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석유계 피치를 사용한 리튬전지 음극소재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ithium Battery Anode Materials Using Petroleum Pitches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8 no.5, 2017년, pp.534 - 538  

황진웅 (충북대학교 화학공학과) ,  이종대 (충북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PFO (pyrolyzed fuel oil)의 개질을 통해 탄소전구체(피치)를 제조한 후, 유기용매를 통한 분자량 조절을 하고 탄화하여 음극소재를 제조하였다. 리튬이차전지 음극소재의 전기화학적 특성은 석유계 피치를 사용하여 조사되었다. 사용된 세 종류의 피치는 3903, 4001, 4002이며, 각 PFO를 $390^{\circ}C$ 3 h, $400^{\circ}C$ 1 h, $400^{\circ}C$ 2 h 열처리 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헥산 불용성 피치의 물리적 특성은 XRD, TGA, GPC, SEM으로 분석되었다. 음극소재로서의 피치의 전기화학적 특성은 충 방전, 순환전압전류, 임피던스, 속도 테스트를 통해 조사되었다. 4001 피치를 통하여 제조된 음극소재와 $LiPF_6$ (EC : DMC = 1 : 1 vol%, VC 3 wt%)를 사용하여 제조한 반쪽 전지는 향상된 초기용량(310 mAh/g)을 보였으며, 초기 효율(82%), 2 C/0.1 C 속도특성(90%), 용량 유지율 85%의 특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피치는 사이클 특성과 속도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molecular weight controlled pitches derived from pyrolyzed fuel oil (PFO) were prepared using solvent extraction and were carbonized.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ithium battery anode materials were investigated using these petroleum pitches. Three pitch samples prepared b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저가의 석유계 잔사유를 전구체로 하는 소프트 카본을 제조하여 고 율속에서 안정한 특성을 가지는 음극소재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Pyrolyzed fuel oil (PFO)을 온도와 시간에 따라 개질하여 제조한 석유계 피치를 hexane 용매에 녹인 후 불용분을 탄화하여 hexane insoluble- soft carbon (HI-SC)을 제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흑연 음극소재의 장단점은? 리튬이차전지의 음극소재로 널리 사용되는 탄소소재는 크게 흑연, 소프트 카본, 하드 카본으로 구분된다. 그중 흑연 음극소재는 372mAh/g의 이론용량과 높은 초기 쿨롱 효율을 가지는 장점이 있지만 고 율속에서 전지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4,5]. 따라서 전해액과 부반응이 적고 고 율속에서 전지 성능이 우수한 소프트 카본이 흑연을 대체할 음극소재로 주목받고 있다[6].
흑연 음극소재의 단점으로 인해 주목받는 음극소재는? 그중 흑연 음극소재는 372mAh/g의 이론용량과 높은 초기 쿨롱 효율을 가지는 장점이 있지만 고 율속에서 전지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4,5]. 따라서 전해액과 부반응이 적고 고 율속에서 전지 성능이 우수한 소프트 카본이 흑연을 대체할 음극소재로 주목받고 있다[6]. 소프트 카본은 석유계 피치나 코크스를 열처리하여 얻을 수 있으며 석유계 피치의 경우 유기물의 열분해 혹은 증류로 얻어지는 저온처리 탄소재료로서 처리 온도 상승과 함께 방향족화가 진행되고 탄소 전구체가 형성된다[7,8].
리튬이차전지의 음극소재로 널리 사용되는 탄소소재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리튬이차전지의 음극소재로 널리 사용되는 탄소소재는 크게 흑연, 소프트 카본, 하드 카본으로 구분된다. 그중 흑연 음극소재는 372mAh/g의 이론용량과 높은 초기 쿨롱 효율을 가지는 장점이 있지만 고 율속에서 전지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J. Y. Park, M. Z. Jung, and J. D. Le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ilicon/carbon composites for anode materials of lithium ion batteries, Appl. Chem. Eng., 26, 80-85 (2015). 

  2. B. Xu, D. Qian, Z. Wang, and Y. S. Meng, Recent progress in advanced materials for lithium ion batteries, Mater. Sci. Eng., 73, 51-65 (2012). 

  3. K. S. Eom, T. Joshi, A. Bordes, I. Do, and T. Fuller, The design of a Li-ion full cell battery using a nano silicon and nano multi-layer graphene composite anode, J. Power Sources, 249, 118-124 (2014). 

  4. H. S. Ko, J. E. Choi, and J. D. Le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ithium ion battery anode materials of Graphite/ $SiO_2$ , Appl. Chem. Eng., 25, 592-597 (2014). 

  5. H. Q. Wang, G. H. Yang, L. S. Cui, Z. S. Li, Z. X. Yan, X. H. Zhang, Y. G. Huang, and Q. Y. Li, Controlled synthesis of three-dimensional interconnected graphene-like nanosheets from graphite microspheres as high-performance anodes for lithium-ion batteries, J. Mater. Chem. A, 3, 21298-21307 (2015). 

  6. L. Y. Wang, X. Bai, Y. Wu, N. Lun, Y. X. Qi, and Y. J. Bai, Improving the Li-ion storage performance of commercial $TiO_2$ by coating with soft carbon derived from pitch, Electrochim. Acta, 212, 155-161 (2016). 

  7. J. G. Kim, J. H. Kim, B. J. Song, Y. P. Jeon, C. W. Lee, Y. S. Lee, and J. S. Im, Characterization of pitch derived from pyrolyzed fuel oil using TLC-FID and MALDI-TOF, Fuel, 167, 25-30 (2016). 

  8. A. Cristadoro, S. U. Kulkarni, W. A. Burgess, E. G. Cervo, H. J. R?der, K. Mullen, D. A. Bruce, and M. C. Thies,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the oligomeric constituents of petroleum pitches, Carbon, 47, 2358-2370 (2009). 

  9. J. G. Kim, F. Liu, C. W. Lee, Y. S. Lee, and J. S. Im, Boron-doped carbon prepared from PFO as a lithium-ion battery anode, Solid State Sci., 34, 38-42 (2014). 

  10. Y. N. Jo, M. S. Park, E. Y. Lee, J. G. Kim, K. J. Hong, S. I. Lee, H. Y. Jeong, G. H. Ryu, Z. Lee, and Y. J. Kim, Increasing reversible capacity of soft carbon anode by phosphoric acid treatment, Electrochim. Acta, 146, 630-637 (2014). 

  11. Y. N. Jo, E. Y. Lee, M. S. Park, K. J. Hong, S. I. Lee, H. Y. Jeong, Z. Lee, S. M. Oh, and Y. J. Kim, A study on the $H_3PO_4$ -treated soft carbon as anode materials for lithium ion batteries, J. Korean Electrochem. Soc., 15, 207-215 (2012). 

  12. J. R. Dahn, T. Zheng, Y. Liu, and J. S. Xue, Mechanisms for lithium insertion in carbonaceous materials, Science, 270, 590-593 (1995). 

  13. N. Kobayashi, Y. Inden, and M. Endo, Silicon/soft-carbon nanohybrid material with low expansion for high capacity and long cycle life lithium-ion battery, J. Power Sources, 326, 235-241 (2016). 

  14. S. Yoon, H. Kim, and S. M. Oh, Surface modification of graphite by coke coating for reduction of initial irreversible capacity in lithium secondary batteries, J. Power Sources, 94, 68-73 (2001). 

  15. K. J. Kim, T. S. Lee, H. G. Kim, S. H. Lim, and S. M. Lee, A hard carbon/microcrystalline graphite/carbon composite with a core-shell structure as novel an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Electrochim. Acta, 135, 27-34 (2014). 

  16. Y. J. Han, J. Kim, J. S. Yeo, J. C. An, I. P. Hong, K. Nakabayashi, J. Miyawaki, J. D. Jung, and S. H. Yoon, Coating of graphite anode with coal tar pitch as an effective precursor for enhancing the rate performance in Li-ion batteries: Effects of composition and softening points of coal tar pitch, Carbon, 94, 432-438 (2015). 

  17. J. G. Kim, J. H. Kim, B. J. Song, C. W. Lee, and J. S. Im, Synthesis and its characterization of pitch from pyrolyzed fuel oil (PFO), J. Ind. Eng. Chem., 36, 293-297 (2016). 

  18. D. W. Chung, P. R. Shearing, N. P. Brandon, S. J. Harris, and R. E. Garcia, Particle size polydispersity in Li-ion batteries, J. Electrochem. Soc., 161, 422-430 (2014). 

  19. B. H. Kim, J. H. Kim, J. G. Kim, J. S. Im, C. W. Lee, and S. Kim, Controlling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an anode prepared from pitch-based soft carbon for Li-ion batteries, J. Ind. Eng. Chem., 45, 99-104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