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혈모세포이식병동 간호사의 자율성과 직무만족도
Autonomy and Job Satisfaction of the Nurses in the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Ward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3, 2018년, pp.363 - 373  

정현옥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전공) ,  채경미 (경북대학교병원 간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조혈모세포이식병동 간호사의 자율성과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고, 자율성과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국내 7개의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79명을 대상으로 2013년 5월 20일부터 6월 4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4.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실시하였다. 자율성 평균은 $165.47{\pm}19.56$점, 직무만족도 평균은 $3.15{\pm}0.35$점으로 나타났다. 자율성과 직무만족도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직무만족도의 하부영역 중 자율성영역(r=.273)과 상호작용영역(r=.257)은 자율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에 조혈모세포이식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해서 직무만족도의 하부영역인 자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조혈모세포이식병동 간호사들의 자율성과 직무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교육과 정책프로그램을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s the Autonomy and job satisfaction of the nurses in the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ward. The data was collected by distribut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79 nurses at the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ward at 7 university hospital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조혈모세포이식병동 간호사가 인지하는 자율성과 직무만족도 정도를 파악하고 자율성과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자율성과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혈모세포이식병동 간호사가 인지하는 자율성과 직무만족도는 중간수준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조혈모세포이식병동 간호사들이 지각하는 자율성과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고, 자율성과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조혈모세포이식병동 간호사가 인지하는 자율성과 직무만족도 정도를 파악하고 자율성과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자율성을 증진과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함으로써 병원간호의 질적인 발전과 병원 간호사의 지위향상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자율성이란 무엇인가? 간호사의 자율성은 법적, 윤리적 업무수행표준에 따라 전문지식과 기술을 다하여 업무에 필요한 결정과 이를 수행하고 책임질 수 있는 업무상의 독립성과 상호의존성 및 이에 관한 능력과 태도를 말한다. 자율성의 수준은 어떤 직업이 전문적 지위를 성취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데 결정적인 요인으로 전문직으로서의 지위를 강화시켜줄 뿐 아니라 보다 나은 환자간호를 가능하게 하여 직무만족도를 높인다[6].
조혈모세포이식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도가 낮을경우 생길수 있는 부작용은 무엇인가? 직무만족도는 간호사가 일에 대한 긍정적 태도로 환자에게 보다 나은 양질의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서비스의 질적 부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10]. 만약, 조혈모세포이식병동 간호사가 자신의 직무에 만족하지 못한다면 환자에 대하여 부정적인 생각과 성실치 못한 태도로 간호사의 역할기대에 대한 효율성과 간호업무의 질이 저하되어 간호에 대한 전문적인 발전뿐만 아니라 병원조직의 발전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11].
조혈모세포이식병동 간호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조혈모세포이식병동 간호사는 항생제나 항암제의 부작용, 방사선 치료와 독성, 골수이식과정에 따른 약물 투여 및 감염관리, 골수 이식 후 부작용 등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과 간호를 제공하고, 환자 및 보호자에게 치료과정에 따른 정보제공과 교육, 환자의 격리와 장기 입원에 따른 정서적 지지까지 다양한 업무와 역할을 수행하고있다[4]. 특히, 투약, 신체사정, 조혈모세포이식 특수간호, 안위간호, 상담 및 교육, 안전간호, 영양 및 배설간호와 같은 직접간호의 비율이 물품 및 약품관리, 환경관리, 입·퇴원관리 등과 같은 간접간호활동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S. Y. Lee, J. S. Lee, S. Y. Kim & J. Y. Lee. (2017).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n professional self-Concept in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9), 273-281. DOI: 10.14400/JDC.2017.15.9.273 

  2. J. R. Han & S. H. Ahn. (2015). The effects of nurses' satisfaction on hospital performance : Focused on the patient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recommendation inten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9), 419-430. DOI: 10.14400/JDC.2015.13.9.419 

  3. M. J. Kim & K. J. Kim. (2016). The influence of nurse' clinical career and communication within organization on teamwork competenc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2), 333-344. 

  4. P. J. Verhonick. (1974). Descriptive study method in nursing. Wilkipedia : Scientific Publication. 

  5. J. H. Kim. (2013). Job analysis of the nurses in the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unit.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6. S. A. Cho & H. S. Yoo. (2001). Concept analysis of professional nurse autonom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3(5), 781-792. 

  7. D. B. Slavitt, P. L. Stamps, E. B. Piedmont & A. M.. Haase. (1978). Nurses'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situatio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7(2), 114-120. 

  8. C.P. Finn. (2001). Autonomy : An important component for nurses' job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38(3), 349-357. 

  9. A. Adams, S. Bond. (2000). Hospital nurses' job satisfacti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2(3), 536-543. DOI: 10.1046/j.1365-2648.2000.01513.x 

  10. J. Choi & H. J. Park. (2009).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 in schoolwork.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1), 37-44. 

  11. Y. S. Kang & K. Y. Jo. (2012).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nd job satisfaction of the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6(2), 45-56. 

  12. M. H. Sung, Y. A. Kim & M. J. Ha. (2011). The relationship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professional autonomy and self-esteem to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4), 547-555. 

  13. S. H. Lim, J. S. Ye, L. M. Byoun, Y. J. Hu, J. Y. Goo & H. A. Kim. (2001). A study on attitudes toward professional autonomy and job satisfaction of pediatrics nurs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Study, 31(5), 37-54. 

  14. S, M, Lee. (2000).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nurses perceived autonomy, job satisfaction and related variabl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6(1), 109-122. 

  15. J. A. Park & J. H. Yeo. (2015). Effect of professional autonom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n job satisfaction of emergency nurse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8(1), 62-70. 

  16. E. H. Kim. (2016). A convergence study about influences of self-efficacy and mindfulness on job satisfaction o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5), 107-116. DOI : 10.15207/JKCS.2016.7.5.107 

  17. M. M. Park & S. J. Han. (2013). Relations of job satisfaction with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personal resources in home healthcare nurses.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4(1), 51-61. 

  18. S. Y, Yun & D. D. Uhm. (2011). Impact on job satisfaction to job stress of physician assistant nurses.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11), 4914-4923. 

  19. H. S. Hwang & M. S. Hong. (2001). A comparative study on nurse's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s in ICU and general unit.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s, 6(1), 51-66. 

  20. K. K. Schutzenhofer. (1983). The development of autonomy in adult women, Journal of Psychological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s, 21(4), 25-30. DOI : 10.3928/0279-3695-19830401-04 

  21. K. J. Han, E, O, Lee, Y. S. Ha & G. S. Kim. (1994). Nursing Research Tools. Seoul : Hyunmoonsa. 

  22. C. S. Yang. (2004).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nurse autonomy and nursing performance. Master's thesis, Younsei University, Seoul. 

  23. S. J. Lee. (1984). A study on head nurse's satisfaction on the job. Master's thesis, Ewha Women University, Seoul. 

  24. M. H. Lee. (2015). Convergence factor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of radiographe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8), 357-368. DOI : 10.14400/JDC.2015.13.8.357 

  25. S. Y. Kim & K. M. Lee. (2013). Analysis fo the factors for hospital employee's job satisfaction.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6(1), 21-40. 

  26. C. S. Alexander, C. S. Weisman & G. A. Chase. (1982). Determinants of nurses' perceptions of autonomy with in different clinical contexts. Nursing Research, 31(1), 48-52. 

  27. J. C. Park, C. I. Park & N. K. Kim. (2003). Oncology. Seoul : Ilchokak. 

  28. K. H. Won. (2003). A study on job satisfaction of nurse. Master's thesis, Daejeon University, Daejeon. 

  29. E. K. Lee & C. G. Heo. (2017). Convergent Interaction Effects of Six Worklife Area on relation between Nurse's patients related stress and burnou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8), 105-114. DOI : 10.15207/JKCS.2017.8.8.105 

  30. M. A. Blegen & S. W. Mueller. (1987). Nurses' job satisfaction : A longitudinal analysi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0(4), 227-237. DOI : 10.1002/nur.4770100405 

  31. S. K. Lee & J. H. Park. (199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nd group cohesiveness perceived by nurse and their job organizational commitment, motivation and intend to stay on job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1), 5-15. 

  32. G. D. Nam, (2003). Study on the increase for the autonomy of military lif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Strategy, 12(1), 2-15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