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Purpose : Customers with loyalty are very important to hospitals for sustainable growth in their medical market. Individuals with loyalty are likely to visit same hospital repeatedly when they need medical services.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selection of specialty hospitals among customers with loyalty.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35 inpatients in 22 specialty hospitals in 6 designated fields(joints, spine, colorectal-anal, obstetrics and gynecology,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Customer types classified as customers with high loyalty, neutral customers, and customers with low loyalty according to net promoter score(NPS).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classify 22 hospital selection factors into some similar properti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selection factors related to loyal customers. Findings : Most of specialty hospitals received high NPS of 8 points or higher in all the designated fields. Five factors associated with selection of specialty hospital are (1) hospital facilities and convenience, (2) trust in doctor and hospital, (3) rapidness of treatment, (4) hospital awareness, and (5) accessibility.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election factors related to loyal customers were 'hospital facilities and convenience', 'trust in doctor and hospital' and 'rapidness of treatme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importance of three selection factors by customer types appeared for each designated field. Practical Implications : This study confirms the high level of patient experience among inpatients of specialty hospitals. Factors associated with selection of hospital among inpatients with loyalty are 'facilities and convenience of hospitals', 'trust of doctor and hospital' and 'rapidness of treatment'.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as basic data to systematically enhance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health care system and to provide securing competitiveness according to designated fields in the management aspect of specialty hospitals.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의료서비스의 제공 방식 | 의료서비스의 제공 방식은 무엇으로 변화하고 있는가? |
공급자 중심의 일방적 제공방식에서 소비자인 환자중심 의료(patient-centeredness)로 변화
의료서비스의 제공 방식은 공급자 중심의 일방적 제공방식에서 소비자인 환자중심 의료(patient-centeredness)로 변화하고 있다[7]. 이에 따라, 환자경험(patient experience) 이 의료기관의 의료의 질 평가에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
전문병원 | 전문병원이란? |
특정 진료과목이나 특정 질환에 대하여 난이도 높은 의료행위를 하는 병원들 중 의료법 제3조의5 제1항에 근거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이 고시하는 「전문병원 지정 및 평가 등에 관한 규칙 별표1」의 기준을 충족 하고, 지정을 신청하는 병원에 대해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하는 병원
전문병원은 특정 진료과목이나 특정 질환에 대하여 난이도 높은 의료행위를 하는 병원들 중 의료법 제3조의5 제1항에 근거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이 고시하는 「전문병원 지정 및 평가 등에 관한 규칙 별표1」의 기준을 충족 하고, 지정을 신청하는 병원에 대해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하는 병원을 말한다[1]. 환자 구성비율과 진료의 양, 필수 진료과목, 의료인력 및 병상 등의 지정기준을 충족하는 병원이 전문병원 지정을 신청하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전문병원심의위원회가 지정기준 충족 여부를 평가·심의하여 최종적으로 보건복지부장관이 전문병원으로 지정한다[2]. |
몇 가지 제한점 | 이 연구에선 기존 연구와는 다르게 여러 지정분야의 전문 병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가지고 있는 몇 가지 제한점은 무엇인가? |
첫째, 전문병원과 관련된 병원선택요인 문항을 설계하는데 자료의 한계가 있었다. 지금까지 병원 선택요인 관련 연구는 의료기관 종별간 비교 연구, 특정 질환에 국한된 연구들이 많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일반병원이나 암환자의 병원선택요인을 위한 조사문항들을 주로 참고하여 총 22개의 문항을 포함하였다. 둘째, 일반병원 입원환자를 조사대상에 포함하지 못하여 전문병원의 순추천지수의 수준과 일반병원과 차이가 있는 병원 선택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이 연구는 기존의 특정 지정분야에만 국한되었던 기존 연구들과 달리 6개 지정분야 전문병원의 병원선택 요인을 확인한 의의가 있다. 셋째, 이 연구는 전문병원 전체 입원환자를 대표하지 못함으로 인해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
이 연구는 기존 연구와는 다르게 여러 지정분야의 전문 병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제한점을 갖고 있다. 첫째, 전문병원과 관련된 병원선택요인 문항을 설계하는데 자료의 한계가 있었다. 지금까지 병원 선택요인 관련 연구는 의료기관 종별간 비교 연구, 특정 질환에 국한된 연구들이 많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일반병원이나 암환자의 병원선택요인을 위한 조사문항들을 주로 참고하여 총 22개의 문항을 포함하였다. 둘째, 일반병원 입원환자를 조사대상에 포함하지 못하여 전문병원의 순추천지수의 수준과 일반병원과 차이가 있는 병원 선택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이 연구는 기존의 특정 지정분야에만 국한되었던 기존 연구들과 달리 6개 지정분야 전문병원의 병원선택 요인을 확인한 의의가 있다. 셋째, 이 연구는 전문병원 전체 입원환자를 대표하지 못함으로 인해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연구대상의 선정에 있어 층화표본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각 전문분야별 의료기관을 선정하고, 의료기관별 입원환자 모집단을 대표하기 위해 해당 병원의 입원환자 모집단의 성별 연령별 구성 비율에 따라 35명씩 비례할당하여 조사를 수행하였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