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대생의 생활습관과 우울, 불안 및 생식건강과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Lifestyle, Depression, Anxiety, and Reproductive Health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4 no.1, 2018년, pp.80 - 89  

노주희 (전북대학교 간호대학) ,  유성희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lifestyle, psychological distress, and reproductive health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Methods: We used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design. A total of 275 subjects were enrolled. Subjects agreed to undergo a face-to-face interview, including administr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면대면 방법을 통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 생활습관, 우울, 불안, 생식건강과 관련된 도구 및 내용을 포함하였다.
  • 또한 생식기계증상이 없는 경우 우울과 불안이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대생의 생식건강 향상을 위해 건강한 생활습관을 갖도록 하는 교육과 중재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생활습관, 우울, 불안과 생식건강, 그리고 변수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연구에 참여 하게 되어 생식 관련 설문에 대해 솔직하게 작성하더라도 누구도 내용을 확인할 수 없으며 비밀이 보장될 것이라고 미리 설명하였다. 설문지 작성 및 면담은 조용한 장소에서 이루어졌으며 설문지 작성 및 면담 도중 연구참여 대상자가 원하지 않으면 참여를 거부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연구에 자발적인 참여를 보장하도록 하였다. 설문지 작성 후 대상자에게 소정의 상품(커피 상품권)을 제공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의 생활습관, 우울, 불안과 생식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습관, 우울, 불안과 생식건강과의 관계 및 대상자의 생활습관, 우울, 불안에 따른 생식건강 확인 및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여대생의 건강증진 및 생식건강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생식건강의 의미는 WHO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포괄적인 개념으로 특정 도구 하나만으로 측정할 수 있는 개념이 아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식건강 지표로 생식건강 지식, 태도, 행위 및 월경 불규칙성, 생리통 및 생식기계 증상을 각각 확인하 였다. 이 외에 생식건강 지표로 제시되는 생식 호르몬 측정을 비롯한 다양한 요소들이 있으나 이에 대한 측정이 되지 않아 추후 생애주기에 따른 생식건강을 측정하는 구체적인 지표나 도구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의 생활습관, 우울, 불안과 생식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습관, 우울, 불안과 생식건강과의 관계 및 대상자의 생활습관, 우울, 불안에 따른 생식건강 확인 및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여대생의 건강증진 및 생식건강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신과 출산을 앞둔 가임 연령대인 여성이 건강하지 못한 생활 습관을 지속할 경우 어떻게 되는가? 특히 임신과 출산을 앞둔 가임 연령대인 여대생은 건강한 생식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나 부적절한 식이 습관, 신체활동 부족, 음주와 흡연 등 부정적인 건강행위를 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4]. 만일 건강하지 않은 생활습관으로 인해 부정적인 건강행위가 지속될 경우 비만, 당뇨병, 폐질환 및 간질환 등의 다양한 만성질환이 발생할 수도 있고 생식건강 차원에서는 월경의 불규칙, 심한 생리통, 생식기계 증상 발생 뿐 아니라 난임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3].
생식건강을 유지 증진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가? 생식건강을 유지 증진하기 위해서는 임신과 출산기 이전부터 균형 잡힌 영양, 신체활동, 스트레스 관리와 같은 건강한 생활 습관 실천[3]과 생식건강과 관련된 지식 습득 및 건강한 생식 건강 행위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4,5]. 특히 임신과 출산을 앞둔 가임 연령대인 여대생은 건강한 생식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나 부적절한 식이 습관, 신체활동 부족, 음주와 흡연 등 부정적인 건강행위를 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4].
생식건강이란? 생식건강(reproductive health)의 정의는 1994년 UN의 인구개발국제회의(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pulation and development)에서 논의가 되었고 생식기계와 관련된 문제가 없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의미한다[1]. 즉, 생식건강은 임신, 출산과 관련된 모성과 아동의 건강뿐 아니라 생식기관, 생식기능, 성건강과 관련된 건강문제를 전체적으로 포함한 광의의 개념이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The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UNFPA). Sexual & reproductive health [Internet]. UN: Author; 2016 [cited January 11, 2017]. Available from: http://www.unfpa.org/sexual-reproductive-health 

  2.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Internet]. Author; 2018 [cited January 11, 2017]. Available from: http://www.who.int/reproductivehealth/topics/en/ 

  3. Egger G, Binns A, Rossner S. Sagner M. Lifestyle medicine. 3rd ed. London: Elsevier; 2017. 3-12 p. 

  4. Ahn SH, Park I, Han JS, Kim TI, Kwak MS, Chung HS. Health behaviors, reproductive health history, and sexual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8;14(3):205-212. 

  5. Jo HY, Kim YH, Son HM.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undergraduat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4;31 (5):29-43. https://doi.org/10.14367/kjhep.2014.31.5.29 

  6. Park YH. Effects of depressio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suicidal ideation in college stud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7;23(1):111-116. https://doi.org/10.4094/chnr.2017.23.1.111 

  7. Shim EJ. The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6;23(12):663-689. 

  8. Cha NH.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djustment at university life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016;27 (2):124-131. https://doi.org/10.12799/jkachn.2016.27.2.124 

  9. Fava G, Fabbri S, Sirr L, Wis TN.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medical condition: A new proposal for DSM-V. Psychosomatics. 2007;48:103-111. https://doi.org/10.1176/appi.psy.48.2.103 

  10. Kim HK, Kim HS, Kim SJ. Association of anxiety, depression, and somatization with menstrual problems among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in South Korea. Psychiatry Investigation. 2017;14(6):727-733. https://doi.org/10.4306/pi.2017.14.6.727 

  11. Zhang D, Bi Y, Maddock JE, Li S. Sexual and reproductive helath knowledge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Wuhan, China. Asia-Pacific Journal of Public Health. 2010;22(1):118-126. https://doi.org/10.1177/1010539509350614. 

  12. Song JE, Chae HY, Jang WH, Park YH, Lee KE, Lee SH,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yle, menstrual attitude and premenstrual syndrome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3;19(2):119-128. https://doi.org/10.4069/kjwhn.2013.19.2.119 

  13. Mayr S, Erdfelder E, Buchner A, Faul F. A short tutorial of G*Power. Tutorials in Quantitative Methods for Psychology. 2007;3(2):51-59. 

  14. Walker S, Sechrist KR, Pender NJ.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1987;36(2):76-81. 

  15. Noh JW, Yun HY, Park H, Yu SE. A study of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2015;48(5):231-238. https://doi.org/10.3961/jpmph.14.045 

  16. Henry JD, Crawford JR. The short-form version of the Depression Anxiety Stress Scales (DASS-21): Construct validity and normative data in a large non-clinical sample. The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5;44:227-239. 

  17. Cha ES, Kim KH, Erlen JA. Translation of scales in cross-cultural research: Issues and techniqu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7;58(4):386-395. 

  18. Lovibond PF, Lovibond SH. The structure of negative emotional states: Comparison of the Depression Anxiety Stress Scales (DASS) with the Beck Depression and Anxiety Inventorie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1995;33(3):335-343. 

  19. Park MN, Choi SY. Development of reproductive health program and identification of effect for married women immigr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3): 248-258. 

  20. Lee B, Kim Y, Kim Y, Seo E, Lee D, Lee S, et al. The relationship of health behaviors and residence types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2;25(1): 77-84. https://doi.org/10.4040/jkan.2014.44.3.248 

  2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Report of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ternet]. Seoul: Author; 2017 [cited January 16, 2017].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DC/contents/CdcKrContentView. jsp?cid60949&menuIdsHOME001-MNU1130-MNU1639-MNU1749-MNU1761 

  22. Liu Y, Gold EB, Lasley BL, Johnson WO. Factors affecting menstrual cycle characteristic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2004;160(2):131-140. 

  23. Katherine KA, Vladutiu CJ, Mumford SL, Schliep KC, Perkins NJ, Wactawski-Wende J, et al.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across the menstrual cycle on reproductive function. Annals of Epidemiology. 2014;24(2):127-134. https://doi.org/10.1016/j.annepidem.2013.11.002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physical activity guide for Koreans. Seoul: Korea; 2013. 

  25. Shin KR, Park HJ, Hong CM.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about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on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form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10;22(4):448-456. 

  26. Wong LP. An exploration of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s of young multiethnic Muslim-majority society in Malaysia in relation to reproductive and premarital sexual practices. BMC Public Health. 2012;12:865. https://doi.org/10.1186/1471-2458-12-865 

  27. Bavil DA, Dolatian M, Mahmoodi Z, Baghban AA. Comparison of lifestyles of young women with and without primary dysmenorrhea. Electronic Physician. 2016;8(3):2107-2114. 

  28. Hudson T. Using nutrition to relieve primary dysmenorrhea. Alternative & Complementary Therapies. 2007;13(3):125-128. https://doi.org/10.1089/act.2007.13303 

  29. Proctor M, Farquhar C. Diagnosis and management of dysmenorrhoea. British Medical Journal. 2006;332(7550):1134-1138. 

  30. Fukuda K. Somatization disorder and bradykinin.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2003;57:609.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