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아동 작업치료사의 평가도구 사용 동향
Current Trend in Use of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 Tool by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 원문보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The jo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v.16 no.3, 2018년, pp.23 - 33  

이선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홍초롱 (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박혜연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아동 작업치료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평가도구를 영역별로 구체화하여, 평가도구의 사용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아동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평가도구 사용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평가도구의 하위영역은 작업수행, 일상생활활동, 교육, 놀이, 감각-지각, 운동 및 실행, 인지,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 발달, 이학적 검사로 구성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105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 결과는 초기 평가 시 소요되는 시간은 30~60분(41.9%)이 가장 많았으며, 재평가 주기는 3~6개월(41.0%)로 가장 많이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 별 평가도구를 살펴보면, 작업 수행은 Canadian Occupation Performance Measure(55.2%)을, 일상생활활동은 We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57.1%)을, 교육은 School Function Assessment(2.5%)를, 놀이 평가도구는 Revised Knox Preschool Play Scale(28.6%)을, 감각-지각은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94.3%)을, 운동 및 실행 평가도구는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42.9%)를, 인지 평가도구는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11.4%)를,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은 Evaluation of Social Interaction(6.1%)을, 발달은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II(92.4%)를, 이학적 검사는 임상관찰(89.5%)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아동작업치료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평가도구를 영역별로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추후 평가 교육 및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근거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rend in use of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 tools used by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 Methods : Survey questionnaire developed for this study were used to for data collection. The questionnaires are divided into 10 area: occupational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아동 작업치료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평가도구를 영역별로 구체화하여, 평가도구의 사용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국내 아동 작업치료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평가도구와 개발 될 필요가 있는 영역을 알아보는 봄으로써 임상 현장 및 작업치료 전공 과정에서 아동 작업치료 평가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Yoo, Jung, Park과 Choi(2006)의 한국 작업치료사의 영역별 평가도구 사용 동향에 대한 연구에서 아동 작업치료 평가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6%)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Yoo, Jung, Park과 Choi(2006)의 한국 작업치료사의 영역별 평가도구 사용 동향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아동 작업치료 평가는 발달, 운동적합성, 감각통합, 인지-지각, 일상생활, 이학적 검사와 같이 약 6개의 영역이었다. 그중 전반적 발달검사에서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97.
평가란 무엇인가? 작업치료 분야에서 평가는 전반적인 절차와 사고의 과정으로 평가(evaluation)와 사정(assessment)은 종종 서로 상호 교대로 사용된다(Neistadt & Crepeau, 1998). 평가(evaluation)란 중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모으고 해석하는 과정으로 평가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계획을 세우고 문서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사정(assessment)은 평가 과정 동안에 특정한 도구나 기구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AOTA, 2010).
아동 작업치료사가 아동의 발달적, 기능적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아동 작업치료사들은 아동의 발달적, 기능적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이것은 표준화된 평가(표준참조 검사, 기준참조 검사), 체크리스트, 인터뷰, 가정과 학교 관찰과 같은 방법을 포함한다(Crowe, 1989). 그중 표준화된 검사는 아동에게 치료 서비스가 적절한지를 결정하고, 치료에서의 진전을 관찰하고, 아동에게 가장 효과적인 치료 유형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아동 작업치료사들은 표준화된 검사를 통해 특정 영역에서의 아동 수행에 대한 정확한 측정과 표준점수를 제공받을 수 있다(Case-Smith& O'Brien,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0). Standards of practice for occupational therap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Suppl.), 106-111. http://dx.doi.org/10.5014/ajot.2010.64S106 

  2. Asher, I. (2014). Asher's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 tools: An annotated index (4th ed.). Bethesda, MD: AOTA Press. 

  3. Bak, A. R., Kim, H., Yoo, D. H., & Cha, T. H. (2017). Study to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hort sensory profile2.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5(2), 131-139. http://dx.doi.org/10.14519/jksot.2017.25.3.10 

  4. Crowe, T. K. (1989). Pediatric assessments: A survey of their use by occupational therapists in northwestern school systems.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Research, 9. 273-286. 

  5. Case-Smith, J., & O'Brien, J. C. (2015).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St. Louis, Missouri: Elsevier, 

  6. Cho, B. H., & Park, H. W. (2004). The standardization study of korean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K-BSID-II): Analyses of korean infants' performance of K-BSID-II in terms of demographical variables.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7(1), 191-206. 

  7. Dunn, W. (1999). Sensory profile: User's manual. San Antonio, T.X: Psychological Corporation. 

  8. Hong, K. H., Kim, D. Y., Kang, H. B., Park, T. Y., Yun, E. J., Lee, J. Y., et al. (2016). A preliminary study on motor ability of preschool aged children by using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 (BOT-2) short for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4(1), 31-40. http://dx.doi.org/10.18064/JKASI.2016.14.1.031 

  9. Hong, S. Y., Chang, M. Y., & Kim, K, M. (2013). Analysis of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 school environment using the PEO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1(1), 95-105. 

  10. Itzkovich, M., Elazar, B., & Averbuch, S. (1993),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manual. New Jersey: Maddak Inc. 

  11. Jo, E. M., Jeong, Y. J., Choi, Y. M., & Yoo, E. Y. (2015). Current trends of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 tool by Korean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 and School, 6, 53-64. 

  12. Ji, S. Y., Kim, M. S., Keum, H. J., & Kim, S. H. (2009). Developmental standard of short sensory profile for korean children of school age (7 to 9 years ol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7(1), 27-36. 

  13. Kim, J. H. (2011). Applic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cess model : A case of child with sensory integration dysfun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9(2), 1-13. 

  14. Kim, M. H., Namgung, E. Y., Bu, K. H., Sim, J. H., & Lee, E. S. (2008). The performance of the clinical observations of motor and postural skills (COMPS) in school-aged normal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1), 17-23. 

  15. Kim, S. Y., & Min, Y. S. (2016). Literature review of korean occupational therapy research for children and youth regarding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Focusing on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4(4), 161-174. http://dx.doi.org/10.14519/jksot.2016.24.4.12 

  16. Kim, S. Y., Yoo, E. Y., Jung, M. Y., Park, S. Y., Lee, J, S., & Lee, J. Y. (2013). Development of activity participation assessment for school age childr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1(2), 13-23. 

  17. Lee, S. H., Park, H. Y. (2017).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for improving play of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5(2), 93-106. http://dx.doi.org/10.18064/jksot.2017.15.2.093 

  18. Lim, K. M., Yoo, E. Y., Jung, M. Y., Lee, J, S., Kim, J. R., & Park, H. Y. (2018).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tool of school-aged children's and writ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6(1), 103-118. http://dx. doi.org/10.14519/jksot.2018.26.1.08 

  19. Lim, Y. J., Park, K. Y., & Yoo, E. Y. (2007). Pilot study to establish content validity of a korean-translated version of a sensory profil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5(2), 25-42. 

  20. Law, M., Baum, C., & Dunn, W. (2016). Measuring occupational performance: Supporting best practice in occupational therapy. Thorofare, NJ: Slack. 

  21. Mulligan SE. (2003). Occupational therapy evaluation for children: A pocket guide.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2. Neistadt, M., & Crepeau, E. B. (1998). Glossary. In M.E. Neistadt & E.B. Crepeau (Eds.), Willard & Sparkman's occupational therapy (9th ed., pp. 90-100).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3. Park, K. Y., Yoo, E. Y., Jung, M. Y., Park, S. Y., Lee, J. S., & Park, S. Y. (2011). Validation of the sensory profile for korean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9(3), 1-12. 

  24. Park, S. Y., & Yoo, E. Y. (2002). The use of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 tool by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0(2), 99-108. 

  25. Rodger, S. (1994). A survey of assessment used by pa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41, 137-142. http://dx.doi/10.5762/KAIS.2012.13.11.5229 

  26. Shin, H. S., Han, K. J., Oh, K. S., Oh, J. J., & Ha, M. N. (2002). Korean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II. Seoul: Hyunmunsa. 

  27. Shin, Y. N., Park, S. H., Lee, J. Y., & Park, J. H. (2014).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chool function assess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4), 27-37. http://dx.doi/10.14519/jksot. 2014.22.4.03 

  28. Song, C. S. (2012). Current trends and future-oriented view of clinical measurement used by neurological occupational therapis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1), 5229-5237. 

  29. Yoo, E. Y,, Jung, M. Y., Park, S. Y., & Choi, E. H. (2006). Current trends of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 tool by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4(3), 27-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