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정변화패턴 식별을 위한 염기서열 집단간의 다형성 분석 및 시각화 도구
A Polymorphism Analysis and Visualization Tool for Specific Variation Pattern Identification in Groups of Nucleotide Sequence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6, 2018년, pp.201 - 207  

이일섭 (충북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  이건명 (충북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전체는 생명체가 가지고 있는 모든 유전적 정보를 담고 있다. 특정 종 내에서는 개체별로 고유의 특성이 나타나며, 이 특성은 유전체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종내 개체들 사이에 조금씩 다른 염기에 대해 유전적 연관성을 규명 짓고, 더 나아가 질병과의 연관성을 찾는 전장유전체 연관분석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종 내의 조금씩 발생하는 염기변이를 파악하는 것은 개체의 다형성을 파악하기 위해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종 내 여러 개체의 염기서열에서 대립형질 빈도의 특정변화패턴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분석 및 시각화 도구를 제안한다. 그리고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계대 배양한 pOka strain 염기서열 데이터를 이용해 실험하여 분석과 시각화의 실용성을 보인다. 본 제안도구를 통해 종 내의 대립형질 빈도의 변화를 탐색하고 유전적 요인을 찾는 연구효율의 증진을 기대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genome contains all genetic information of an organism. Within a specific species, unique traits appear for each individual, which can be identified by analyzing nucleotide sequences. Many Genome-Wide Associations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find genetic associations and cause of diseases fro...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논문에서는 염기서열의 염기분포를 분석하고, 염기서열간의 염기분포의 차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분석 및 시각화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그리고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VZV)의 염기서열 데이터를 통해 실험한 결과를 소개한다.
  • 본 논문에서는 염기서열 데이터의 분석 및 시각화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하고, VZV의 pOka strain 계대배양 염기서열 데이터를 통해 실험한 결과를 소개하였다. 소수염기 빈도의 변화를 파악하기에 용이한 분석과 시각화를 통해 분석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고, 실험결과 pOka strain의 계대가 지남에 따라 A/g, T/c조합의 MAF가 증가하는 경향과 ORF 62'영역에서 변이가 흔히 발생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 논문에서는 염기서열의 염기분포를 분석하고, 염기서열간의 염기분포의 차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분석 및 시각화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그리고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VZV)의 염기서열 데이터를 통해 실험한 결과를 소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전자란? 한 개체의 전체 염기서열은 완전한 유전 정보의 총합이며, 모든 유전자와 유전자가 아닌 부분으로 구성된다. 유전자는 DNA서열 가운데 정보를 갖는 부분을 뜻하며, 유전자가 아닌 부분은 정보가 없는 무작위 서열로 비부호화 DNA서열 또는 쓰레기 DNA(Junk DNA)이라 하며 인간의 게놈 가운데 99%에 해당된다[2]. 쓰레기 DNA의 존재 이유와 역할이 무엇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최근 그 중요성과 관련된 연구가 나타나고 있다[3,4].
유전자가 아닌 부분은 어떻게 명명되나? 한 개체의 전체 염기서열은 완전한 유전 정보의 총합이며, 모든 유전자와 유전자가 아닌 부분으로 구성된다. 유전자는 DNA서열 가운데 정보를 갖는 부분을 뜻하며, 유전자가 아닌 부분은 정보가 없는 무작위 서열로 비부호화 DNA서열 또는 쓰레기 DNA(Junk DNA)이라 하며 인간의 게놈 가운데 99%에 해당된다[2]. 쓰레기 DNA의 존재 이유와 역할이 무엇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최근 그 중요성과 관련된 연구가 나타나고 있다[3,4].
게놈의 차이는 어떠한 곳에서 비롯되며, 그 역할은? 게놈은 종마다 다를뿐 아니라 집단, 개체 마다 조금씩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염기서열의 차이에서 비롯되며, 염기서열의 차이는 개체의 대립형질을 결정해특정 종 내의 개체의 다형성을 결정짓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종 내의 염기서열에서 단일 염기의 차이를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ecleotide Polymorphism, SNP)라하며, 인류전체중 적어도 1% 이상이 갖고 있는 공통된SNP를 분석하는 햅맵 프로젝트(Hapmap Project)과 같이 SNP 분석을 통해 개체간 어떤 유전적 차이로 이어지는지 분석하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 C. Schuster. (2007). Next-generation sequencing transforms today's biology. Nature Methods, 5(1), 16-18. DOI : 10.1038/nmeth1156 

  2. E. Pennisi. (2012). ENCODE Project Writes Eulogy for Junk DNA. Science, 337(6099), 1159-1161 DOI : 10.1126/science.337.6099.1159 

  3. A. Park. (2012. Sep). Junk DNA - Not So Useless After All. TIME. 

  4. D. Vendramini. (2004). Noncoding DNA and Teem Theory of Inheritance, Emotions and Innate Behavior. Medical Hypotheses 64(3), 512-519. DOI : 10.1016/j.mehy.2004.08.022 

  5. The International SNP Map Working Group. (2001). A map of human genome sequence variation containing 1.42 million single nucelotide polymorphisms. Nature 409, 928-933. 

  6. The International HapMap Consortium. (2005). A haplotype map of the human genome. Nature. 437(7063), 1299-1320. DOI : 10.1038/nature04226 

  7. Q. Chen & F. Sun. A unified approach for allele frequency estimation, SNP detection and association studies based on pooled sequencing data using EM algorithms. BMC Genomics, 14(1). DOI : 10.1186/1471-2164-14-S1-S1 

  8. L. B. Barreiro, G. Laval, H. Quach, E. Patin & L. Quintana-Murci. (2008). Natural selection has driven population differentiation in modern humans. Nature Genetics. 40(3), 340-345. DOI : 10.1038/ng.78 

  9. O. Harismendy et al. (2010). Population sequencing of two endocannabinoid metabolic genes identifies rare and common regulatory variants associated with extreme obesity and metabolite level. Genome Biology, 11(11), R118. DOI : 10.1186/gb-2010-11-11-r118 

  10. T. A. Manolio. (2010).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and assessment of the risk of diseas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3(2), 166-76. DOI : 10.1056/NEJMra0905980 

  11. S. Raychaudhuri et al. (2009). Identifying Relationships among Genomic Disease Regions: Predicting Genes at Pathogenic SNP Associations and Rare Deletions. PLoS Genetics, 5(6), e1000534. DOI : 10.1371/journal.pgen.1000534 

  12. B. Bandyopadhyay, V. Chanda & Y. Wang. (2017). Finding the Sources of Missing Heritability within Rare Variants Through Simulation. Bioinform Biol Insights. DOI : 10.1177/1177932217735096 

  13. D. B. Goldstein, A. Allen, J. Keebler, E. H. Margulies, S. Petrou, S. Pertrovski & S. Sunyaev. (2013). Sequencing studies in human genetics: design and interpretation. Nature Reviews Genetics, 14(7), 460. DOI : 10.1038/nrg3455 

  14. C. S. Carlson, M. A. Eberle, L. Kruglyak & D. A. Nickerson. (2004). Mapping complex disease loci in whole-genome association studies. Nature, 429(6990), 446-452. DOI : 10.1038/nature02623 

  15. B. Carlson. (2008. June). SNPs - A Shortcut to Personalized Medicine. Genetic Engineering & Biotechnology News, 28(12). 

  16. R. Chenna et al. (2003). Multiple sequence alignment with the Clustal series of programs. Nucleic Acids Research, 31(13), 3497-500. DOI : :10.1093/nar/gkg500 

  17. T. A. Manolio. (2010). How to interpret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JAMA. 363(2), 166-76. DOI : 10.1001/jama.299.11.1335 

  18. A. J. Davison & J. E. Scott. (1986). The complete DNA sequence of varicella-zoster virus. Journal of General Virology, 67(Pt9), 1759-1816. DOI : 10.1099/0022-1317-67-9-17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