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상사에 대한 정서노동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의미창조(Job Crafting)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Subordinate's Emotional Labor on Job Attitude :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Crafting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9, 2017년, pp.167 - 176  

김명소 (호서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이민주 (호서대학교 산업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존의 외부고객 대상의 정서노동 연구를 내부고객으로 확장하여 상사에 대한 정서노동(표면행동, 내면행동)이 직무탈진과 직무열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정서노동과 직무태도(직무탈진,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조직구성원들이 주도적으로 직무요구는 최소화하고 직무자원을 극대화하는 변인인 직무의미창조(Job Crafting)의 조절효과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는 30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표면행동은 직무탈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내면행동은 직무탈진에 부적인 유의한 영향을, 직무열의에는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노동의 부정적 효과를 감소시키고 긍정적 효과를 강화시키는 조절변인을 탐색하기 위해 개인차원 변인인 직무의미창조(Job Crafting)의 조절효과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표면행동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직무의미창조가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의미창조가 개인차원의 자원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결과는 직무 스트레스를 주도적으로 완화시키고자 하는 개인차원의 다양한 노력들도 정서노동의 부정적 효과를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함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다양한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ubordinates' emotional labor on job burnout and job engagement, and verify whether job crafting moder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related attitudes. A total of 301 employees working at various companies in Korea partic...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직무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상사에 대한 정서노동이 직무열의와 탈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정서노동과 직무태도의 관계에서 기존 연구에서 다뤄지지 않았던 개인차원의 주도적 특성 변인인 직무의미창조의 조절효과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가설1. 상사에 대한 정서노동 수행전략은 직무탈진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2. 상사에 대한 정서노동 수행전략은 직무열의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3. 상사에 대한 정서노동과 직무태도 간 관계를 직무의미창조가 조절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업이 직무상황에서 종업원들이 보여야하는 감정과 태도를 관리하기 시작한 이유는 무엇인가? 21세기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라 서비스업 중심의 3차산업이 확대되었다. 좋은 품질의 서비스는 고객만족을 통해 직접적으로 조직의 목표달성에 기여하기 때문에 [1], 기업은 직무상황에서 종업원들이 보여야하는 감정과 태도를 관리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종업원들은 직무상황에서 자신의 실제 정서와 무관하게 조직의 규범에 부합한 정서를 표현하도록 요구받는다[2].
본 논문에서 수행한, 상사에 대한 정서노동이 직무탈진과 직무열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실험의 결과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국내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는 30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표면행동은 직무탈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내면행동은 직무탈진에 부적인 유의한 영향을, 직무열의에는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노동의 부정적 효과를 감소시키고 긍정적 효과를 강화시키는 조절변인을 탐색하기 위해 개인차원 변인인 직무의미창조(Job Crafting)의 조절효과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현재 국 내,외 정서노동 연구의 실정은 어떠한가? 정서노동의 개념을 제시한 Hochschild(1979, 1983)는 고객과의 빈번한 상호작용을 하면서 정서표현을 관리해야 하는 서비스 직무에서 주로 정서노동이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그녀의 주장과 일관되게 현재 국 내,외 정서노동 연구는 서비스직에 초점을 맞춰 항공사 승무원, 콜센터 상담원, 경찰관 등의 직무를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itner, M. J., Evaluating service encounters: the effects of physical surroundings and employee responses. the Journal of Marketing, pp. 69-82, 1990. DOI: http://dx.doi.org/10.2307/1251871 

  2. Ekman, P., Friesen, W. V., Unmasking the face: A guide to recognizing emotions from facial cues, 1975. DOI: http://dx.doi.org/10.1016/b978-0-08-016643-8.50019-7 

  3. Bono, J. E., Foldes, H. J., Vinson, G., Muros, J. P., Workplace emotions: the role of supervision and leadership,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92, no. 5, 1357, 2007.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92.5.1357 

  4. SeonAe Park, JaeChang Lee,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strategy on job burnout and job engagement: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Korea Industrial Oranizational Psychology, vol. 27, no. 4, pp. 781-807, 2014. DOI: http://dx.doi.org/10.24230/ksiop.27.4.201411.781 

  5. Carlson, D., Ferguson, M., Hunter, E., Whitten, D., Abusive supervision and work? family conflict: The path through emotional labor and burnout. The Leadership Quarterly, vol. 23, no. 5, pp. 849-859, 2012. DOI: http://dx.doi.org/10.1016/j.leaqua.2012.05.003 

  6. GunWoo Park, Myoung So Kim, Young Seok Han, Exploration of predictive variables of emotional Labor in subordinate roles and verification of the relations model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vol. 27, no. 1, Korea Industrial Organizational Psychology, pp. 267-290, 2014. DOI: http://dx.doi.org/10.24230/ksiop.27.1.201402.267 

  7. DongKyun Kwon, Myoung So Kim, Yong Seock Han, The Effect of Subordinate's Emotional Labor on Job Burnout & Job Engagement: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28, no. 3, pp. 457-480, 2015. DOI: http://dx.doi.org/10.24230/ksiop.28.3.201508.457 

  8. Brotheridge, C. M., Grandey, A. A.,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60, no. 1, pp. 17-39, 2002. DOI: http://dx.doi.org/10.1006/jvbe.2001.1815 

  9. Tims, M., Bakker, A. B., Derks, D., The impact of job crafting on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well-being.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 18, no. 2, 230, 2013. DOI: http://dx.doi.org/10.1037/a0032141 

  10. Grandey, A. A., Emotional regulation in the workplace: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 5, no. 1, 95, 2000. DOI: http://dx.doi.org/10.1037//1076-8998.5.1.95 

  11. Abraham, R., Emotional dissonance in organizations: Antecedents, consequences, and moderators. Genetic, Social, and General Psychology Monographs, vol. 124, no. 2, 229, 1998. DOI: http://dx.doi.org/10.3200/mono.130.2.117-145 

  12. Rafaeli, A., Sutton, R. I., Expression of emotion as part of the work rol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2, no. 1, pp. 23-37, 1987. DOI: http://dx.doi.org/10.2307/257991 

  13. Lee, R. T., Ashforth, B. E., A further examination of managerial burnout: Toward an integrated model.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 14, no. 1, 3-20, 1993. DOI: http://dx.doi.org/10.1002/job.4030140103 

  14. Rutter, D. R., Fielding, P. J., Sources of occupational stress: An examination of British prison officers. Work & Stress, vol. 2, no. 4, pp. 291-299, 1988. DOI: http://dx.doi.org/10.1080/02678378808257490 

  15. Saks, A. M.,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ployee engagement.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 21, no. 7, pp. 600-619, 2006. DOI: http://dx.doi.org/10.1108/02683940610690169 

  16. Zapf, D., Emotion work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some conceptual consideration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vol. 12, no. 2, pp. 237-268, 2002. DOI: http://dx.doi.org/10.1016/s1053-4822(02)00048-7 

  17. Hobfoll, S. E., Conservation of resources: A new attempt at conceptualizing stress. American psychologist, vol. 44, no. 3, 513, 1989. DOI: http://dx.doi.org/10.1037//0003-066x.44.3.513 

  18. Daniel, K., Rethinking job characteristics in work stress research. Human Relations, 59, pp. 267-290, 2006. DOI: http://dx.doi.org/10.1177/001872670606417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