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사관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간의 관계 : 동료 지지와 정서적 안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for Noncommissioned Officer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Coworker Support and Emotional Stabilit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3, 2018년, pp.243 - 249  

이자영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부사관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동료의 지지, 정서적 안정성 그리고 소진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관계에서 동료의 지지와 정서적 안정성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부사관 총 21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 자료에 대해 상관과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사관의 직무스트레스는 동료의 지지와 정서적안정성과 부적 상관을, 소진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동료의 지지와 정서적 안정성은 소진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부사관의 동료 지지와 정서적 안정성은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관계에서 각각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간을 관계를 종합하여 살펴보기 위해 부사관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에 동료의 지지와 정서적 안정성의 이중 매개를 살펴본 결과, 부사관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 때 정서적 안정성은 소진을 직접적으로 부분 매개하였지만, 동료의 지지는 정서적 안정성을 통해서만 소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coworker support, emotional stability and burnout,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worker support and emotional stability. A total of 212 noncommissioned officers were interviewed and correlation and mediat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부사관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정서적 안정성이 매개 역할을 하는 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상황에서 소진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또한,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자원으로 알려진 동료의 지지에 대한 연구 결과가 일관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 원인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 역시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뛰어넘어 부사관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사이에서 동료의 지지와 정서적 안정성이 이중매개할 것을 가정하였다. 이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 모형은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사관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부사관은 정년불안정, 관심 병사 관리에 대한 부담감, 낮은 사회적 인식 등의 이유로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데, 이러한 높은 직무스트레스는 소진(burnout)을 야기한다. 즉 부사관은 직무스트레스가 과도할 경우 정서적으로 탈진되고, 일에 대해 냉담해지며, 성취감이 저하되는 소진을 경험한다.
부사관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부사관이 이처럼 중요한 업무와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책임과 역할은 장교와 병사 사이에서 불분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일반인들에 비해 보수가 낮고, 장교에 비해 정년이 이르며 진급의 정체가 심할 뿐 아니라 인격적인 대우가 낮아 그들의 직무와 관련된 스트레스는 상당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7].
부사관의 역할은 무엇인가? 부사관은 장교와 병사 사이에서 장교를 보좌하면서 기초 전투력을 유지하고 발전시킬 뿐 아니라 동시에 병사를 교육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지휘관으로서 소부대 전투를 지휘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춰야 할 뿐 아니라 병사를 교육하고 관리함으로써 부대의 단결과 화합을 도모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im, J., & Lee, E. Direction of Advanced Armed Forces Garden Management. KIDA defense Weekly, 1568, pp. 15-21, 2015. 

  2. JTBC. (2016.7.1.). Why are Non-Commissioned Soldiers' suicide rate rising sharply, 4times of general soldier?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 news_idNB11264463. 

  3. Ahn, B., & Cah, M. The Effect of Burnout and Intention to Leav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Moderating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Industry Economy Research, vol. 29, no. 1, pp. 411-433, 2015. 

  4. Lee, J. Effects of non-commissioned officers' role stress on burnout, depression, and turnover intention, Journal 303-315, 2015. DOI: https://doi.org/10.5392/JKCA.2015.15.04.303 

  5. Jackson, S. E., Schwab, R. L., & Schuler, R. S. Toward an understanding of the burnout phenomen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71, no. 4, pp. 630-640, 1985. DOI: https://doi.org/10.1037/0021-9010.71.4.630 

  6. Kruger, L., Botman, H., & Goodenow, C. An investigation of social support and burnout among residential counselors. Child and Youth Care Forum, vol. 20, no. 1, pp. 335-352, 1991. DOI: https://doi.org/10.1007/BF00757062 

  7. Kim, D. (2016). A study on the Professionalism and Capacity building of NCO : Focusing on a leadership role for organizational development.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South Korea. 

  8. Kwan, S. J. 2011. A Study on Military Junior Staff' Self Efficacy and Job Exhaustion: Focused on Army Sergeants, Journal of governance studies, vol. 6, no. 2, pp. 191-233, 2011. 

  9. Choi, H., & Lee. J. Qualitative Research of Burnout Experience among Non-Commissioned Soldier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 13. no. 6, pp. 2777-2802, 2012. DOI: https://doi.org/10.15703/kjc.13.6.201212.2777 

  10. Demerouti, E., Bakker, A. B., Nachreiner, F., & Schaufeli, W. B.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of burnou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86. no, 3. pp. 499-512, 2001. DOI: https://doi.org/10.1037/0021-9010.86.3.499 

  11. Schaufeli, W. B., & Bakker, A. B.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 25, no. 3, pp. 293-315, 2004. DOI: https://doi.org/10.1002/job.248 

  12. You, J. L. 2002. Social Support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Burnout in Korea, Journal Elementary Education. Vol. 15, no., 2. pp. 315-328, 2002. 

  13. Rafferty Y, Friend R, Landsbergis P. A.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kill discretion, decision authority and burnout, Work and Stress. vol. 15, no. 1, pp. 73-85, 2001. DOI: https://doi.org/10.1080/02678370120791 

  14. Connor-Smith, J. K., & Flachsbart, C. Relations between personality and coping: A meta-analy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93, no. 6, pp. 1080-1307, 2007.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93.6.1080 

  15. Oh, S. J., & Oh, S. S.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Unstability of Workers at A Nuclear Power Plant Setting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6, no. 3, pp. 647-661, 2007. DOI: https://doi.org/10.15842/kjcp.2007.26.3.006 

  16. Kim, H. J., & Jung, S. C. The effect of Job Stressor on Flourishing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Stability through Recovery -. Korea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29, no. 3, pp. 411-432, 2015. 

  17. Alarcon, G., Eschleman, K. J., & Bowling, N. A..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variables and burnout: a meta-analysis. Work & Stress, vol. 23, no. 3, pp. 244-263, 2009. DOI: https://doi.org/10.1080/02678370903282600 

  18. Jayaratne, S., & Chess, W. A.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turnover: A national study. Social work, vol.29, no. 5, pp. 448-452, 1984. DOI: https://doi.org/10.1093/sw/29.5.448 

  19. Caplan, R. D., Cobb, S., French, J. R. P., Van Harrison, R., & Pinneau, S. P. Job demands and worker health. Ann Arbor, MI: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1980. 

  20. Park, S. H. Influence of Occupational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Counselors Burnout.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wha University, South Korea, 2001. 

  21. Kim, J. K. Sungshin self-concept exmaination. Seoul: Koreaguidance, 2001. 

  22. Schaufeli, W. B., Martez, I. M., Marques-Pinto, A., Salanova, M., & Bakker, A. B.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Across-national stud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vol. 33, no. 5, pp. 464-481, 2002. DOI: https://doi.org/10.1177/0022022102033005003 

  23. Yoo, M. N., & Shin, N. R. Childcare Teachers' Work-related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s in the Workplace, Journal of Life-span Studies, vol. 3, no. 2, pp. 73-85, 20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