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탈주민에 관한 주관성 연구 : Q방법론적 접근
Subjectivity about North Korean refugee : A Q-methodology Approach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2, 2018년, pp.37 - 45  

안이수 (신한대학교 공공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통하여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향후 북한이탈주민 이미지 제고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32개의 Q 표본을 선정하여 18명에게 분류토록 한 결과 모두 세 가지의 북한이탈 주민의 인식에 대한 유형이 도출되었다. 제1유형 우호적 지지형, 제2유형은 부정적 고정관념형, 제3유형은 중립 추구형으로 구분되었다. 우호적 지지형은 북한이탈주민의 인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의견을 보였고, 부정적 고정관념형은 북한이탈주민들에게 차별적 인식을 강하게 가지고 있으며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없어서 막연한 편견들을 가지고 있었으며, 중립 추구형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과 편견에는 반대하지만 막연하게 그들에 대하여 동의하지는 않는 태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향후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이미지 개선을 위한 세부적인 전략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gnizance of North Korean refugee by applying Q methodology, as well a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improving North Korean refugee's image. The study process let P sample, the study participants, use Q-sorting methodology to sort Q sample, which is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예컨대 지역사회가 중심이 되어 북한이탈 주민과 남한주민이 함께 참여하는 모임을 개최하고 지방정부·지역사회복지기관·학교 등이 참여하는 지역사회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이다[30].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통하여 북한이탈주민에 대하여 가지는 인식의 주관적 구조와, 각 유형별 특징을 규명하여 향후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과 낙인을 없애기 위한 국가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개인의 관점은 우호적 지지형, 부정적 고정관념형, 중립 추구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고 각각의 유형에 따라 수용자 세분화 전략에 입각한 공중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일반인들의 주관적 관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Q방법론은 사람들의 가치관, 취향, 감정과 같은 주관적 속성을 규명하고 유사한 속성을 유형화할 수 있고, 분석방법으로 자결적 정의에 따라 연구자의 가정이 아닌 행위자의 관점에서부터 연구가 시작된다[12,13].
  • 남한 구성원이 가지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는 것이 사회적 통합에 중요함에 따라, 기존 연구와 함께 북한 이탈주민을 바라보는 남한주민의 균형 잡힌 시각을 가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하여 남한의 대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주관적 유형과 그 특징을 고찰하고 북한이탈주민 이미지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다름이 존중되는 사회를 만들어 가는 것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한이탈주민이란? 북한이탈주민이란 군사분계선 이북지역(이하 "북한"이라 한다)에 주소, 직계가족, 배우자, 직장 등을 두고 있는 사람으로서 북한을 벗어난 후 외국 국적을 취득하지 아니한 사람을 말한다[1]. 북한이탈주민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소수자의 개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전영평(2006)은 소수자는 첫째, 신체적․문화적 특성에 의해 타 집단과 다름을 가지고 있어 공동체에서 소외되고 둘째, 경제적․사회적 지위, 정치적 권력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기존 사회구성원들 보다 뒤떨어지고 셋째, 그 집단의 구성원이라는 이유만으로 사회적 차별의 대상이 되고 넷째, 소수자 집단의식은 지속적 차별을 통해 전체적 연대 의식으로 확대된다고 정리하였다[2,3].
소수자는 어떤 특징들을 가지고 있는가? 북한이탈주민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소수자의 개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전영평(2006)은 소수자는 첫째, 신체적․문화적 특성에 의해 타 집단과 다름을 가지고 있어 공동체에서 소외되고 둘째, 경제적․사회적 지위, 정치적 권력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기존 사회구성원들 보다 뒤떨어지고 셋째, 그 집단의 구성원이라는 이유만으로 사회적 차별의 대상이 되고 넷째, 소수자 집단의식은 지속적 차별을 통해 전체적 연대 의식으로 확대된다고 정리하였다[2,3]. 따라서 소수자란 주류사회 구성원들과 다른 특징 때문에 차별과 편견을 받는 동시에 본인들이 집단적 차별을 받는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다[4].
북한이탈주민의 입국 이후 여러 문제로 국내 정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이는 어떤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는가? 북한이탈주민의 입국은 1990년대 중반이후부터 북한의 경제 사정 악화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하였으나, 남북한 사회체제의 차이, 신체 및 정신적 건강상의 문제, 언어소통 문제, 경제적 자립능력의 부족, 소수자로 겪는 차별과 부정적 시각 등으로 인하여 국내정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6]. 이와 같은 결과로 빈곤으로 인한 자살 및 상대적 박탈감으로 인한 범죄율, 정부의 무관심과 남한 내 차별로 인한 실업률 등이 증가하는 등 각종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기에 이들의 원활한 국내정착을 위한 정책적 지원과 사회적 합의가 간절하게 요구된다. 특히 그 중에서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는 남북한의 사회적 시각차이로 인하여 심화되어 가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줄이기 위한 방법 즉,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수용하면서 더불어 살아나갈 수 있는 통합사회를 만들어 나갈 수 있는 동력을 갖추기 위한 정책적 지원 및 범사회적 지지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NORTH KOREAN REFUGEES PROTECTION AND SETTLEMENT SUPPORT ACT.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 Y. P. Jong & S. J. Han. (2006). Foreign Workers as Minorities: Policy Conflict Analysis. The Korea Public Administration Journal, 15(2), 157-184. 

  3. Y. P. Jong. (2006). A Study on Minority Problems and Minority Policies in Korea.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635-649. 

  4. L. Wirth. (1945). The problem of minority groups, In R. Linton, Ed., The science of man in the world crisis (pp. 347-372). New York : Columbia University Press. 

  5. 2017. e-country index. http://www.index.go.kr 

  6. 2016. North Korean defectors' social integration survey. Seoul : Korea Hana Foundation. 

  7. K. H. Kim. (2015).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Policies Supporting North Korean Defectors: The Mediating Effects of Student's Attitudes toward North Korean Defectors. Journal of social security, 31(4), 1-27. 

  8. K. H. Chae. (2017). The Adaptation Status of North Korean Defectors to South Korean Society and Its Effect on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10), 524-530. 

  9. I. H. Lee & H. J. Choi. (2017). Factors Influencing Soci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1(2), 341-351. 

  10. H. S. Shin. (2017). Analyzing the North Korean Defectors" Performing Arts That Promotes Trust Building. The Journal of Cultural Policy, 31(2), 75-103. 

  11. J. W. Kang. (2017). The Linguistic Integration of the Two Koreas - Centering on the language use of North Korean settlers in South Korea.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3(2), 345-364. 

  12. H. K. Kim. (1997). Q Methodology and Creation of Advertising Message. Operant Subjectivity, 20(Issue 1/2), 28-29. 

  13. H. G. Kim. (2008). Q Methodology : Philosophy, Theories, Analysis, and Application. Seoul : Communication Books, Inc.. 

  14. J. S. Seong & E. Y. Yeom. (2016).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le Nurses Perceived by Female Nurses : An Application of Q- Methodolog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 572-584. 

  15. E. J. Yeun, H. J. Kim, M. S. Jeon & J. A. Yoon. (2012). A Comparison General Public and Health Prefessionals' Perception toward Life-Sustaining Treatment. Journal of Human Subjectivity, 25, 21-34. 

  16. M. Y. Jeon, M. H. Kim & J. M. Jo. (2007). Subjectivity on Aging:a Coorientational Approach. Journal of Human Subjectivity, 14, 129-145. 

  17. C. H. Yang & J. Y. Lee. (2013). On the Use of Q Methodology in Research on the Subjective Perceptions of Election Campaign Advertising.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1), 115-126. 

  18. H. G. Kim & C. Y. Cha. (2008). Preference Factors in the Materials of Television Life-information Program. Journal of Human Subjectivity, 17, 157-178. 

  19. H. J. Kim. (2015). A Convergence Study on Competitiveness Perception of Festival Specialists on Local Festival-Focusing on Q Method.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6), 133-139. 

  20. E. J. Kim. (2014). A Study on Type of Clinical Experience of Adaptation of New Nursing Staffs in a General Hospita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4), 443-454. 

  21. S. H. Ko, E. A. Park & M. A. Kim. (2014) The Typology of Gender Role Identity in Middle-aged Women using Q Methodolog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6), 449-456. 

  22. L. S. Ahn. (2016). A study on types of AIDS perception : Focus on Q-methodology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0), 46-53. 

  23. L. S. Ahn. (2018). Subjectivity about Sexual Minority : A Q-methodology Approach.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1), 527-539 

  24. K. M. Yang & J. K. Chung. (2005). The Effects of Contact with North Korean Residents on Trust and Acceptance by South Koreans.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1(1), 97-115. 

  25. E. E. Jones, A. Farina, A. H. Hastorf, H. Markus, D. T. Miller & R. Scott. (1984). The dimensions of stigma. In E.E. Jones et al (Eds.), Social stigma: The psychology of marked relationships.(pp.24-79).New York, NY: Freeman. 

  26. G. Falk. (2001). stigma : How We Treat Outsiders. Amherst : Prometheus Books. 

  27. B. G. Link & J. C. Phelan. (2001). Conceptualizing Stigma. Annual Review of Sociology, 27, 363-385. 

  28. M. G. Kim. (2015). A Study on the Research Designs for Social Stigma against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y based on the Social Interactionism. Journal of Critical Social Policy, 47(5), 7-42. 

  29. S. W. Jin (2012). A Theoretical Approach to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 Problems and Suggestions. The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 15(1), 129-156. 

  30. H. S. Yoo & H. S. Lee. (2014). The conflict of recognition between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refugees : Focused on Incheon City. The Journal of Incheon Studies, 20, 325-365. 

  31. Y. K. Cho & Y. H. Choi. (2011). A Study on Social Conflict and Integration-Focusing on North Korean Defectors.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423-446. 

  32. Y. H. Choi & S. Y. Kim. (2013). South Korea Embraced Us, but South Koreans Have Never Accepted North Korean Defectors. - An Analysis of the Comments Posted on Major Internet Portal Sites Concerning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Role of Public Relations in Communicating Unification.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15(3), 187-219. 

  33. J. D. Park. (2015). A Case Study on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Glocal Culture, 4(1), 109-124. 

  34. G. C. Thompson. (1966). The evaluation of public opinion. In B. Berelson, & M. Janowitz (Eds.), Reader in public opinion and communication, (2nd ed.). New York : The Free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