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집중치료를 통한 소뇌운동실조증 환자의 말운동개선 가능성
Possibility of Motor Speech Improvement in People With Spinocerebellar Ataxia via Intensive Speech Treatmen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11, 2018년, pp.634 - 642  

박영미 (동명대학교 언어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뇌운동실조증(SCA)은 유전성, 진행성 신경장애로 SCA 환자는 소뇌위축으로 인한 실조형 마비말장애를 보인다. 본 연구는 집중 말운동치료를 통해 SCA환자의 진행성 실조형 마비말장애의 개선의 유무를 확인하고, 개선이 있는 경우, 치료전후의 변화의 정도를 보고하고자 한다. 55세의 SCA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말운동 기능 개선을 위한 SPEAK $OUT!^{(R)}$ 치료프로그램을 시행 후, 큰 효과크기 수준에서 MPT와 과제별 음량의 개선이 관찰되었고, 음도의 경우 적은 효과크기의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음도의 폭은 큰 효과크기의 변화를 보였다. 음질은 jitter, shimmer, HNR 모두에서 큰 효과크기 수준에서 긍정적 개선을 보였고, 모음면적도 넓어졌는데 이때 F1의 변화가 두드러졌다. 또한 심도 수준의 VHI점수는 치료 후 경도 수준으로 낮아졌다. 집중 말운동치료 프로그램인 SPEAK $OUT!^{(R)}$의 시행을 통해 SCA 환자의 음량, 음도, 음도의 폭, 음질, 모음면적의 증가를 관찰하였고, 음성장애에 관한 주관적 인식의 변화도 긍정적으로 감소하였다. 기초연구로서의 본 결과를 바탕으로 SCA환자의 진행성 실조형 마비말장애 개선을 위한 SPEAK $OUT!^{(R)}$에 대한 좀 더 체계적인 검증을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ople with spinocerebellar ataxia, a hereditary and progressive neurogenic disorder, suffer from ataxic dysarthria due to cerebellar dystrophy.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if intensive motor speech treatment yields improvement in progressive ataxic dysarthria and if then, to investigate magn...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시행을 통하여 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고, 변화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을 이용한 집중 말운동치료를 통해 진행성 실조형 마비말장애를 보이는 SCA환자의 말운동개선의 여부, 개선의 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기역학적, 음향적 평가를 통한 최대발성시간 및 음량 및 기본주파수의 변화, 모음 포먼트의 변화, 그리고 음성장애지수를 통한 주관적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고 치료 전후 개선의 정도를 비교하여 이 치료법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의 경우 ‘의식하면서 말하기 (Speak with Intent)’를 강조한다. 대화 시 음량의 크기와 상관없이 내가 말하는 목적은 상대와 대화하기 위함이며 이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대화의 상대가 나의 발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내 발화를 신중하게 의식 또는 모니터링하며 산출해야 한다는 사실을 인지함으로써 말명료도를 높인다는 것이 목적이다. Boone[16]에 의하면, 이런 ‘의식하기’는 의식적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추체로를 통한 근육 활용을 이용하여 말산출을 하게 하는 것이다.
  • 을 이용한 집중 말운동치료를 통해 진행성 실조형 마비말장애를 보이는 SCA환자의 말운동개선의 여부, 개선의 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기역학적, 음향적 평가를 통한 최대발성시간 및 음량 및 기본주파수의 변화, 모음 포먼트의 변화, 그리고 음성장애지수를 통한 주관적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고 치료 전후 개선의 정도를 비교하여 이 치료법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CA 환자를 대상으로 집중치료 프로그램 SPEAK OUT!Ⓡ시행한 결과 기능 면에서 어떤 효과를 내었는가? 피실험자는 치료 전 음성장애에 대한 자가인식이 심도 (60점)에 해당되었으나 치료 후 경도 (24점)으로 큰 폭 낮아졌다. 특히 기능 면에서 피실험자가 치료 전에는 자제하였던 전화 통화나 만남, 그리고 시끄러운 상황에서 대화의 어려움 등이 줄어들었으며 감정적 측면에서 목소리로 인한 소심해진다거나 부끄러움 등이 사라졌다.
소뇌운동실조증은 무엇인가? 소뇌운동실조증 (spinocerebellar ataxia, SCA)은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며 경과상 진행하는 양상을 보이는 신경장애로 운동실조, 말운동장애, 삼킴장애의 특징을 동반한다[1]. 질병관리본부[2]에 의하면 SCA의 유병률은 인구 10만명 당 4.
조음 산출 시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들에게 가장 두드러진 말 산출의 문제는 조음, 운율, 그리고 발성으로 알려져 있다. 조음 산출 시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으로는 부정확한 자음, 불규칙적 조음 붕괴, 그리고 왜곡된 모음이며, 운율의 붕괴를 가져오는 원인은 과하게 동일한 강세, 지연된 음소와 음소 사이의 지연된 쉼, 그리고 느린 말속도와 단조로운 음량과 음도이다. 발성의 경우 거친 음성과 일부 음성떨림이 원인이 된다 [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ttps://ataxia.org/wp-content/uploads/2017/07/SCA-Making_an_Informed_Choice_About_Genetic_Testing.pdf 

  2. http://www.cdc.go.kr/CDC/info/CdcKrInfo0201.jsp?menuIdsHOME001-MNU1154-MNU0004-MNU1889&cid1495 

  3. J. R. Duffy, Motor speech disorders. Differen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2nd ed), Mosby, 2005. 

  4. D. B. Freed, Motor speech disorders : Diagnosis and treatment (3rd ed.), Plural Publishing, 2018. 

  5. https://www.asha.org/Events/convention/ handouts/2011/Brendel-Ackermann-Scholderle-Ziegler/ 

  6. Y. Ikui, M. Tsukuda, Y. Kuroiwa, S. Koyano, H. Hirose, and T. Taguchi, “Acoustic characteristics of ataxic speech in Japanese patients with spinocerebellar degeneration (SCD),”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Vol. 47, No. 1, pp. 84-94, 2011. 

  7. E. Schalling and L. Hartelius, “Speech in spinocerebellar ataxia,” Brain and Language, Vol. 127, No. 3, pp. 317-322, 2013. 

  8. J. J. Sidtis, J. S. Ahn, C. Gomez, and D. Sidtis, “Speech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ree genotypes of ataxia,”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Vol. 44, No. 4, pp. 478-492, 2011. 

  9. S. Sapir, J. Spielman, L. O. Ramig, S. L. Hinds, S. Countryman, C. Fox, and B. Story, “Effects of intensive voice treatment (the Lee Silverman Voice Treatment [LSVT]) on ataxic dysarthria : a case study,”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Vol. 12, No. 4, pp. 387-399, 2013. 

  10. K. M. Yorkston and D. R. Beukelman, “Ataxic dysarthria,”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Vol. 46, No. 4, pp. 398-404, 1981. 

  11. P. Braga-Neto, J. L. Pedroso, S. H. Kuo, C. F. J. Marcondes, H. A. Teive, and O. G. Barsottini, “Current concepts in the treatment of hereditary ataxias,” Arquivos de Neuro-psiquiatria, Vol. 74, No. 3, pp. 244-252, 2016. 

  12. C. M. Fox and C. A. Boliek, “Intensive voice treatment (LSVT LOUD) for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and dysarthria,”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Vol. 55, No. 3, pp. 930-945, 2012. 

  13. F. Boutsen, E. Park, J. Dvorak, and C. Cid, "Prosodic improvement in persons with parkinson disease receiving SPEAK $OUT!^{(R)}$ voice therapy,"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Vol. 70, No. 2, pp. 51-58, 2018. 

  14. J. A. Levitt, "Case study : the effects of the "SPEAK $OUT!^{(R)}$ " voice program for Parkinson's disease,"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Vol. 4, No. 2, pp. 20-28, 2014. 

  15. L. O. Ramig, S. S. Sapir, C. Fox, and S. Countryman, “Changes in vocal loudness following intensive voice treatment (LSVT) in individuals with Parkinson’s disease : a comparison untreated patients and normal age-matched controls,” Movement Disorders, Vol. 16, No. 1, pp. 79-83, 2001. 

  16. https://www.parkinsonvoiceproject.org/InfoSession 

  17. 강연욱, "치매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K-MMSE의 타당도 연구," 대한신경과학회지, 제15권, 제2호, pp. 300-308, 1997. 

  18. P. Boersma and D. Weenink, "Praat : doing phonetics by computer [Computer program]. Version 6.0.43," retrieved 2018.9.8. from http://www.praat.org/ 

  19. R. J. Baken and R. F. Orlikoff, Clinical measurement of speech and voice (2nd ed.), Singular, 2000. 

  20. P. Ladfoged, Vowels and Consonants (2nd ed.), Blackwell Publishing, 2005. 

  21. B. H. Jacobson, A. Johnson, C. Gryqalski, A. Silbergleit, G. Jacobson, M. S. Benninger, and C. W. Newman, “The voice handicap index (VHI) : development and validi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Vol. 6, No. 3, pp. 66-70, 1997. 

  22. B. J. Byiers, J. Reichle, and F. J. Symons, “Single-subject experimental design for evidence-based practice,”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Vol. 21, No. 4, pp. 394-414, 2012. 

  23. J. A. Durlak, “How to select, calculate, and interpret effect sizes,”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Vol. 34, No. 9, pp. 917-928, 2009. 

  24. 김은정, 정상 청년층과 노년층의 최대발성시간 및 조음교대운동속도 비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5. J. V. Wilson and H. A. Leeper, “Changes in laryngeal airway resistance in young adult men and women as a function of vocal sound pressure level and syllable context,” Journal of Voice, Vol. 6, No. 3, pp. 235-245, 1992. 

  26. S. N. Awan, “Superimposition of speaking voice characteristics and phonetograms in untrained and trained vocal groups,” Journal of Voice, Vol. 7, No. 1, pp. 30-37, 1993. 

  27. E. C. Healey, R. Jones, and R. Berky, “Effects of perceived listeners on speakers’ vocal intensity,” Journal of Voice, Vol. 11, No. 1, pp. 67-73, 1997. 

  28. N. Siupsinskiene and H. Lycke, “Effects of vocal training on singing and speaking voice characteristics in vocally healthy adults and children based on choral and nonchoral data,” Journal of Voice, Vol. 25, No. 4, pp. e177-e189, 2011. 

  29. H. Oguz, T. Tunc, M. A. Safak, L. Inan, S. Kargin, and M. Demirci, “Objective voice changes in nondysphonic Parkinson's disease patients,” Journal of Otolaryngology, Vol. 35, No. 5, pp. 349-354, 2006. 

  30. J. M. Hoffman, K. M. Yorkston, A. Shunway-Cook, M. A. Ciol, B. J. Dudgeon, and L. Chan, “Effects of communication disability on satisfaction with health care : a survey of Medicare beneficiarie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Vol. 14, No. 3, pp. 221-228,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