의 구성원은 어떤 특징이 있을까? 외향성이 높으면 타인과의 교류를 즐기고 의욕적인 경향이 있다[14]. 즉, 외향성이 높은 조직의 구성원은 매사에 의욕적이며 새로운 일에 대한 두려움이 없고 자신감이 높을 수 있다. 호감성 (agreeableness)은 대인관계의 성향을 나타내는 척도로 타인에 대한 호감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15].
문제해결에 사용되는 셀프리더십은 어떤 특징을 갖는가? 셀프리더십은 외부 기준에 의하여 자신의 행위를 조절하던 자기통제와는 달리 자신이 원하는 목표에 맞게 행동했을 때 가질 수 있는 목적의식이나 유능감 등을 느끼게 됨으로써 내적 동기가 발생하도록 하여 더욱 자발적이고 창의적으로 문제에 접근하고 적극적으로 행동하도록 한다. 이때 문제해결을 위해 자신의 행위적 또는 인지적 전략을 활용함으로써 스스로에게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특징을 갖는다[22]. 이렇듯 셀프 리더십은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인식되어 연구되어져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J .H. Han, H. S. Yang,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of Person-Environment Fi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4, No. 10, pp. 225-240, 2016. 

  2. M. E. Brown, "Identifications and some Conditions of Organizational Involvemen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 14, No. 3, pp.346-355, 1969. 

  3. J. D. Seo, "The Effect of SME Entrepreneurs' Personality Traits and Self-leadership on Social Capital Mediated by Social Support", Doctoral degree, Soongsil University, 2016. 

  4. J. J. Kim,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Self-Leadership, Doctoral degree, University of Ulsan, 2011. 

  5. Y. C. Kim, "A Study on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Psychological Ownership Perceived by the Employee of Tourism Industries." Doctoral degree, Daegu University, 2009. 

  6. G. W. Allport, "Patten and Growth in Personality." NY: Holt, Rinehart and Winston, 1961. 

  7. E. M. Rogers, "Diffusion of Innovations." New York: Free Press, 1983. 

  8. H. K. Yu, M. Y. Kim, and H. K. Chung, "Employees' Big 5 Personalit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Customer Performance in Food Service Corporations."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Vol. 16, No. 5, pp. 201-219, 2007. 

  9. I. S. Lee, "An Analysis of Big 5 Personality Model and Business Ethics as Factors fo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Korean management review, Vol. 32, No. 6, pp. 1593-1621, 2003. 

  10. G. W. Allport and H. S. Odbert, "Trait-names: A psycho-lexical study." Psychological Monographs, Vol. 47, No. 1, pp. 171-220, 1936. 

  11. R. B. Cattell, "The description of personality: Principles and finding sin afact or analysis."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Vol. 58, pp. 69-90, 1945. 

  12. L. R. Goldberg, "Language and individual differences: The Big-five factor struct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 ology, Vol. 59, No. 6, pp. 1216-1299, 1990. 

  13. P. T. Costa and R. R. McCrae. "The NEO personality inventory manual",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2. 

  14. O. P. John, L. P. Naumann and C. J. Soto, "Paradigm shift to the integrative big five trait taxonomy: History, measurement and conceptual issues."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Guilford Press, pp. 114-158, 2008. 

  15. J. M. Digman, "Personality structure: Emergence of the five factor model."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 41, pp. 417-440, 1990. 

  16. M. R. Barrick, M. K. Mount and T. A. Judge, "Personality and performance at the beginning of the new millenium: What do we know and where do we go next?." International Journal of Selection and Assessment, Vol. 9, pp. 9-30, 2001. 

  17. J. Y. Son, "The Effect of Big 5 Personality Traits on the Leadership Code of Employees in Korea Corporations."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 27, No. 7, pp. 1073-1089, 2014. 

  18. M. S. Park, "A Study on Causal Relationship among Personality Traits, Emotional Intelligenc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Job Performance." Doctoral degree, Kyng Hee University, 2011. 

  19. C. O. Lee, "Effect of Big 5 Personality Traits of hotel culinary employees and LMX on Innocative Behavior." Doctoral degree, Dong Eui University, 2014. 

  20. C. C. Manz, "Mastering self-leadership: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 Englewood Cliff, NJ: Prentice- Hall, 1992. 

  21. C. C. Manz and H. P. Sims, "The New Super Leadership." San Francisco, CA: Berrett-Koehler Publishers, 2001. 

  22. J. D. Houghton and C. P. Neck,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tionnaire: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 17, pp. 672-691, 2002. 

  23. J. L. Pierce, A. Rubenfeld, and S. Morgan, "Employee ownership: A conceptual model of process and effect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6, pp. 121-144, 1991. 

  24. J. B. Avey, B. Avollio, C. Crossley and F. Luthans, "Psychological Ownership: Theore tical Extensions, Measurement, and Rela tion to Work Outcomes." Journal of Organi zational Behavior, Vol. 30, No. 2, pp. 173-191, 2009. 

  25. A. B. Bakker, W. B. Schaufeli, M. P. Leiter, and T. W. TAaris, "Work engagement: An emerging concept in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Work & Stress, Vol. 22, No. 3, pp. 187-200, 2008. 

  26. W. H. Molbey, "Employee Turnover: Cause, Consequences, and Control." MA: Addision-Wesley, 1982. 

  27. C. Pettijohn, L. Pettijohn, and A. J. Taylor, "Salesperson perceptions of ethical behaviors: Their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s."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 78, pp. 547-557, 2007. 

  28. J. K. Kim and Yu Fu, "The Effect of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on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Chinese Convergency Companie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3, No. 8, pp. 177-189, 2015. 

  29. M. Barak, E. Michal, J. A. Nissly and A. Levin, "Antecedents child welfare, social network, and other human service employees." Social Service Review, Vol. 75, No. 4, pp. 625-661, 2001. 

  30. E. M. McDuff and C. W. Mueller, "The ministry as an occupational labor market." Work and Occupations, Vol. 27, pp. 89-116, 2000. 

  31. W. H. Mobley, O. H. Stanley, and A. T. Hollingsworth. "An evaluation of precursors of hospital employee turnov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63, No. 4, pp. 408-414, 1978. 

  32. H. J. Lee and G. B. Choi, "The Influence of Hotel Service Employee's Personality Trait on Job Performance: Focused on The Mediating Role of Job Resourcefulness and Employee's Service Orientation." Journal of Korean Marketing Association, Vol. 23, No. 3, pp. 117-140, 2008. 

  33. E. J. Kim and T. Y. Yoo, "The effects of job-related variables and personality traits on turnover intention of service employees in the food and beverage industry."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17, No. 3, pp. 355-373, 2004. 

  34. J. Y. Cha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Turnover Behavior of R&D Professionals."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14, No. 2, pp. 23-42, 2001. 

  35. Y. Y. Lee,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job commitment and Job stress: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Work and Life balance, Doctoral degree Hoseo University, 2012. 

  36. S. H. Choi, I. S. Jang, S. M. Park and H. Y. Le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Self-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 tion, Vol. 20, No. 2, pp. 206-214, 2014. 

  37. H. Y. Cho, K. J. Kim, and K. Y. Park. "An Exploratory Analysis of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Psychological Ownership: Focused on Hotel Employee."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Vol. 20, No. 4, pp. 75-97, 2011. 

  38. J. E. Kim and M. O. Kim, "A Study on the Influence of Office Professionals' Psychological Ownership on Job Engagement-Job Consciousness as a Parameter-." Jounral of Secretarial Studies, Vol. 25, No. 1, pp. 185-208, 2016. 

  39. M. S. Heo and M. J. Cheon, "An Empiri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BPI Learning Activity: Factors Influencing Psychological Ownership and Moder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 29, No. 4, pp. 619-649, 2016. 

  40. J. H. Yang, "The Relations of Str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Medical Technician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4, No. 7, pp. 233-241, 2016. 

  41. D. H. Han, B. J. Chun, "The multi-level analysis of the impact on work engagement and job turnover due to colleagues and superiors deviant behavior in the workplace." 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pp. 1226-1259, 2015. 

  42. H. S. Lee, and J . H. Lim, "SPSS 16.0 manual." Paju, Bobmunsa, 2009. 

  43. J. F. Hair, W. C. Black, B. J. Babin, and R. E. Anderson,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ition)."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2009. 

  44. J. H. Kim, S. H. Hong, and B. D. Choo, "Applicatio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Management Studies: A Critical Review." Korean Management Review, Vol. 36, No. 4, pp. 897-923, 2007. 

  45. B. M. Byrn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Basic concepts, applications, and programming (2nd edition)", New York: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2010. 

  46. S. Y. Kim, S. S. Kim, "The effect of new employee's self-leadership on turnover intention", 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14.08, p. 3241,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