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병원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공감만족, 공감피로, 소진 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Compassion Satisfaction, Compassion Fatigue, Burnout for Nurses in Children's Hospital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3 no.4, 2017년, pp.459 - 469  

최희강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문) ,  박지선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문) ,  박미정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문) ,  박보배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문) ,  김예슬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문)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Nurses experience burnout related to various factors. For this descriptive research job stress, compassion satisfaction, and compassion fatigue were examined as to their relationship to burnout in nurses from children's hospital.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05 nurses working in childr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3개월 이상 근무한 어린이병원 간호사 전수를 조사하여 환자를 돌보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업무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전문적 삶의 질 척도인 공감만족, 공감피로와 소진을 포함하여 이들 상호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어린이병원 간호사는 중등도 이상의 업무 스트레스를 보이고 공감만족, 공감피로와 소진 또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중등도 이상으로 경험하고 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의한 결과들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어린이병원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공감만족, 공감피로, 소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결과 어린이병원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 점수는 3.
  • 본 연구는 어린이병원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공감만족, 공감피로, 소진의 정도를 조사하여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고, 업무 스트레스와 공감만족, 공감피로, 소진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병원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공감만족, 공감피로, 소진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병원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공감만족, 공감피로, 소진의 정도를 확인한다.
  •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응급실 간호사와 혈액종양병동 및 수술실,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14-17], 어린이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업무 스트레스와 공감만족, 공감피로, 소진을 함께 살펴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병원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공감만족, 공감피로, 소진 간의 관계를 확인하여 향후 어린이병원 간호사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린이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성인 병동이나 특수부서 간호사에 비해 업무스트레스가 높고 이직하는 이유는? 한편, 어린이병원 간호사는 신생아부터 청소년까지 다양한 연령의 입원 아동이 간호의 대상자이며 그들에게 발달단계에 맞는 개별 간호를 제공해야 할 뿐 아니라, 가족 모두가 간호의 대상이 되는 상황 속에서 어려움을 경험한다[7,8]. 어린이병원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를 살펴본 선행 연구에서도 입원 아동 어머니의 간호사정, 직접 간호, 상담 및 교육, 시설 및 환경 등에 대한 간호요구도가 높아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이는 어린이병원을 기피하는 현상으로 이어짐을 언급한 바 있다[9,10]. 일례로 어린이병원 간호사는 정맥천자와 같이 일상적으로 행해지는 침습적인 처치에도 성인에 비해 간호업무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많고, 투약 시 몸무게에 따른 약물의 미세한 용량조절에 능숙해야 한다[11,12]. 이러한 이유들로 어린이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는 성인 병동이나 중환자실, 인공신장실과 같은 특수부서에 근무하는 간호사에 비해 업무 스트레스가 높으며, 이는 이직으로 연결되고 있다[9].
공감피로는 무엇인가? 소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공감피로와 공감만족이 있다. 공감피로는 간호사가 환자의 고통에 공감하며 환자 곁에서 환자의 고통을 함께 겪으며 발생하는 부정적 정서인 반면, 공감만족은 이러한 과정에서 환자를 돌보면서 얻게 되는 즐거운 감정이다. 따라서, 긍정적인 감정의 공감만족은 부정적인 감정의 공감피로를 완충하거나 조절하는 효과가 있으며, 소진을 줄이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5,6].
소진을 예방하고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의 마련이 필요한 이유는?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소진현상은 병원 내 환자와 보호자의 요구, 환자의 죽음, 과다한 업무량, 의사 및 동료와의 갈등, 업무의 수행과정 등으로 인해 나타난다. 이러한 간호사 개인의 소진은 동료 간호사의 근무의욕과 능률 감소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전반적인 간호의 질을 저하시키고 환자안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소진을 예방하고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3,4]. 소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공감피로와 공감만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MR, Seomun GA. Relationships among burnou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o resign in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3;22(2):93-101. https://doi.org/10.5807/kjohn.2013.22.2.93 

  2. Kim SH, Yang YS. A meta 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burnout of nurse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5;13(8):387-400. https://doi.org/10.14400/jdc.2015.13.8.387 

  3. June KJ, Byun SW. Nurse's burnout research throughout the past 10 yea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3):305-313. 

  4. Meadors P, Lamson A, Swanson M, White M, Sira N. Secondary traumatization in pediatric healthcare providers: compassion fatigue,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OMEGA-Journal of Death and Dying. 2010;60(2):103-128. https://doi.org/10.2190/om.60.2.a 

  5. Burtson PL, Stichler JF.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nurse caring: relationship among motivational factor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0;66(8):1819-1831. https://doi.org/10.1111/j.1365-2648.2010.05336.x 

  6. Stamm BH. The Concise ProQOL Manual. [Internet]. NY: 2010 [cited 2017 August 18]. Available from https://nbpsa.org/images/PRP/ProQOL_Concise_2ndEd_12-2010.pdf 

  7. Lloyd MG, Urquhart L, Heard A, Kroese B. When a child says 'no': Experiences of nurses working with children having invasive procedures. Paediatric Nursing. 2008;20(4):29-34. https://doi.org/10.7748/paed.20.4.29.s24 

  8. Hong E, Yang YJ.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of pediatric nurses: Focusing on self-eficacy, emotional labor, pediatric nurse-parent partnership.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5;21(3):236-243. https://doi.org/10.4094/chnr.2015.21.3.236 

  9. Park MH. The effect of job stress on positive think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pediatric nurse. Crisisonomy. 2014;10(11):269-287. 

  10. Cho EJ, Bang KS. Nursing professionalism, self-efficacy and nurse parent partnership in pediatric nurse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3;19(2):94-101. https://doi.org/10.4094/chnr.2013.19.2.94 

  11. Kim EJ. The Relationship among ego-states and job stress of nurses at pediatrics. The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2013;21(1):31-40. 

  12. Lee MS. Study of nurses in emergency department on the stress and job satisfaction related to nursing of emergency pediatric patients [dissertation]. Seoul: KyungHee University; 2012. p. 1-60. 

  13. Sarwar S R, Mangewala V, Baron R. Helping the angels: a review of understanding and helping dying children. Innovations In Clinical Neuroscience. 2013;10(3):31-34. 

  14. Kim JS, Kim GS, Choi MN, Lee HK. Factors associated with burnout for nurses working in hematology-oncology ward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1;20(1):24-34. https://doi.org/10.5807/kjohn.2011.20.1.024 

  15. Kim HJ, Choi HJ. Emergency nurse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Compassion satisfaction,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3):320-328. https://doi.org/10.11111/jkana.2012.18.3.320 

  16. Yang HS. Effects of work stress,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in operating room nurses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ersity; 2013. p. 1-71. 

  17. Lim DS, Cho BH. The study on stress, hardiness, and professional burnout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7;14(1):120-127. 

  18. Kim MJ, Gu MO. The development of the stress measurement tool for staff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83;14(2):28-47. https://doi.org/10.4040/jnas.1984.14.2.28 

  19. Park CH, Koh HJ.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nursing performance of emergency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998;11(1):146-157. 

  20. Figley CR. Compassion fatigue: coping with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ose who treat the traumatized. 1st ed. NY: Routledge;1995. 

  21. Kang HJ, Bang K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elf-reflection program for intensive care unit nurses who have experienced the death of pediatr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17;47(3):392-405. https://doi.org/10.4040/jkan.2017.47.3.392 

  22. Kim SR, Kim HY, Kang JH. Effects of type D personality on compassion fatigue, burnout, compassion satisfaction, and job stress in clinical nurses.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 (3):272-280.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3.272 

  23. Cho HN, Kim SJ. Relationship of job stress, hardness, and burnout among emergency room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4;23(1):11-19. https://doi.org/10.5807/kjohn.2014.23.1.11 

  24. Kim YH, Suh BH. Comparative study regarding job stress of nurses working in pediatric ward and general ward. Poster session presented at: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Summer Conference; 2006 June-53; College of Nursing Yonsei University. Seoul. 

  25. Kang JM, Kim WS, Cho HH. Effects of social capital, labor intensity and incivility on job burnout in pediatric nurse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7;23(1):61-69. https://doi.org/10.4094/chnr.2017.23.1.61 

  26. Kim S, Kim JH, Park JY, Suh EY, Yang HJ, Lee SY, et al. (2010). Oncology nurse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n a tertiary hospital.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0;16(3):145-155. 

  27. Lee JM, Yom YH. Effects of work stress,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5):689-697.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5.689 

  28. Hong JY. Relationships between professional self concept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mong nurses in ICU [dissertation]. Busan: Kosin University; 2015. p. 1-68. 

  29. Stamm BH. Measuring compassion satisfaction as well as fatigue: Developmental history of the compassion fatigue and satisfaction test. NY: Brunner-Routledge; 2002. p. 107-119. 

  30. Kim YO. A study of factors predicting burnout in hospital staf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2;14(4):591-60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