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TEAM R&E를 통한 고등학생의 창의적 인재 역량 변화
Changes in High School Students' Creative Leader Competency through STEAM R&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7 no.5, 2017년, pp.825 - 833  

문공주 (이화여자대학교) ,  문지영 (이화여자대학교) ,  황요한 (이화여자대학교) ,  김성원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교육부는 미래 과학기술 발전을 주도할 창의적이고 융합적 역량을 갖춘 인재 융성을 강조하고 있다. 융합인재교육(STEAM)은 학생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높이고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STEAM R&E는 실생활과 관련된 융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생이 자기 주도적으로 연구 설계를 함으로써 미래 인재 역량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STEAM R&E 프로젝트를 수행한 뒤 고등학생의 창의적 인재 역량이 변화하였는지를 탐색하였다. 창의적 인재 역량 검사는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영역으로 구성되며, 검사지는 각 영역별로 해당 요소를 측정하는 리커트 스케일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이에 2016 STEAM R&E에 참여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창의적 인재 역량 변화를 정량적으로 살펴보았고, 과학고등학교와 영재학교, 과학중점학교, 일반계 고등학교 간의 변화 차이를 비교해보았다. 연구 결과, STEAM R&E 프로젝트를 통해 전체 학생의 창의적 인재 역량이 세가지 영역 모두 향상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과학고등학교와 영재학교 학생들은 사전-사후검사 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과학중점학교와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창의적 인재 역량이 유의미하게 향상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STEAM R&E 활동이 일반고와 과학중점학교 학생들의 창의적 인재 역량의 함양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으며, 학생들의 창의적 인재 역량이 어떻게 성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적 탐구가 후속연구로 진행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has emphasized human resource development with creative and convergent ability for future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Korean STEAM Education aims to enhance students' interest and their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well as to develop students'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사 워크숍은 5월 중에 시행되었으며 STEAM R&E 지도교사를 대상으로 R&E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한 교사의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이 같은 측정 도구는 학생들이 자신의 역량에 대한 자기 보고를 수치화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역량에 대한 직접적인 측정 결과라고 볼 수는 없다. 따라서 본 도구를 사용한 측정 결과는 학생들 개개인의 역량을 수치화한 것이라기보다는 연구에 참여한 샘플 집단의 평균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고등학생들의 협력적 프로젝트 참여 경험에서의 변화 양상에 대한 탐색적 해석을 하는 것에 집중하였다.
  • 또한 과학고등학교, 영재학교, 과학중점학교, 일반계 고등학교 간의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여 과학중점학교와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STEAM R&E 프로젝트 수행과정을 통해 어떤 성장을 이룰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2016년 수행된 STEAM R&E 프로젝트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2016 STEAM R&E 활동에 참여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인재 역량 수준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STEAM R&E 라고 불리는 협력적 프로젝트를 통해 학생들의 창의적 인재 역량이 변화하였는지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정량적으로 탐색하였다.
  • 이에 기존의 R&E 프로그램이 영재학교와 과학고등학교, 과학중점학교에서 학생들이 실제 연구 과정을 경험하여 창의적 이공계연구자 양성을 목표한 것(Lee, Choi, & Hwang, 2011; Seo et al.,2006)과는 달리 STEAM R&E 사업은 일반고 학생들에게도 R&E와 같은 장기간의 프로젝트 학습을 경험하게 하여 그 효과로 창의성이 성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Kim et al., 2016).
  • 이에 본 연구에서는 STEAM R&E 프로젝트를 통해 STEAM 교육의 목표 중 하나인 창의적 인재 역량이 성장할 수 있는 것인지 그 변화를 확인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STEAM R&E를 통한 학생들의 창의성 성장을 확인하여 본 사업이 목표한 성과를 낼 수 있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래 사회를 이끄는 혁신적인 생각을 발명하기 위해서는 어떤 역량들을 갖춰야 하는가? 미래 사회를 이끄는 혁신적인 생각을 발명하기 위해서는 비판적 사고력, 창조적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다원화 사회 적응력 등의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미국의 P21(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은 21세기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여,21세기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능력인 ‘창의와 혁신’을 ‘창의적으로 사고하기’, ‘창의적인 협업’, ‘혁신의 실행’으로 구분하였다.
영국에서 창의적인 인재양성을 위해 어떤 프로젝트를 시행하였는가? 미국의 P21(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은 21세기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여,21세기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능력인 ‘창의와 혁신’을 ‘창의적으로 사고하기’, ‘창의적인 협업’, ‘혁신의 실행’으로 구분하였다. 영국의 ‘창의 문화 교육 자문위원회(National Advisory Committee on Creative and Cultural Education, NACCCE)’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높이기 위해 50년에 걸친 계획으로 미래 학교 만들기 프로젝트를 시행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창의적인 인재양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미국의 P21은 21세기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목표로하여, 21세기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능력을 무엇으로 구분하였는가? 미래 사회를 이끄는 혁신적인 생각을 발명하기 위해서는 비판적 사고력, 창조적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다원화 사회 적응력 등의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미국의 P21(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은 21세기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여,21세기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능력인 ‘창의와 혁신’을 ‘창의적으로 사고하기’, ‘창의적인 협업’, ‘혁신의 실행’으로 구분하였다. 영국의 ‘창의 문화 교육 자문위원회(National Advisory Committee on Creative and Cultural Education, NACCCE)’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높이기 위해 50년에 걸친 계획으로 미래 학교 만들기 프로젝트를 시행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heong, Y., Kim, E., Jung, M., & Lee, J. (2014). Development of a question list in accordance with stage of research, which guides open inquiry of gifted students in science.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4(1), 63-80. 

  2. Chi, E. & Ju, U. (2012). Exploring the construct and developing the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creative leader competency.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5(1), 69-94. 

  3. Cho, Y. (2011). Th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creative leader cultivation. In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Ed.) Forum on the Direction of Secondary School Education for Fostering Creative Leadership: How should secondary school education change to foster creative leadership?(ORM 2011-17).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4. Choe, H. & Tae, J. (2015).The meaning and value of R&E(Research and Education) experiences of science specialized high schools: gathering voices of graduates by individual interview.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14(3), 51-79. 

  5. Choi, H., Kang, H., Seo, H., Park, I., Lee, H., Lee, J., Park, K., & Park, J. (2003). Development of research & education program for the enhancement of creativity (Korean Foundation of Advanced Creativity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 Report 2002-5092). 

  6. Choi, S., Kim, J., Ban, S., Lee, K., Lee, S., & Choi, H. (2011). Future strategies for educating creative talents in the 21st century(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port RR2011-01) 

  7. Cropley, A. J. (2001). Creativity in Education and Learning. London: Kogan Page. 

  8. Gu, M. Kim, J., Park, C., Kim, Y., & Seo, Y. (2011). Analyzing the creative process of the pauling's research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4(1), 63-80. 

  9. Han, K., Chun, M., Mah, J., & Shin, Y. (2009). An analysis of adaptability for the self-designed concentration and independent study, 3(2), 101-121. 

  10. Han, W., Kang, Y., & Kim, J. (2013). Problem-finding and problem-solving processes under ill-structured scientific problem situ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Teacher Education Research, 52(2), 195-214. 

  11. Houseal, A. K., Abd-El-Khalick, F., & Destefano, L. (2014). Impact of a student-teacher-scientist partnership on students' and teachers' content knowledge,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pedagogical practic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1(1), 84-115. 

  12. Hwang, Y. (2015).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education about research design to student researchers in science and engineering through extraction of problem specification elements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3. Johnson, S. K. & Johnson, K (1986). Independent study program. Waco, TX. Purfrock Press. 

  14. Jung, H., Chae, Y., & Ryu, C. (2012). Study on Research and Education (R&E) programs in science high schools and science academies: focusing on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s between students and mento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7), 1139-1156. 

  15. Jung, H., Ryu, C., & Chae, Y. (2012). Research and Education (R&E) programs in the science high schools and gifted high schools: based on the interview results with the R&E coordinator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2(2), 243-264. 

  16. Kim, S. (2011). Direction of evaluation of education for creative leader upbringing. In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Ed.) Forum on the Direction of Secondary School Education for Fostering Creative Leadership: How should secondary school education change to foster creative leadership?(ORM 2011-17).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7. Kim, Y. (2017, July 12). Science high school and gifted school students, they fallen behind with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n the third grade of college. Article of chosun.com. Retrieved from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7/12/2017071200311.html 

  18. Kim, W., Kim, Y., Seo, H., & Park, J. (2013). Thomas Young's problem solving through analogical reasoning in the process of light inference theory forma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tific creativity educatio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3(5), 817-833. 

  19. Kim, S., Mun, K., Hwang, Y., Mun, J., Gao, L., & Cho, M. (2016). Report about 2016 STEAM R&E Support and Research Team(2-2016-0862-001-1). Seoul: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20. Kim, J., Na, J., & Song, J. (2017).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forming the strategic community of practice for science education: a case of science core school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cience Education Association, 37(1), 169-179. 

  21. Kim, Y., Seo, H., & Park, J. (2013). An analysis on problem-finding patterns of well-known creative scientis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3(7), 1285-1299. 

  22. Kwak, Y. (2011). The concept of creative leader to be taught through school education. In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Ed.) Forum on the Direction of Secondary School Education for Fostering Creative Leadership: How should secondary school education change to foster creative leadership?(ORM 2011-17).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3. Lee, K., Cho, N., Oh, E., Kwan, J., Kim, H., Chi, E., & Hong, W. (2011).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econdary school education for cultivating students' creativity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port RRC 2011-2). 

  24. Lee, K., Choi, Y., Hwang, S. (2011). Developmen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program based on team project. Korean Society for Creativity Education, 11(2), 141-160. 

  25. Lee, M. & Kim, H. (2016).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shift in scientific practice and perception through the R&E participation: on the perspective of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of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6(3), 371-387. 

  26. Lim, J. (2004). A Study on applicability of blended learning strategy in K-12 school setting.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2), 399-431. 

  27. Moss, D. M., Abrams, E. D., & Kull, J. A. (1998). Can we be scientists too? Secondary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tific research from a project-based classroo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7, 149-161. 

  28. Mun, J. (2015). Characteristics of the scientific imagination in scientists' inquiry process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9. Park, J., Yoon, J., Kang, S. (2014). The development on core competency model of scientist and its verification for competency-based science gifted educatio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4(4), 509-541. 

  30. Renzulli, J. S. & Reis, S. M. (1997). The schoolwide enrichment model: How-to-guide for educational excellence (2nd ed.).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31. Seo, H., Jung, H., Son, J., Choi, K., Ha, B., Park, J. Sung, Y. (2006). Directions for establishment of a science academy in Gyeonggi-Do (Gyeonggi Research Institute Report). 

  32. Seo, J., Han, S., Kim, H., & Jeong, J. (2012).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n ill-structured problem-solving proc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5(1), 8-19. 

  33. Shin, N., Jonassen, D., & McGee, S. (2003). Predictors of well-structured and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in an astronomy simul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1), 6-33. 

  34. Sun, K. (2014). A study on the effects of teachers' feedback and methods of performance assessment on Korean writing skills and creative leader competency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35. Yu. Y., Kang Y., & Kim, J. (2013). The relationships among scientific creativity and general creativity, meta-cognition,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Study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 109-12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