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스마트도시종합계획과 스마트도시계획간 연결성 연구 - 광명시와 춘천시의 스마트도시 서비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Smart City Comprehensive Plan and Smart City Planning Us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 Focusing on Gwangmyeong and Chuncheon Smart City Services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6 no.6, 2018년, pp.601 - 609  

김홍광 (Konkuk Institute of Public Affairs) ,  이미숙 (Dept. of Urban Information Engineering, Anya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마트도시계획은 스마트도시 건설사업의 기본방향, 추진전략, 서비스 구축 및 운영방안 등을 제시하여야 하고, 상위계획인 스마트도시종합계획의 내용을 반영해야 한다. 그러나 스마트도시계획 위계에 따라 계획 내용이 체계적으로 수립되고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의 스마트도시계획이 국가 차원의 마스터플랜인 스마트도시종합계획과 실제로 연결성이 높은지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최근에 스마트도시계획이 승인된 광명시와 춘천시를 대상으로 사회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제2차 스마트도시종합계획에서 108개의 키워드를 도출하였고 이러한 키워드와 스마트도시계획의 연결성을 분석하였다. 사회연결망 분석결과, 광명시의 스마트도시계획의 총연결수가 371개로 춘천의 307개 보다 높았고, 키워드당 평균 연결정도와 네트워크 밀도도 광명 스마트도시계획이 춘천 스마트도시계획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스마트도시계획은 스마트도시종합계획과 실제로 연결성이 높았으며 연결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는 지자체마다 상이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지자체가 수립한 스마트도시계획이 상위계획과 계획간 연관성이 높은지 판단하기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mart City Plan specifies that it should reflect the content of the Smart City Comprehensive Plan, which is the upper plan while presenting the basic direction, promotion strategy, servic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plans of a smart city construction project.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empir...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도시종합계획과 스마트도시계획의 연결성과 주요 키워드의 중심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회연결망 분석지표 중 연결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중심성 지표를 활용하고자 한다.
  • , 2014).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도시종합계획과 광명 스마트도시계획의 관계와 스마트도시종합계획과 춘천 스마트도시계획간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회연결망 분석을 수행하였다. 네트워크 분석지표는 NodeXL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시각화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의 스마트도시계획이 국가 차원의 마스터플랜인 스마트도시종합계획과 실제로 연결성이 높은지를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최근에 스마트도시계획이 승인된 광명시와 춘천시를 대상으로 상위계획과의 연결관계와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 그러나, 지자체에서 수립하고 있는 스마트도시계획이 스마트도시법에서 명시한 계획의 위계에 맞게 체계적으로 구축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이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의 스마트도시계획이 국가 차원의 마스터플랜인 스마트도시종합계획과 실제로 연결성이 높은지를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최근에 스마트도시계획이 승인된 광명시와 춘천시를 대상으로 상위계획과의 연결관계와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도시란? 최근 스마트도시는 환경 및 도시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도시개발 패러다임으로 각광받고 있다. 스마트도시는 기존 도시에 비해 도시의 경쟁력과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건설정보 통신기술 등을 융·복합하여 건설된 도시기반시설을 바탕으로 다양한 기술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스마트한도시를 의미한다(Kim et al., 2018).
스마트도시법의 기본 골격에서 선계획 후개발 원칙을 유지하는 이유는? 스마트도시법의 기본 골격은 기존 유비쿼터스도시법과 마찬가지로 난개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계획 후개발’의 원칙을 유지하고 있다. 즉, 지자체에서 스마트도시 건설사업을 시행하려는 경우에는 사업 시행 전에 스마트도시계획을 수립하여 국토교통부 장관의 승인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다.
광명 스마트도시계획과 춘천 스마트도시 계획별 키워드를 도출하기 위해 어떻게 했는가? , 2017). 이를 위해 국립국어원에서 배포하는 지능형 형태소 분석기를 활용하여 제2차 스마트도시종합계획, 광명 스마트도시계획, 춘천 스마트도시계획의 내용을 품사 형태로 분리하였다. 이러한 형태소 분석기술로 수집어를 정제하고 단어를 추출해 빈도수를 제시하여 순위나 인식의 유사성, 일반성을 찾아내는데 사용할 수 있다(Kim and Jeon, 20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arnes, J.A. (1977), Class and committees in a Norwegian Island parish, In: Leinhardt, S. (ed.), Social Networks: a Developing Paradigm, Academic Press Inc., New York, N.Y., pp. 233-252. 

  2. Bavelas, A. (1950), Communication patterns in task oriented groups,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 22, No. 6, pp. 271-282. 

  3. Freeman, L.C. (2004), The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 Analysis: A Study in the Sociology of Science, Empirical Press, Vancouver. 

  4. Hagerstrand, T. (1965), Aspects of the spatial structure of social communication and the diffusion of informatio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ol. 16, No. 1, pp. 27-42. 

  5. Jeong, D.W., Yi, M.S., and Shin, D.B. (2017), A study on the linkability of public information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5, No. 6, pp. 461-4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C.M., Seo, S.H., and Kim, T.Y. (2014), A study on the household waste information network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with application for Nowon-gu, Seoul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 Vol. 22, No. 1, pp. 113-1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H.R. and Jeon, I.K. (2018), Analysis of leisure activity keywords using text mining,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Vol. 42, No. 3, pp. 59-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J.H. (2011), Improvement measures for ubiquitous city planning system,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46, No. 7, pp. 145-1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K.B., Kim, G.C., and Cho, H.J. (2018), Status and prospect of smart cit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9, No. 9, pp. 191-19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K.T. (2014),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of Ubiquitous City Planning,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Daegu, Korea, 116p. 

  11. Kwon, K.S., Yi, J.H., Lee, J.Y., Chae, S.W., and Han, D.S. (2014), A social network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 of Korean medicine,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ol. 17, No. 2, pp. 334-3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C.W. and Park, S.M. (1998). Research review on social networks and their spatial implications, Social Science, Vol. 10, pp. 163-1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H.J. (2014), Knowledge structure analysis on marketing research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Korean Management Review, Vol. 43, No. 3, pp. 965-9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m, B.H. (2015),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o analyze bible network, Logos Management Review, Vol. 13, No. 4, pp. 109-1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Park, C.H., Lee, S.H., and Kim, T.H. (2017),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architecture for smart city planning: focused on improvement of the ubiquitous city planning guideline,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52, No. 4, pp. 187-1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Park, G. (2018), Building Green Infrastructure Networks based on Cadastral Parcel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Ph.D. dissertation, Cheongju University, Cheongju, Korea, 161p. 

  17. Scott, J. (2000), Social Network Analysis, SAGE Publications Ltd., Londo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