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의사소통능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Professional Autonomy, Communication Competency on Job Satisfaction of Psychiatric Nurses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5 no.3, 2018년, pp.232 - 239  

박소영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professional autonomy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on the job satisfaction of psychiatric nurses. Methods: Participants were 141 psychiatric nurses working in psychiatric departments in 5 provincial hospitals. The questionnaire was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복잡하고 다양한 정신 건강관리 체계 내에서 정신 간호사의 역할이 확대되고 그 기대도 높아지고 있으나 정신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주요한 직무 수행 능력인 전문직 자율성과 의사소통능력의 직무 만족도와의 상호 관계에 관한 연구 역시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정신 간호사가 지각하는 전문직 자율성, 의사소통능력 및 직무 만족도의 수준을 파악하고, 정신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의사소통능력이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정신 간호 서비스의 질적인 향상 및 인력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정신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의사소통능력, 월평균 소득(≥300만원)이 정신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정신 간호사를 대상으로 전문직 자율성, 의사소통능력 및 직무 만족도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 관계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함으로서 효율적인 간호업무수행과 정신 간호 서비스의 질적 향상 및 인력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가 지각하는 전문직 자율성, 의사소통능력, 직무만족도 정도를 파악하고, 전문직 자율성과 의사소통능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를 대상으로 전문직 자율성과 의사소통능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사소통능력이 강조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의사소통능력은 정신 간호사의 직접 간호 업무 외에 환자의 질병 회복과 건강 유지 및 증진을 돕는 역할, 간호 계획을 수립하고 조정하는 역할, 환자 및 보호자에 대한 교육과 상담 역할 등을 담당하면서 주요 치료 기법으로 더욱 강조되고 있다[5]. 간호사의 치료적 의사소통능력은 대상자에게 신뢰감, 친밀감을 느끼게 하고, 의사소통능력이 높은 간호사는 직무만족도가 높고 직무 스트레스는 낮아 그 조직에 헌신하고자 하는 정도가 높아지게 되므로[6], 의사소통능력은 정신간호사에게 요구되는 필수적인 능력이며 업무 수행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전문직 자율성이란 무엇인가? 전문직 자율성은 복잡한 지식과 기술에 근거한 독립적이면서도 상호의존적인 실무관련 의사결정이라고 할 수 있다. 정신 간호사는 다른 전문직과 협동으로 대부분 업무를 수행 하지만, 전문직 중 가장 많은 시간 동안 환자들을 돌보며 더 자주 갈등이나 문제 상황을 마주하게 된다.
정신 간호사에게 전문직 자율성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의사들의 부적절한 업무위임에 대한 경험도 보고되고 있고, 이것이 직무 불만족의 요인이라는 사실은 꾸준히 보고되어 왔다[4]. 정신 간호사도 예외는 아니어서, 위임된 업무에 대해 전문적으로 판단하고 상황을 보고해야 하며 환자를 수시로 사정하고, 법적, 윤리적 표준 수행 범위 안에서 간호를 수행해야 하는 경 우가 흔히 있다. 따라서 다른 어느 분야보다 자율성이 요구되어 진다고 볼 수 있으나, 현재까지의 정신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ational Center for Mental Health, Report on the Current Situation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2017 August:1-13. www.ncmh.go.kr 

  2. Kim CH. A Study of Contents and Resolutions in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Journal of Korea Public Land Law Association. 2017;80:303-331. 

  3. Cho YH. Relationship of Psychiatric Nurse Image, Job Satisfaction and Assertiveness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14;23(3):135-143. https://doi.org/10.12934/jkpmhn.2014.23.3.135 

  4. Chi SA, Yoo HS. Concept analysis of professional nurse autonomy. Journal of Korean Acadamy Nursing. 2001;31(5):781-792. 

  5. Kang HS, Kim YY. Influence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tress coping on turnover intention in psychiatric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1):141-151. https://doi.org/10.5762/KAIS.2016.17.1.141 

  6. Cho YH. Effects of empathy, communication ability and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on psychiatric nurses' imag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16;25(4):294-302. https://doi.org/10.12934/jkpmhn.2016.25.4.294 

  7. Kang YS, Cho GY.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nd job satisfaction of the hospital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2;6(2):45-56. https://doi.org/10.12811/kshsm.2012.6.2.045 

  8. Yang S, Lee GJ, Yu SJ, A comparative study on work satisfaction of PMHNPs in the hospital and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01;13(4):487-495. 

  9. You, K, Lee, K. Job satisfaction of psychiatric and community mental health nurses in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2;21(2):108-115. https://doi.org/10.5807/kjohn.2012.21.2.108 

  10. Park JW, Choi EJ.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in long term care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 Industrial bruden for caring problematic Behaviors in Dementia. 2015;16(11):7403-7413. 1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11.7403 

  11. Yang YK.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work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in psychiatric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15;24(4):226-235. https://doi.org/10.12934/jkpmhn. 

  12. Ward M, Cowman S. Job satisfaction in psychiatric nursing. Journal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07 Aug;14(5):454-461. 

  13. Zheng Z, Gangaram P, Xie H, Chua S, Ong SBC, Koh SE. Job satisfaction and resilience among psychiatric nurses-A study in the Institute of mental health. Singapore. European Congress of Psychiatry 2016;33S:S349-S805. https://doi.org/10.1016/j.eurpsy.2016.01.2420 

  14. Skitsou A.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a psychiatric hospital, in Cyprus. International Journal of Caring Sciences. 2015;8(3):683-697. 

  15. Yada H, Lu X, Omori H, Abe H, Matsuo H, Ishida Y, Katoh T. Exploratory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job related stress in japanese psychiatric nurses. Nursing Research and Practice. 2015 March Article ID 805162:7-7. https://doi.org/10.1155/2015/805162 

  16. Finn CP. Autonomy: an important component for nurses' job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1;38(3):349-357. 

  17. Schutzenhofer KK. The development of autonomy in adult women, Journal of Psychological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s. 1983;21(4):25-30. 

  18. Han KJ, Lee EO, Park SE, Ha YS, Kim KS, Strickland OL, et al. Measurement of nursing outcomes. Seoul :Hyunmoon: 1994. p.23-25. 

  19. Rubin RB, Martin MM, Bruning SS, Power D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y. Scale development and test of a self-efficacy model.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1991 October: Atlanta. 

  20. Hur GH.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2003;47(6):380-408. 

  21. Slavitt DB, Stamps PL, Piedmont EB, Hasse AM. Nurses's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situation. Nursing Research. 1978;27(2). https://doi.org/10.1097/00006199-197803000-00018 

  22. Park JS. Role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 anesthetist. [master's thesis]. Chonbuk: Chonbuk University; 1994. 

  23. Sung MH, Eum OB. Professional autonomy and clinical decision making ability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2010;17(2):274-281. 

  24. Park JA. Effect of professional autonom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n job satisfaction in emergency nurses. [master's thesis]. Busan: Dong-A University; 2015. 

  25. Kim EJ. Autonomy, Role Conflict and Professional Self Concept of Advanced Practice Nursing. Poster sessiion presented at: INC2015 10th International Nursing Conference; 2015. 10, 55-55; Seoul. 

  26. Oh EJ, Choi HK. Comparison of Psychiatric and Clinical Nurses on Emotional Intelligence, Facilitative communication ability and Communication Conflic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8;16(5):329-340. https://doi.org/10.14400/JDC.2018.16.5.329 

  27. Kim HJ, Bae JY. The degree of job stres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psychiatric nurses. The Korean Association for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2014;6(2):21-32. http://www.earticle.net/article.aspx?sn240044 

  28. Ko KH, Lee BH, An HN, Park JS.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nurs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mental hospitals, Mental Health Polocy Forum. 2008;(2).129-133. 

  29. Choi HS, Lee KH, Back JY, Kim EJ. moral distres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of psychiatric nurses.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16;19(3):51-62. 

  30. Lim H, Gang M, Oh K. Nursing Activity,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Community Mental Health Facilitie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2013;11(12):507-513.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2.50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