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 급식소의 위생·안전관리와 작업구역별 공기 품질 간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Air Quality of Functional Areas and Hygiene Safety Management Performance in High School Foodservices in Gyeonggi Province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23 no.4, 2017년, pp.350 - 362  

김정리 (단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장혜자 (단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examined evaluated the sanitation management state of the high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as measured by temperature, humidity and airborne bacteria concentration in functional areas and further identified their relationships. Data were collected from 26 high school foodservices in Gy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급식소의 위생ㆍ안전관리 현황을 평가하고, 일부 작업구역별 온도, 습도, 공중부유균의 농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환경위생과 위생ㆍ안전관리 수행도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급식소의 위생ㆍ안전관리 현황을 평가하고 일부 작업구역별 공중부유균의 농도, 습도, 온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 고등학교 학생들이 일과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고 학교급식소에서 하루 2끼 이상을 섭취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고등학교 급식소의 식중독 예방을 위한 철저한 위생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 된다. 본 연구는 급식소의 식중독 예방을 위한 컨설팅 사업의 일환으로 위생ㆍ안전관리 평가와 더불어일부 작업구역별 공중부유균의 농도, 온도, 습도를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위생ㆍ안전관리 평가 결과와 공중부유균, 습도, 온도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비록 공중부유균과 온도, 습도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지 못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의의를 갖는다.
  • 7% 에 불과해 관련 교육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Kim & Moon 2014)와 유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용품과 식품접촉 표면인 기구, 기기를 대상으로 미생물과 같은 유기물질의 오염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ATP 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300 RLU(relative light unit) 이하의 기준 범위에 속하는 샘플은 전체의 20.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급식소의 위생ㆍ안전관리 현황을 평가하고, 일부 작업구역별 온도, 습도, 공중부유균의 농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환경위생과 위생ㆍ안전관리 수행도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등학교급식 식중독 사고는 주로 어떤 학교에서 발생하는가? 2016년에 발생한 학교급식 식중독 사고의 31건 중 24건(77%)이 고등학교에서 발생하였다(Kang 2017). 고등학교 식중독 사고의 대부분이 1일 2∼3식을 제공하는 학교에서 발생하였고, 그 원인으로 식재료 및 조리도구의 충분한 세척과 소독시간 부족이 지적되었다. 고등학 생의 식사량은 초등학생, 중학생보다 많아서 조리종 사원이 준비해야 할 급식 생산량이 많고, 점심식사 제공 후 바로 저녁식사를 준비해야 하는 구조여서 영양(교)사와 조리종사원의 업무 부담이 크다.
고등학교 식중독 사고의 주된 원인은 무엇인가? 2016년에 발생한 학교급식 식중독 사고의 31건 중 24건(77%)이 고등학교에서 발생하였다(Kang 2017). 고등학교 식중독 사고의 대부분이 1일 2∼3식을 제공하는 학교에서 발생하였고, 그 원인으로 식재료 및 조리도구의 충분한 세척과 소독시간 부족이 지적되었다. 고등학 생의 식사량은 초등학생, 중학생보다 많아서 조리종 사원이 준비해야 할 급식 생산량이 많고, 점심식사 제공 후 바로 저녁식사를 준비해야 하는 구조여서 영양(교)사와 조리종사원의 업무 부담이 크다.
1일 2식 이상을 급식하는 고등학 교에서 어떤 어려움을 겪고있는가? 그러나 최근에 1일 2식 이상을 급식하는 고등학 교에서 업무과중에 의한 식중독 예방 관리를 위한 위생관리의 어려움이 지적되고 있다. 2016년에 발생한 학교급식 식중독 사고의 31건 중 24건(77%)이 고등학교에서 발생하였다(Kang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n JM, Kim HA (2013):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anitary knowledge and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in Gyeongnam.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7):1139-1147 

  2. Bae HJ, Jeon EK, Lee HY (2008):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anitation management within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Korean J Food Cook Sci 24(3):325-332 

  3. Chang HJ, Choi GG, Wang TH, Kwak TK (2015): Survey on the ratio of kitchen to total space and ventilation system capacity of kitchens through case studies in Korean foods restaurants. Korean J Food Cook Sci 31(1):33-40 

  4. Chang HJ, Son HJ, Choi GG (2009): Current status of functional areas space and suggestion of their equipment requirements for school foodservices in Gyeonggi province. Korean J Food Cook Sci 25(4):474-487 

  5. Hong WS, Yim JM, Choi YS (2010): The sanitary performance and sanitary educa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in the Seoul area. Korean J Food Cook Sci 26(3):252-262 

  6. Kang MS. In this year, 77% of foodborne outbreaks occurred in high school foodservice facility. Available from: http://www.newswatch.kr/news/articleView.html?idxno7233. Accessed June 21, 2017 

  7. Kim EJ, Choi JH, Kwak TK (2009): Analysis of microbiological hazards to determine S. aureus contamination levels at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Gyeonggi province. Korean J Food Cook Sci 25(3):365-378 

  8. Kim SA, Yi HC, Kim EM, Lee MA, Park JA, Kim JW (2007): Assessment of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as foodservice environments. Korean J Food Cook Sci 23(3):321-326 

  9. Kim TH, Chang HJ, Yoon JH (2004): Design and layout of foodservice facilities. 2nd ed. Sigmapress. Seoul 

  10. Kim TH. Be delayed modernization service in old foodservice facilities. Available from: http://www.news300.kr/sub_read. html?uid9754§ionsc2. Accessed June 5, 2017 

  11. Kim YH, Lee YK (2011): An evaluation of food delivery worker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s that supply food to school foodservices. Korean J Nutr 44(1):74-81 

  12. Kim YS, Moon HK (2014): Microbiological quality evaluation of foods (Ojingeochaesomoochim : vegetable salad with blanched squid) that went through cooking process after heating treatment in school food services. Korean J Food Cook Sci 30(1):51-63 

  13. Kwak TK, Ryu ES, Lee HS, Ryu K, Choi SK, Hong WS, Jang MR, Moon HK, Chang HJ, Choi EH, Choi JH, Lee NY (2016): Institutional foodservice operations. Shinkwang Publisher. Seoul. pp.18-19 

  14. Lee KM, Ryu K (2007): Field assessment of sanitation management for school foodservice suppliers in the Seoul area. Korean J Food Cook Sci 23(5):650-663 

  15. Meklin T, Husman T, Vepsalainen A, Vahteristo M, Koivisto J, Halla-Aho J, Hyvarinen A, Moschandreas D, Nevalainen A (2002): Indoor air microbes and respiratory symptoms of children in moisture damaged and reference schools. Indoor Air 12(3):175-183 

  16. Min JH, Park MK, Kim HJ, Lee JK (2015): Systemic analysis on hygiene of food catering in Korea (2005-2014). J Food Hyg Saf 30(1):13-27 

  17. Park SH, Moon HK (2017):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and working environment in university foodservices. J Korean Diet Assoc 23(2):180-191 

  18. Rajasekar A, Balasubramanian R (2011): Assessment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in food courts. Build Environ 46(10):2018-2087 

  19. Shin MH, Youn JS, Kang KO (2009): Estimating recognition of sanitation and sanitary education in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from the Kyunggi area. J East Asian Soc Diet Life 19(2):301-309 

  20. Shin WS, Hong WS, Lee KE (2008): Assessment of microbiological quality for raw materials and cooked foods in elementary school food establishm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3):379-389 

  21. Smets W, Moretti S, Denys S, Lebeer S (2016): Airborne bacteria in the atmosphere: presence, purpose, and potential. Atmos Environ 139(8):214-221 

  22. Sung KH, Kim HA, Jung HY (2013): Comparative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factors between permanently and temporarily employed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in Gyeongsangnam-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5):808-817 

  23. The Ministry of Education. Measures for controlling school foodservice foodborneillness. Available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18&boardSeq50166&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30207&opTypeN. Accessed May 1, 2015 

  24.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2015 position of school foodservice. Available from: http://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18&boardSeq64387&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30207&opTypeN. Accessed June 30, 2017 

  25.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easy HACCP management (a revised edition). Avaliable from: http://www.mfds.go.kr/index.do?mid1162&seq11024&cmdv. Accessed May 4, 2016 

  26. Woo HI, Kim JB, Choi JH, Kim EH. Kim DS, Park KS, Kim EJ, Eun JB, Om AS (2012): Evaluation of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company of red pepper powder. J Food Hyg Saf 27(4): 427-431 

  27. Yoon JS, Kim OS, Hwang SY, Chung YK, Kang KO (2009): The status of foodservice operations and perceived performance of management for school dietitians in the Kyunggi area. J East Asian Soc Diet Life 19(2):256-264 

  28. Zhu H, Patrick EP, Duan T, Gregory BR, Fernando HJS, Che F (2003): Experimental study of indoor and outdoor airborne bacterial concentrations in Tempe, Arizona USA. Aerobiologia 19(3-4):201-2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