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빙랩 기반 공학설계교육의 경험과 평가 : 학생들은 언제, 어떻게 배우는가?
A Case Study of a Living Lab based Engineering Design Class : When and How do Students Learn?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1 no.4, 2018년, pp.10 - 19  

한경희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최문희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troduces an engineering design class which is experimental in a sense that it is planned and implemented with three key concepts such as learner-centered education, living lab and community based learning. With the class run in being connected with one regional community in Seoul, it f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빙랩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는 무엇인가 리빙랩 플랫폼에서는 지금까지 일방적 수용자에 불과한 것으로 여겨지던 사용자, 주민, 생산자, 판매자를 중요한 연구 주체의 하나로 바라본다(성지은 외,2015). 그 결과, 리빙랩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는 다수의 이해관계자, 사용자 참여, 실생활에서의 실험과 공동창조(co-creation), 탐사, 평가 등으로 다양화된다(Westerlund & minen, 2011; 정병걸, 2017).
리빙랩이란? 리빙랩(living lab) 개념은 본래 사용자 주도 혁신 논의에서 등장한 것으로 최근 연구개발 분야뿐 아니라 사회혁신 정책, 교육분야에서 크게 관심을 받고 있다. 여기에서 리빙랩이란 말 그대로 살아 있는 실험실, 생활 실험실로서 연구개발 활동에 대학, 연구소, 산업체, 시민 등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개방형 혁신 플랫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리빙랩 플랫폼에서는 지금까지 일방적 수용자에 불과한 것으로 여겨지던 사용자, 주민, 생산자, 판매자를 중요한 연구 주체의 하나로 바라본다(성지은 외,2015).
리빙랩 개념이 주목 받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이 개념이 주목을 받게 된 배경에는 기존 연구개발활동의 한계를 직시하게 된 것과 관련되어 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성지은 박사는 "보건복지, 헬스케어와 관련한 많은 연구개발이 누가 쓸 것인지에 대한 고민 없이 진행되어 왔"다며 리빙랩 플랫폼을 성공시키려면 무엇보다 "최종 사용자를 유형별로 구분하고 정의하는 작업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정명곤, 20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김성종.김현진(2016). 국내 학교교육에서의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자 중심 학습환경 연구의 동향 분석. 교육공학연구, 32(3), 611-641. 

  2. 김진국.남상진(2007). 좋은 지리수업에 대한 현장 지리교사들의 개념: 포커스 그룹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5(2), 153-166. 

  3. 박경선.나일주(2011). 교수-학습 환경에서의 맥락설계원리 및 모형개발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7(1), 1-37. 

  4. 성지은.송위진.김종선.박인용(2015). ICT 분야의 한국형 리빙랩 구축 방안 연구. 미래창조과학부. 

  5. 성지은.송위진.정병걸.최창법.윤찬영.정서화.한규영(2017). 국내 리빙랩 현황 분석과 발전 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6. 신선경(2013). 공학도를 위한 학습자 중심 글쓰기 교육의 방법과 내용. 작문연구, 19, 301-330. 

  7. 오은주(2009).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교수역량 탐구. 사고개발, 5(2), 107-134. 

  8. 이우성(2014). 적정기술 사업화 사례와 문제점: 캄보디아 사업. 과학기술정책, 24(1), 46-57. 

  9. 전치형(2014). 소외된 90%, 따뜻한 기술, 최고의 솔루션. 과학기술연구, 14(2), 127-164. 

  10. 정명곤(2018). 플랫폼 씨앗 틔운 소방.시니어 리빙랩(하). 산학뉴스, 2018. 7. 10. 

  11. 정병걸(2017). 사회혁신의 장으로서 리빙랩과 패러독스. 과학기술학연구, 17(1), 41-69. 

  12. Armstrong, J. S.(2012). "Natural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Encyclopedia of the Sciences of Learning. Heidelberg: Springer. 

  13. Lucena, Juan and Schneider, Jen and Leydens, Jon. A.(2010). Engineering and Sustainable Community Development. Morgan & Claypool Publishers. 

  14. Westerlund, M. and Leminen, S.(2011). "Managing the Challenges of Becoming and Open Innovation Company: Experiences from Living Labs", Technology Innovation Management Review, October: 19-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