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유능성, 자기결정성동기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due to Nursing Students'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12, 2018년, pp.475 - 483  

조혜경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유능성, 자기결정성동기, 자기조절학습능력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C도에 소재하는 대학의 간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8년 6월부터 7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부적절한 응답지를 제외한 251명의 설문지를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인관계 유능성(r=.361, p<.001)과 자기결정성동기(r=.466, p<.001)는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대인관계유능성과 자기결정성동기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r=.091, p=.148). 대인관계유능성과 자기결정성동기는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며, 설명력은 38.7%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확인된 결과를 바탕으로 대인관계유능성과 자기결정성동기를 강화시키고,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관련요인들을 분석하여 요인들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교육법 개발을 위한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d on descriptive research is to examine the convergent relationship of interpersonal competenc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Data collected from 251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located in C province from Ju...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대인관계유능성에 대한 연구들은 자아상태, 자기인식, 타인인식, 문제해결능력, 감성지능, 돌봄효능감 등이 있었으나[22-24], 자기결정성동기와 자기조절학습능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유능성, 자기결정성동기, 자기조절학습능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및 다양한 교수학습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유능성, 자기결정성 동기, 자기조절학습능력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유능성, 자기결정성 동기, 자기조절학습능력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유능성, 자기결정성 동기, 자기조절학습능력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교육과정과 다양한 학습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자기결정성동기는 이렇게 이분화되어 있는 개념을 확장하여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결정하는 자율성을 동기의 핵심으로 보고 보상을 받거나 처벌을 피하려고 학습하는 외적조절동기와 타인으로부터 느끼는 수치심이나 죄의식을 피하고 자신감과 자존감을 갖기 위해 학습하는 부과된조절동기를 타율적동기라고 하며, 주어진 과제가 자신에게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면 수용하지만 학습 자체에 대해 기쁨이나 즐거움, 만족감을 느끼지는 않는 확인된조절동기와 과제 자체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즐거움과 만족감을 느끼며 학습하는 내재적조절 동기를 자율적동기라고 하였다[9,10]. 지금까지 이루어진 자기결정성동기와 관련된 연구 중에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는 진로준비[11], 자율성지지와 학습성과[12], 학업성취[13], 교수-학생 및 동료학생간의 상호작용[14]등이 주로 교육학에서 연구되고 있었으며,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는 거의 없어 본 연구에서 확인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인관계유능성의 특징은? 간호사는 간호대상자와 보호자뿐만 아니라 의료진과 병원의 행정체계에 있는 모든 사람들과 협력적 관계를 맺으며 업무를 수행해야 하며, 환자와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간호사의 대인관계유능성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1,2]. 대인관계유능성은 다른 사람과 효과적으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능력으로[3] 공감능력과 의사소통 능력, 개방적인 태도, 적절한 표현, 환자 개인의 특성에 대한 존중, 경청 등과 관련이 많으므로[4,5] 대인관계유능성을 증진시키는 것은 간호대학생에게는 매우 중요한 학습목표가 될 수 있다. Chant 등(2002)은 대인관계유능성 증진을 위한 간호교육은 이론과 임상실습 모두에서 통합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는데[6], 대상자가 겪고 있는 상황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목표와 과업을 성취하도록 돕는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대인관계유능성을 간호대학생은 얼마나 갖추고 있는지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간호사의 역할은? 간호사는 간호대상자와 보호자뿐만 아니라 의료진과 병원의 행정체계에 있는 모든 사람들과 협력적 관계를 맺으며 업무를 수행해야 하며, 환자와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간호사의 대인관계유능성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1,2]. 대인관계유능성은 다른 사람과 효과적으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능력으로[3] 공감능력과 의사소통 능력, 개방적인 태도, 적절한 표현, 환자 개인의 특성에 대한 존중, 경청 등과 관련이 많으므로[4,5] 대인관계유능성을 증진시키는 것은 간호대학생에게는 매우 중요한 학습목표가 될 수 있다.
조원들 간에 갈등은 간호사 학생들에게 어떠하나 기회로 작용할 수 있나?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과제수행 과정을 지켜보면, 조별 과제의 경우 역할 분담이나 과제 기여도가 달라 조원들 간에 갈등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이 갈등들을 조율하기 위해 다른 사람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능력인 대인관계유능성을 발휘하고 성공적으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학습동기를 강화시켜 준다면 조별 과제는 간호사로서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학생들이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기쁨이나 즐거움, 만족감을 느끼는 내재적 동기가 증가하고, 과제에 대한 가치나 중요성을 느끼는 외재적 동기가 부여된다면 스스로 배우려는 의욕을 가지고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학습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M. S. Chung. (2014). Relations on Self-esteem, Empath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Reinforcing Competence in Communication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2),332-340. 

  2. M. O. Chae. (2016). Ego resilience, Empathic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5), 95-103. 

  3. B. H. Spitzberg & D. J. Canary. (1989). Handbook of interpersonal competence research. New York: Springer-Verlag. https://books.google.co.kr/books?hlko&lr&ideRvSBwAAQBAJ&oifnd&pgPR5&dqhandbook+of+interpersonal+competence+research&otsgUoUDfkYeU&sig2AL0uENRK1gdHPlDcSmQu5Wc4mE#vonepage&qhandbook%20of%20interpersonal%20competence%20research&ffalse. 

  4. S. J. Lim & E. A. Park. (2014). The 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Attitud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ew Visiting Nurses in Community Health Center.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3(2), 115-122. 

  5. H. S. Jeong & K. L. Lee. (2012).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5). 2635-2647. 

  6. S. Chant, T. Jenkinson, J. Randle & G. Russell. (2002). Communication skills: some problem in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1(1), 12-21. 

  7. R. M. Ryan & J. P. Connell. (1989). Perceived locus of causality and internationalization: Examining reasons for action in two domai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749-761. 

  8. R. J. Vallerand, M. S. Fortier & F. Guay. (1997). Self-determination and persistence in a real-life setting: Toward a motivational model of high school dropou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2, 1161-1176. 

  9. E. L. Deci & R. M. Ryan. (2000). The genetal causality orientations scale: self-determination in personalit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19(2), 109-134. 

  10. E. L. Deci & R. M. Ryan. (2000).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fl-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y Inquiry, 11(4), 227-268. 

  11. Y. J. Lee & K. H. Lee. (2010). Subtypes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9(2), 267-287. 

  12. J. S. Chung & J. H. Lee. (2012). Path analysis among perceived autonomy support,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in a cyber university.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8(3), 365-387. 

  13. S. M. Han. (2004).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cademic motivation variables, cognitive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8(1), 329-350. 

  14. B. K. Choi & S. H. Cho. (2014). The analysis of change in college students' interaction with faculty and peer students and differences i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Korean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52(3), 29-54. 

  15. B. J. Zimmerman & M. Martinez-Pons. (1988). Construct validation of a strategy model of student self-regulated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 284-290. 

  16. J. H. Kim. (2014). Multiple mediated effect of self-determinative motivation to learn and self-regulated strategies on the relation between successful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Journal of Future Youth Society, 11(2), 43-61. 

  17. J. H. Lee. (2009).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o learn metacogni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flow, and school achievement.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8(2), 67-92. 

  18. H. J. Lee. (2008). Types of Motivation for Self-Determination: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Child Studies in Asia-Pacific Contexts, 29(3), 273-288. 

  19. Y. A. Choi & M. H. Yang. (2013).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on affective characteristics: A meta-analysis. Secondary Education Institute, 6(4), 931-961. 

  20. M. J. Lee. (2011). The problem and challenges for self-regulation studies.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39, 161-193. 

  21. M. H. Kim, J. H. Ha & K. H. Cha. (2006). The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motivation, multiple intelligence, learning style and academic achievement, school adjustment. The Korea Association of Yeolin Education, 14(3), 57-79. 

  22. S. N. Kim, Y. M. Kim & S. Y. Lee. (2018). The convergence study on the ego stat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2), 61-72. 

  23. M. R. Son. (2018). Influence of self-awareness, other-awar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 competence on smartphone and internet addiction in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 27(1), 74-84. 

  24. E. J. Park. (2018).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aring efficacy in nursing students. Master dissertation, Ewha University, Seoul. 

  25. R. M. Ryan & J. P. Connell. (1989). Perceived locus of causality and internalization: Examining reasons for acting in two domai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749-761. 

  26. B. G. Bak, J. U. Lee, S. P. Hong. (2005). Reconstructing the classificatory pattern of learning motivation proposed by self-determination theor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9(3), 699-717. 

  27. J. W. You. (2011).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factor, psychological mediators and motivational factor for enhancing learners' engagement.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8. Y. M. Cha & W. Y. Eom. (2018). Structural Relations among Autonomy Support,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as Perceived by Junior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Thinking Development, 14(1), 27-51. 

  29. M. K. Chung. (2005).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ed Le, arning Test for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 Evaluation, 18(3), 155-181. 

  30. D. Buhrmester, W. Furman, M. T. Wittenberg & H. T. Reis. (1988). Five domain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peer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5(6), 991-1008. 

  31. N. R. Han & D. G. Lee. (2010). Validation of he Korean Version of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in Korea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2(1), 137-156. 

  32. J. S. Kim & H. J. Choi. (2015). Influence of gratitude dispositio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eacher efficacy.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5(3), 247-267. 

  33. S. Kang. (2018). A Convergence Study about the Effects of Pre-learning and Role Learning Using Video on Self-regulate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in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5), 247-256. 

  34. S. N. Kim, Y. M. Kim & S. Y. Lee. (2018). The Convergence study on the Ego stat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2), 61-72. 

  35. J. E. I. (2011). Relationships of individuality, relatednes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17(2). 97-120. 

  36. J. S. Kim & H. J. Choi. (2015). Influence of gratitude dispositio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eacher efficacy.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5(3), 247-267. 

  37. Y. S. Song & S. K. Yoo. (200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role-conflict scale for kindergarten teachers.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8(4), 189-213. 

  38. S. H. Kim, H. R. Yim & I. J. Chung. (2015). Does self-direction in learning influ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addition to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Youth Welfare, 17(1), 305-332. 

  39. H. I. Cho. (2014).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3(2), 233-251. 

  40. A. Y. Kim. (2014). Validation of taxonomy of academic Motivation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4), 169-187. 

  41. Y. R. Kim & H. H. Yu. (2002).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Learners' Self-Efficacy, Instructional Motivation and School life-Related Coping. Humanities, 10, 93-115. 

  42. E. S. Choi.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ecurity and Adjustment to colleg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general self-efficacy. Ewha Womans University, Master. 

  43. J. Y. Park, H. N. Lim & D. R. Kim. (2018). The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program for freshmen of nursing college: focusing on learning motivation, core competence, time management, career attitude matur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8), 331-3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