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수준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과 의사소통능력의 차이
Differences in Smartphone Addiction and Communcation Ability according to Emotional Intelligence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3, 2018년, pp.375 - 383  

이외선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  구혜자 (경성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수준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 정도와 의사소통능력 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B와 C시 2개의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22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6년 11월 28일부터 2016년 12월 16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WIN23.0을 이용하여 빈도, Independent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수준과 스마트폰 중독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감성지능의 하위 영역 중 감성활용, 감성조절과 스마트폰 중독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감성활용과 감성조절을 잘 할수록 스마트폰 중독 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지능 수준과 의사소통능력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감성지능 수준이 높을수록 의사소통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수준을 향상시켜 스마트폰 중독을 줄이고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ces in Smartphone adiction and communcation ablity according to the degree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nursing students. Subjects were 228 associate nursing students from the population that atttend 2 university in B and C city. The data were coll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지금까지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고 감성지능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 만 본 상태로 본 연구에서는 감성지능의 수준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과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를 보고자 한다.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감성지능 수준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를 본 선행연구[18]에서 대상자 전체를 대상으로 감성지능과 변수와의 상관성을 규명하는 분석보다 감성지능이 높은 군과 낮은 군으로 나누어 변수 간의 관련성 규명이 연구목적을 극대화 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어 선행연구[18]의 분류기준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감성지능 수준이 높은 그룹(상위 25%)과 낮은 그룹(하위 25%)으로 나누어 감성지능 수준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과 의사소통능력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그러나 지금까지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고 감성지능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 만 본 상태로 본 연구에서는 감성지능의 수준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과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를 보고자 한다.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감성지능 수준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를 본 선행연구[18]에서 대상자 전체를 대상으로 감성지능과 변수와의 상관성을 규명하는 분석보다 감성지능이 높은 군과 낮은 군으로 나누어 변수 간의 관련성 규명이 연구목적을 극대화 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어 선행연구[18]의 분류기준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감성지능 수준이 높은 그룹(상위 25%)과 낮은 그룹(하위 25%)으로 나누어 감성지능 수준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과 의사소통능력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수준과 스마트폰 중독 및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수준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과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스마트폰 중독을 낮추고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감성지능수준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과 의사소통능력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규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줄이고 효과적인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대상자의 감성지능을 사분위수를 기준으로 평균이 상위 25%인 3.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생들의 감성지능 수준과 스마트폰 중독 및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스마트폰 중독을 줄이고 의사소통능력을 향상 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또한 간호사의 정보 제공적 ․친화적 의사소통능력은 간호대상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키고[4, 5], 프리셉터 간호사의 지원형․반영형의 의사소통능력은 신규 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을 높이며, 조직사회화 정도를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와[6]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은 간호 대상자 뿐 만 아니라 동료 간호사와 다른 의료팀간의 관계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량이다. 선행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공감역량[7], 감성지능[8], 비판적 사고성향[9]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간호교육에서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상태이다.
간호전문가의 의사소통능력이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무엇인가? 이에 한국간호교육평가원(2017)에서는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 학습성과로 ‘언어적, 비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한 치료적 의사소통술을 적용한다’로 제시하고 있고, 의사소통능력을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한 학생이 졸업한 시점에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 중의 하나로 정하고 있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은 임상 실습 시 다양한 간호 상황에서 대상자와의 관계, 동료학생과의 관계, 문제해결능력, 임상수행능력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노력은 매우 중요하다[3]. 또한 간호사의 정보 제공적 ․친화적 의사소통능력은 간호대상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키고[4, 5], 프리셉터 간호사의 지원형․반영형의 의사소통능력은 신규 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을 높이며, 조직사회화 정도를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와[6]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은 간호 대상자 뿐 만 아니라 동료 간호사와 다른 의료팀간의 관계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량이다. 선행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공감역량[7], 감성지능[8], 비판적 사고성향[9]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간호교육에서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상태이다.
감성지능은 무엇인가? 감성지능은 자신과 타인의 감성을 이해하고, 감성을 조절하고, 감성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14] 미래의 간호사가 될 간호대학생에게 매우 중요한 역량 중의 하나이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15]에서 정서표현능력이 부족한 경우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폰에 중독되어 뇌 조절 능력이 떨어지면 타인의 표정변화에 제대로 반응하지 못하여 의사소통능력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Y. J. Oi. (2008).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the Communication Empowerment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 based on the Theory of Transfer of Learning. .Unpublished docto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 T. J. X. Jasmine. (2009). The use of effective therapeutic communication skills in nursing practice. Singapore nursing journal, 36(1), 35-40. 

  3. S. Y. Jung. (2013). The structural model of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6), 3333-3352. 

  4. M. S. Seo & Y. I. Park. (2016). The Communication Styles and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of Clinical Research Nurses Perceived by Clinical Subjec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4), 559-566. 

  5. H. L. Seo, H. K. Eom, Y. K. Seo, M. J. Choi, S. I. Im, & S. M. Shin. (2016). Relationship among Nurses' Communication Style,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Hospital Service Satisfaction Perceived by Patients' Family and Intent to Revisit the Hospita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2(3), 368-378. 

  6. Y. C. Park & H. S. Park. (2016). Clinical competence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ccording to communication style of preceptors as perceived by new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3(1), 42-50. 

  7. E. J. Ji. (2014). Influence of nursing professionalism, empathic ability on communication ability in senior nursing studen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3), 1685-1697. 

  8. O. S., Lee & M. O. Gu.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skill, clinical competence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6), 2749-2759. 

  9. S. H., Lee & S. E. Chung. (2014). Influencing factor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steem on communication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J Korea Contents Assoc, 14(12), 340-349. 

  10. J. K. Bae & H. M. Jeong. (2008).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factors by including functional attributes of smart phone adoption. The e-Business Studies, 9(4), 337-361. 

  11. E. Y. Koh & E. H. Kim. (2017). The Impacts of anxiety and depression on smartphone addic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5), 419-429. DOI : http://doi.org/10.14400/JDC.2017.15.5.419 

  12. I. G. Kim, S. W. Park & H. M. Cho. (2017). The Relationship among Smartphone addiction, Communication ability, Loneli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1), 637-648. DOI://doi.org/10.5762/KAIS.2017.18.1.637 

  13. G. S. Seo & S. Y. Bang. (2017). The relationship among smartphone addiction, life stress, and family communic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4), 398-407. 

  14. C. S. Wong & K. S. Law. (2002).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3), 243-274. 

  15. S. A. Park & K. W. Park. (2017).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ir Smart Phone Addiction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 Concep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9), 255-263. DOI : http://doi.org/10.15207/JKCS.2017.8.9.255 

  16. M. J. Lee.(2009). Difference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position according to the Internet Addiction Tendency in Adolesc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11), 201-211, 

  17. O. S. Lee & M. J. Kim. (2017). The relationship among Smartphone addiction, Emotional intellig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ommunication skill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7), 319-328. DOI : http://doi.org/10.14400/JDC.2017.15.7.319 

  18. J. E. Song & H. J. Chae. (2014). Differences in stres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according to emotional intelligenc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4), 502-512. DOI : http://doi.org/10.5977/jkasne.2014.20.4.503 

  19. F. Faul, E. Erdfelder, A. Buchner & A. G. Lan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 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20. P. J. Hwang. (2007). A study on the influence of an employee's emotional intellig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21.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Development of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2. R. B. Rubin. (1990). Communication competence. In: Phillips GM, Wood JT, editors. Speech communication: Essays to commemorate the 75th anniversary of the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Carbondale, IL: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94-129. 

  23. G. H. Hur. (2003).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Communication Studies, 47(6), 380-408. 

  24. W. AbdelKader & M. Elnakeeb.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media and emotional intelligence among youth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and Health Science, 6(5), 63-77. 

  25. J. E. Choi, E. J. Seo, E. H. Lee. & M. S. Yoo. (2014). Smartphone Addic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control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1(1), 44-51. DOI: http://doi.org/10.21184/jkeia.2017.02.11.2.217 

  26. V. Deursen, A. J. Bolle, C. L. Hegner, S. M., & P. A. Kommers. (2015). Modeling habitual and addictive smartphone behavior: The role of smartphone usage types,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tress, self-regulation, age, and gender. Computers in human behavior, 45, 411-420. DOI: 10.1016/j.chb.2014.12.039 

  27. H. H. Park, M. Y. Jang. (2017).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Level on Quality of Life. The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1(2), 217-227. DOI :10.21184/jkeia.2017.02.11.2.217 

  28. M. K. Ji, Y. M. Kim & S. Y. Kim. (2017).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ports Activity Engagement, Emotional Intelligence, Smart Phone Addiction and Antisocial Tendency for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6(3), 271-282. 

  29. H. M. Lee. (2008). Commit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e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30. Ahn, H. Y.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 life adjustmen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31. M. Y. Sun. (2014). A Study on the Effects of Smart phone, Emotional Intelligence, Self-control and Psychological Detachment on Emotional Exhaustion and Study Perform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ungju. 

  32. S. H. Lee. (2014).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smartphone addiction in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doctor's thesis, In Je University, Kimhae. 

  33. P. Salovey & J. D. Mayer.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34. J. Y. Ha & S. Y. Jeon. (2016). The Effects of Humanistic Knowledge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Communication Skills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3), 264-273. 

  35. O. S. Lee & M. O. Gu. (2014). Development and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Program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Mixed Methods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6), 482-778. 

  36. J. Y. Ha & S. Y. Jeon. (2016). The Effects of Humanistic Knowledge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Communication Skills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3), 264-273. DOI : http://doi.org/10.5977/jkasne.2016.22.3.264 

  37. J. H. Park. (2010). Effectiveness of Cooperative Learning on Nursing StudentsPerformance and Experien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2), 202-212. 

  38. J. W. Park & M. S. Choi. (2009). A study on self consciousnes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s of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18(3), 351-360. 

  39. Y. J. Yi. (2014). Factors Influencing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4), 463-470. 

  40. S. H. Kim & M. A. Lee. (2014).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3), 332-341. 

  41. M. S. Song, H. J. An & Y. H. Chung. (2010).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 and communication in nursing students. Health Commun, 5(1), 40-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