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효능감 및 학업성취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0, 2017년, pp.462 - 470  

유경훈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효능감과 학업 성취 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197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 학습능력 검사,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업성취도 점수를 수집하였다.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학업성취를 더 잘 설명하는 자기주도 학습능력 검사,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의 하위변인들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업적 효능감과 학업성취는 정적인 상관이 있었으며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 취에서도 높은 정적 상관이 밝혀졌다. 회귀분석에 의한 설명력을 살펴보면 학업적 효능감에서는 자기조절 효능감과 과제난이도가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이었으며, 자기주도 학습능력에서는 자신의 학습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자기평가력과 스스로 학습을 선택하고 계획하며 자신의 과정을 확인하며 결과까지 평가하는 독립성 변인이 유의한 설명변인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하여 교육현장에서 학업적 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의 이러한 변인들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7 sixth grad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s am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동안의 연구가 주로 중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점과 세 변인을 함께 살펴본 연구가 없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효능감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및 학업성취에의 설명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어떤 관점에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가?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고 자기능력 수준에 맞도록 학습을 조절할 수 있어 학업성취에 효과적이라는 관점에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개념이 바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다.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구성 요인, 측정, 신장 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활발하게 수행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동기유발과 관련된 교육적 맥락에서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구성 요인, 측정, 신장 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지식의 생성 소멸 주기가 짧아짐에 따라 정규 교육과정에서 습득한 지식은 한계가 있으며 학교라는 공간 밖에서도 창의적인 사고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지닌 인간을 절실히 요구하는 현재의 사회적, 시대적 환경에서 학습자 스스로가 인지적, 동기적, 그리고 행동적 조절 전략을 활용하여 학습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자기주도적 학습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습득이 미래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매우 중요한 학습방법이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이란 무엇인가? 학업적 자기효능감(academic self-efficacy)이란 학습자가 과제수행에 필요한 행위를 조직하고 실행해 나가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판단[5]이며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의 요인을 포함한다. 학교에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능력 이상을 발휘하는 학생이 있는가 하면 자신의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쉽게 학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심지어 무력감을 느끼며 학업을 포기하는 수동적인 태도를 보이는 학생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H. J. Park, Test of Group invariance for the structural model among motivation, self-concept and student achievement: Using PISA 2006 data,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vol. 21, no. 3, pp. 43-67, 2008 

  2. Chang, L., McBride-Chang, C., Stewart, S. M., & Au, E.,Life satisfaction, self-concept, and family relations in chinese adolescents and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Studies, vol. 7, no. 2, pp. 182-189, 2003. DOI: https://doi.org/10.1080/01650250244000182 

  3. Murray-Harvey, R., Relationship influence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psychological health, and well-being at school. Educational and psychology, vol. 27, no. 1, pp. 104-115, 2010. 

  4. Jin, S., Moon, S. M., A study of well-being and school satisfaction among academically talented students attending a science high school in Korea. The Gifted Child Quarterly, vol. 50, no. 2, pp. 169-190, 2006. DOI: https://doi.org/10.1177/001698620605000207 

  5.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ew York: Prentice Hall, 1986. 

  6. J. H. Shin, T. S Shin, The 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Self-efficacy, Perceived Teacher Expectancy, and Home Environment,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vol. 15, no. 1, pp. 5-23, 2006 

  7. R. K. Ryou, W. Y. Eom, S. Y. Choi, Effects of a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in Relation to Academic Self-Efficacy, Expectations of Others, and Academic Achievem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24, no. 3, pp. 661-685, 2010 

  8. Zimmerman, B. J., Bandura, A., & Martinez-Pons, M., Self-motivation for academic attainment: The role of self-efficacy beliefs and personal goal-setting.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9, pp. 663-676, 1992. DOI: https://doi.org/10.3102/00028312029003663 

  9. Tough, A., The adult's learning projects: A fresh approach to theory and practice in adult learning (2nd ed). Toronto: Ontario Institute for Studies in Education, 1979. 

  10. Knowles, M., Andragogy in ac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1985. 

  11. Long, H. B., Philosophical, psychological and practical justifications for studying self-directed for in learning. In H. B. Long & Associates (Ed.), Self-directed for learning: Application and research.. Norman, 1992. 

  1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7th revision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7. 

  13. Guglielmino, L. M.,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vol. 38, no. 11a, p. 6467, 1977 

  14. Y. J. Bae, A Qualitative Study on Self-directed Learning of Seven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vol. 19, no. 4, pp. 213-232, 2011. 

  15. Long, H. B., Walsh, S. M., An analysis of a modified form of Guglielmino's self-directed leaning readiness scale. In H. B. Long & Associates (Ed.), Self-directed learning: Application and research. Norman, OK: Oklahoma Research Center for Continuing Professional and Higher Education, 1992. 

  16. Morris, S. 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a nontraditional higher education program.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Oklahoma. 1995. 

  17.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This is Bandura's seminal article in which he introduced the construct of self-efficacy, 1977. 

  18. A. Y. Kim, I. Y. Park,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Scal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39, no. 1, pp. 95-123, 2001 

  19. D. J. Lee, (The) Effects of Individualized Open Classroom Practices on Children's Self-Directed Learning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Achievement, Dong_A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