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국내 로봇활용 융합연구동향
Research Trends and Considerations in The Clinical Use of Robot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3, 2018년, pp.153 - 163  

윤지혜 (건양대학교 대학원) ,  윤현숙 (건양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이루어진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로봇 활용 융합연구동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최근에 장애 아동의 교육적, 치료적 중재에 연구되고 있는 로봇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자폐를 키워드로 2009년 이후에 발표된 논문을 검색하여 총 17편의 연구 논문을 최종 선정하였고, 활용로봇, 독립변인, 종속변인 유형,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하여 주제별 범주로 묶어 내용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그 중 자폐아동을 위한 로봇개발은 발전이 빠른 분야 중 하나이며,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중재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향후 로봇활용의 일반화를 촉진할 수 있는 적용 절차 및 단계 등에 대한 세분화된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n the clinical use of robots for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In order to understand research trends in the context of the clinical use of robots for children with ASD, recent studies on the use of robot in the educati...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로봇 활용 연구의 동향을 연도별 연구 대상자의 연령과 연구방법, 독립변인, 종속변인 유형을 주제별 범주로 살펴보고,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교육 및 중재로서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로봇 활용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분석 대상 논문을 선정하고 수집 연구하였다.
  • 본 연구의 선별된 논문의 기본 정보를 연도, 사용로봇, 연구 대상, 연구 방법, 독립변인, 종속변인과 연구 결과를 조사하여 표로 정리하였고, 연구 유형은 논문의 내용을 토대로 문헌연구, 중재연구, 특성연구, 조사연구 등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주제별 활용 로봇과 자극제시에 따른 종속변인의 내용을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논문의 연구 방법에 따른 각 연구가 주는 의의를 서술적으로 기술 하였다.
  •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주제별 활용 로봇과 자극제시에 따른 종속변인의 내용을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논문의 연구 방법에 따른 각 연구가 주는 의의를 서술적으로 기술 하였다. 분석된 내용에 대한 신뢰도를 위하여 기록자간 분석기준을 명료화하여 저자들간에 교차 방식으로 논문을 상호 검토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특징은?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은 이처럼 단순하며 스스로 조작 가능한 대상에 관심을 보이고, 이로 인해 로봇 또는 컴퓨터와의 상호작용을 즐긴다고 한다[13]. 컴퓨터는 상호작용의 형태에 있어서 스크린을 통한 일방적인 자극을 주는 방식을 가진 반면, 로봇은 움직임이 가능한 유동적인 상호작용도 제공 할 수 있다.
로봇의 어원은? )>이란 희곡에서 처음 사용한 것으로 전해진다. 로봇의 어원은 체코어로 강제노동, 중노동, 천한 노동 등을 뜻하는 ‘로보타(robota)’이다. 이 연극은 인조인간 인 안드로이드를 바로 로봇이라고 불렀다[5].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로봇의 적용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이유는?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은 이처럼 단순하며 스스로 조작 가능한 대상에 관심을 보이고, 이로 인해 로봇 또는 컴퓨터와의 상호작용을 즐긴다고 한다[13]. 컴퓨터는 상호작용의 형태에 있어서 스크린을 통한 일방적인 자극을 주는 방식을 가진 반면, 로봇은 움직임이 가능한 유동적인 상호작용도 제공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J. H. Oh, H. S. Nam, Y. O. Shin, K. S. Lee, S. Y. Kim, K. Y. Lee, J. C. Son, J. H. Kim & J. W. Ryu. (2010). Effects of Robot-Assisted-Activity Program on Interaction Behaviors in Children with Canc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14(2), 122-132. DOI : 10.21896/jksmch.2010.14.2.122 

  2. J. H. Kim, S. J. Kim, H. S. Lee, Y. H. Shin, C. J. Park, J. B. Kang & C. G. Kim. (2014). Using a Peer Robot to Improve the Social Skills of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Behavioral Disorder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30(2), 57-89. UCI : G704-000501.2014.30.2.012 

  3. C. H. Yoo & H. S. Lee. (2014). Compare of the Recogni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bout Robot and Computer as an Educational Media.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3(4), 91-120. DOI : 10.15870/jsers.2014.12.53.4.91 

  4. S. S. Yun, H. S. Kim, J. S. Choi & S. K. Park. (2015). A Robotic System with Behavioral Intervention facilitating Eye Contact and Facial Emotion Recogni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Journal of Korea Robotics Society, 10(2), 61-69. DOI : 10.7746/jkros.2015.10.2.061 

  5. K. S. Cho, J. M. Kwon & D. W. Shin. (2009). Trends of Cognitive Robot-based Intervention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Autism, 9(2), 45-60. UCI : G704-SER000008951.2009.9.2.002 

  6. H. S. Lee, S. S. Baek, H. J. Ku, W. S. Kang, Y. D. Kim, J. W. Hong & J. W. An. (2010). Experimental Research of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with Autism and Robot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6(2), 141-168. UCI : G704-000501.2010.26.2.005 

  7. K. H. Kim, H. S. Lee, J. H. Kim, J. M. Cho & S. H. Kim. (2012). Learning Expressive Activities to Children with Autism through Material Presented Via Robot.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8(2), 325-347. UCI : G704-000501.2012.28.2.002 

  8. J. M. Kwon & E. H. Park. (2013). Trends in Research involving Robots for Children in the Kindergarten through School Age,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3(1), 145-172. UCI : G704-001667.2013.13.1.007 

  9. S. J. Kim. (2016)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Telepresence Robot to Increase Self-Determination Experience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5(1), 25-50. DOI : 10.15870/jsers.2016.03.55.1.25 

  10. J. Y. Son. (2017). A Review of Research on Augmented Reality Based Educational Contents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18(1), 35-45. DOI : 10.9728/dcs.2017.18.1.35 

  11. S. H. Lee, Y. T. Kim & S, J, Yeon. (2017). Expression and Preference of Emoticons in SNS Contexts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6(2), 99-112. DOI : 10.15724/jslhd.2017.26.2.009 

  12. K. Dautenhahn, & A. Billard. (2002). Games children with autism can play with robota, a humanoid robotic doll. Universal Access and Assistive Technology, 179-192. 

  13. B. Y. Han, D. S. Yim, Y. T. Kim, S. J. Lee & K. H. Hong. (2016). The Effect of a Story Intervention on the Syntactic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by using an Educational Humanoid Robot.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21(2), 244-261. DOI : 10.12963/csd.16316 

  14. K. Dautenhahn, I. Werry, T. Salter & R. Boekhorst. (2003). Toward adaptive autonomous robot in autism therapy: Varieties of Interactions. In Pro. IEEE CIRA'03, 577-582. 

  15. B. Robins, K. Dautenhahn, R. te Boekhorst & A. Billard. (2004). Effects of repeated exposure to a humanoid robot on children with autism. S. Keates et al.(Eds.), Designing a More Inclusive World. London: Springer-Verlag. 

  16. Y. S. Lee & G. M. JOE. (2016). A study on play-centered activities using an intelligent robot in an Inclusiv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6(3), 491-511. DOI : 10.18023/kjece.2016.36.3.021 

  17. E. Y. Choi. (2015). Literature Review of Robots Used for the Rehabilitation of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9(4), 265-273. UCI : G704-SER000002028.2015.9.4.002 

  18. C. Kim. (2012). An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 and Educational Effects in Relation to Robot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6(2), 233-244. UCI : G704-000854.2012.16.2.002 

  19. K. K. Lee. (2007). Effect of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and Web-based Instruction on Academic Performances - Focus on Computerized Practical Accounting.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16, 29-46. UCI : G704-001402.2007.16..007 

  20. K. I. Han & S. M. Kim. (2005). The effect of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on the object Distinction and Learning Attitude of the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7(1), 71-90. UCI : G704-001500.2005.7.1.011 

  21. S. D. Park & Y. J. Chang & K. C. Kim. (2011). A study on teachers' and children's response to robo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1(5), 253-276. DOI : 10.18023/kjece.2011.31.5.011 

  22. N. M. Shin & S. H. Lee. (2008). Factors Affecting the Intimacy Level Between Children and Robot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9(5), 97-111. UCI : G704-000080.2008.29.5.019 

  23. E. J. Hyun, H. M. Yoon & J. M. Kang. (2010). Relationships Between Young Children's Perceptions of and Experience with Education Robot. Korean Joural of Children's Media, 9(1), 189-205. UCI : G704-001863.2010.9.1.009 

  24. J. H. Kim, H. S. Lee, C. J. Park, M. J Bae & J. B. Kang. (2013). Effects of Intervention Program Using Robot on Social Behavior and Play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15(1), 1-28. DOI : 10.21075/kacsn.2013.15.1.1 

  25. C. G. Kim, G. H. Kim, H. S. Lee & B. S. Song. (2011).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Stimuli Robot for the Selection of the Preferred Stimuli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Research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0(2), 353-367. UCI : G704-001516.2011.50.2.001 

  26. K. H. Kim, S. B. Lee, S. J. Jang, W. S. Kang, Y. D. Kim, J. W. Hong & J. W. An. The Reaction of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to Sound Stimuli from a Robot.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5(4), 1-20. UCI : G704-000501.2009.25.4.014 

  27. J. J. Diehl, L. M. Schmitt, M. Villano & C. R. Crowell. (2012). The clinical use of robots for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 critical review.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6(1), 249-262. 

  28. M. J. Bae & H. S. Lee. (2013). An Investigation into the Intention Expression Behavior of Young Children with the Autism Spectrum Disorder - The Qualitative Analysis of musical activities with robots. The Research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2(2), 143-166. UCI : G704-001516.2013.52.2.018 

  29. J. M. Kwon & Y. T. Kim. (2013). Language environment and interaction of a child with moderate autism: Comparison of robot-mediated instruction, special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Autism, 13(3), 19-38. UCI : G704-SER000008951.2013.13.3.003 

  30. K. H. Kim, H. S. Lee, J. B. Kang, M. J. Bae, S. J. Jang, H. J. Ku, W. S. Kang & J. W. An. (2010). Exploring Responses of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to Auditory, Visual and Tactile Stimuli through Interacting with a Robot.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6(2), 371-399. UCI : G704-000501.2010.26.4.012 

  31. H. J. Ku & H. S. Lee. (2012). Research of Interactions between Young Child with Autism and Robotic Stimuli.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8(2), 215-234. UCI : G704-000501.2012.28.2.006 

  32. K. H. Kim, H. S. Lee, S. J. Jang & M. J. Bae. (2011).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Use of a Robot for Educational Purpose for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7(2), 159-178. UCI : G704-000501.2011.27.2.009 

  33. S. B. Kim & Y. H. Shin. (2014). A Review of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Robots for Improvement of Social skills for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3(4), 21-52. DOI : 10.15870/jsers.2014.12.53.4.21 

  34. M. K. Kang, H. J. Lee & Y. T. Kim. (2013). The Current Status of the Use of Robot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Research, 12(3), 127-152. UCI : G704-SER000014606.2013.12.3.015 

  35. K. H. Kim, H. S. Lee, S. J. Jang, M. J. Bae & H. J. Ku. (2011). Exploring the Responses of Children Labeled with Autism-Through Interactions with Robotic Toy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0(1), 181-209. UCI : G704-001516.2011.50.1.005 

  36. C. G. Kim & B. S. Song. (2012). Studies on Application of Robot Remote Support System : Focused on Special Educatio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1(4), 95-110. UCI : G704-001516.2012.51.4.011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