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OTT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 특성에 관한 연구 -이용자 특성과 이용 장소를 중심으로-
A Study on OTT Content's Characteristics: Focusing on User Characteristics and Place of Us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3, 2018년, pp.124 - 137  

함민정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ICT.콘텐츠 트랙) ,  신유진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디지털 경영 트랙) ,  이상우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국 등의 해외 주요국과 달리, 한국에서는 OTT 서비스가 크게 확산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OTT 서비스가 활성화되지 못한 주요 원인들로 OTT 사업자들이 서비스 초기에 이용자의 선호 콘텐츠를 제공하지 못했다는 점과 와이파이(Wifi)가 없는 곳에서 OTT 이용 시 개인 데이터가 소진되어 이용 요금에 부담을 느끼므로 OTT 서비스 이용에 제한이 있다는 점에 초점을 두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한국미디어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해, 최근 3년 사이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국내 OTT 서비스 시장에서 이용자의 주요 이용 콘텐츠와 이용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이용 콘텐츠, 이용자의 OTT 서비스 주요 이용 장소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OTT 서비스의 최대 장점이 잘 발휘되고 있는지 여부를 알아본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OTT 서비스 사업자가 앞으로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 어떤 전략을 세워나가야 하는 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TT service in Korea is not as popular as that in the U. S. This study argues that one of the major reasons of poor performance of OTT in Korea is that the OTT service providers did not acquire attracting contents, thus failing to appeal to Korean users. The other reason is Korean users are no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7% 성장하고 있는 OTT 서비스 시장[17][22]의 최근 3년간 변화를 중점적으로 분석하며, 구체적으로 한국에서 OTT 서비스이용자가 주로 이용하는 콘텐츠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이 실제 사업자들의 서비스 플랫폼들에서 제대로 제공되고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용자들이 OTT를 주로 이용하는 장소가 어디인지 살펴보고,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OTT 서비스의 특성에 맞게 이용자들이 다양한 장소에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질문들에 대해 답해 보도록 하겠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시장규모가 2014년 대비 2015년에 두 배, 2015년 대비 2016년에는 약 53.7% 성장하고 있는 OTT 서비스 시장[17][22]의 최근 3년간 변화를 중점적으로 분석하며, 구체적으로 한국에서 OTT 서비스이용자가 주로 이용하는 콘텐츠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이 실제 사업자들의 서비스 플랫폼들에서 제대로 제공되고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용자들이 OTT를 주로 이용하는 장소가 어디인지 살펴보고,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OTT 서비스의 특성에 맞게 이용자들이 다양한 장소에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 즉, KISDI의 미디어다이어리 데이터는 응답자들이 특정한 미디어를 얼마나 이용하는지를 보여주는 자료는 아니며, 응답자들이 3일 간 이용하는 미디어 이용 행태를 일기처럼 기록한 자료이다(중복응답 불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사용 일기와 다름없는 KISDI의 원데이터를 2차 가공하여, OTT를 이용하는 응답자를 추려내었다. KISDI의 원데이터를 2차 가공하는 방법은, 응답자가 기록한 매체, 행위, 연결, 수면 값을 ‘OTT 서비스 이용시 경우의 수’로 조합하여 적소폭 공식에 따라 값을 산출하는 것이다.
  • 즉, OTT 서비스 이용자가 주로 선호하는 콘텐츠가 다양한 OTT 플랫폼에서 제공이 되고 있는지의 여부와 OTT 서비스가 다양한 장소에서 이용이 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실증분석에 기반해 살펴볼 것이다. 또한 지난 3년간 국내 OTT서비스 시장 규모가 눈에 띄게 확대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여, 최근 3년간의 국내 OTT서비스 시장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국내 OTT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제안한다
  • 본 연구는 OTT서비스 사업자가 OTT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점, OTT서비스 이용자가 OTT서비스를 통해 이용하는 콘텐츠 또한 한정되어 있다는 점과 OTT서비스 이용자가 OTT서비스를 이용하는 장소가 한정되어 있다는 점을 근거로, 국내 OTT서비스 시장의 성장세를 가속화하기 위해서는 OTT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다양화가 필요하며 OTT서비스 이용자가 OTT서비스를 언제 어디에서나 이용하는데에 거부감이 없도록 OTT서비스 전용 패키지 요금제 등의 전략 필요성을 제기한다는 것에 시사점이 있다.
  • 본 연구는 한국에서 OTT 시장이 점진적으로 확대되면서 시장 확대의 가능성을 보이고 있지만, OTT 서비스의 유료이용률은 아직 저조하다는 것을 근거로, 국내 OTT 서비스가 아직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하는 원인을 OTT서비스 이용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콘텐츠 선호도와 서비스 이용환경에서 찾아보았다. 특히 본 연구는 OTT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핵심적인 요소를 ‘이용자들이 원하는 콘텐츠’와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이용환경’으로 보고, 현재 한국 시장에 출시된 OTT 서비스에서 이용자들이 원하는 콘텐츠가 충분히 제공이 되고 있는지, 그리고 이용자들이 실제로 다양한 장소에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지를 실증적 데이터에 기반해 분석했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OTT 서비스 시장의 현황을 살펴본다. OTT 서비스가 국내에서 좀처럼 크게 확산되지 못했던 원인으로 ‘OTT서비스 이용자의 선호 콘텐츠’가 주요 변인으로 선정된 이유는, 치열한 동영상서비스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OTT 서비스 사업자는 이용자가 선호하는 콘텐츠를 확보함으로써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연구문제 1은 국내 OTT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 중, 이용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콘텐츠 종류가 무엇인지에 대해 각 콘텐츠의 이용시간을 측정해 알아본 것이다[표 4]. OTT서비스를 통해 제공된 지상파, 케이블, 종편채널 프로그램과 영화, UCC 콘텐츠 모두 이용 시간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했다.
  • 연구문제 3은 이용자들이 OTT 서비스를 어느 장소에서 주로 이용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표 6]. 각 장소별로 이용자들이 OTT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간을 알아본 결과, OTT 서비스는 본인 주거공간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었다.
  • 연구문제 4는 OTT 서비스에 제공되는 지상파, 케이블, 종편, 영화, UCC 콘텐츠가 각각 얼마나 다양한 장소에서 이용 되는가를 알아본 것이다. 이를 위해 각 콘텐츠별로 장소에 따른 이용시간의 적소폭을 산출해 비교하였다([표 7] 참고).
  • 또한, ‘OTT서비스 주이용 장소’가 주요 변인으로 선정된 이유는, OTT서비스가 기존매체보다 이동형 장소에서 이용하기 용이하다는 강점이 있기 때문이다. 즉, OTT 서비스 이용자가 주로 선호하는 콘텐츠가 다양한 OTT 플랫폼에서 제공이 되고 있는지의 여부와 OTT 서비스가 다양한 장소에서 이용이 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실증분석에 기반해 살펴볼 것이다. 또한 지난 3년간 국내 OTT서비스 시장 규모가 눈에 띄게 확대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여, 최근 3년간의 국내 OTT서비스 시장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국내 OTT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제안한다
  • 특히 본 연구는 OTT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핵심적인 요소를 ‘이용자들이 원하는 콘텐츠’와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이용환경’으로 보고, 현재 한국 시장에 출시된 OTT 서비스에서 이용자들이 원하는 콘텐츠가 충분히 제공이 되고 있는지, 그리고 이용자들이 실제로 다양한 장소에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지를 실증적 데이터에 기반해 분석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OTT서비스의 유료 이용률이 낮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9%)의 유료 이용률이 미미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간접적으로, 이들 서비스가 통신서비스와의 번들링으로 매우 저렴한 가격에 제공되어 많은 유료 이용자를 확보하기는 하였으나 이용률은 아직까지 미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OTT 서비스의 장점은 무엇인가? 현재 국내에서 넷플릭스와 같은 해외 사업자 외에 국내 지상파 방송사, 케이블TV 방송사, 이동통신사, 포털사업자 등이 PC와 모바일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이나 기타 콘텐츠에 대한 OTT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10]. OTT 서비스는 기존의 유료 방송과는 달리, 이용자들이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원하는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11]과 자체적인 망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업자도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10] 때문에 많은 사업자들에게 매력적인 서비스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OTT 서비스는 현재 성장 단계일 뿐이고, 아직 해외의 OTT 서비스와 비교할 수 있을 만큼의 산업적 경쟁력을 갖췄다고 판단하기는 이르다[10].
OTT 서비스란 무엇인가? OTT 서비스는 ‘오버 더 탑(Over-The-Top)의 약자로서, 기존 매체와는 달리 특정한 망에 종속되지 않고 인터넷만 연결되면 동영상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FCC, Annual assessment of the status of competition in the market for the delivery of video programming, MB Docket No.07-269, FCC 12-81, 2012. 

  2. 미래창조과학부, OTT 산업 육성 계획(안), 공청회 자료, 2014. 

  3. https://www.statista.com/chart/10311/netflix-subscriptions-usa-international/ 

  4. https://www.statista.com/chart/5232/amazon-pr ime-members/ 

  5. 김영석, 미국 OTT의 오리지널 콘텐츠 전략 및 시사점, 디지에코 보고서, 2016. 

  6. 한국콘텐츠진흥원, 방송영상콘텐츠 유통 플랫폼 해외 사례 연구:OTT를 중심으로, 2015. 

  7. 한국콘텐츠진흥원, 2016 방송영상산업백서, 2017. 

  8. 조영신, "스마트 TV를 둘러싼 경쟁 지형과 정책 방안 : 미국과 한국의 OTT 사업자들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5호, pp.233-266, 2011. 

  9. 이승엽, "최선형 인터넷망 기반 동영상 서비스가 활성화되지 못하는 원인," 방송통신전파저널, 통권 제55호, pp.4-21, 2012. 

  10. 국회입법조사처,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의 쟁점과 개선과제, NARS 현안보고서, 제287호, 2015. 

  11. J. Cha, "Does genre type influence choice of video platform? A study of college student use of internet and television for specific video genres," Telematics and Informatics, Vol.30, No.3, pp.189-200, 2013. 

  12. 황준호, 박유리, 박민성, "콘텐츠 산업의 생태계 진단과 향후 정책과제," 현안연구, 제2012권, 제2호, pp.1-85, 2012. 

  13. 한국콘텐츠진흥원, 2016 애니메이션 산업백서, 2017. 

  14. http://www.sisajournal-e.com/biz/article/173466 

  15. 김치호, "MCN 사업의 현황과 과제," 인문콘텐츠, 제40권, pp.167-187, 2016. 

  16. 방송통신위원회, 2016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보고서, 2016. 

  17. 방송통신위원회, 2016년도 방송시장 경쟁상황 평가 보고서, 2016. 

  18.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9/29/0200000000AKR20170929107500005.HTML 

  19.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7&no603703 

  20.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6 한국미디어 패널조사, 2016. 

  21. 양명자, "N-스크린 서비스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스마트폰, PC, 태블릿, TV 등 복수 스크린에서의 동일 콘텐츠 이용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7권, 제1호, pp.131-166, 2013. 

  22. 최선영, "춘추전국시대 맞은 국내 OTT 시장 - 2년 새 급성장…콘텐츠 확보.단순 요금 체계는 과제," 신문과 방송, pp.36-41, 2017(2). 

  23. 이승엽, 이상우,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와 기존 매체 간의 경쟁관계에 관한 적소분석,"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12권, 제3호, pp.7-45, 2014. 

  24. J. W. Dimmick, Media competition and coexistence: The theory of the niche,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3. 

  25. T. W. Schoener, "Some methods for calculating competition coefficients from resource-utilization spectra," The American Naturalist, Vol.108, No.961, pp.332-340, 197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