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습부진 대학생을 위한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Motivation Improvement Program for Underachieved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2, 2018년, pp.87 - 95  

최주영 (전남대학교 교육학과) ,  김경희 (동신대학교 유아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부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동기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학습무동기 감소와 자아존중감향상에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2, 3학년 14명의 학생들을 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으로 배치하여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결과 값을 활용하는 대응표본 t 검증과 실시여부에 따른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변화량에 대한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은 학습부진 대상으로 6회기 운영되었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 점수가 향상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무동기의 점수가 프로그램 실시 이후에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동기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헙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학습무동기 수준이 유의미한 감소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의 시사점을 논의했으며, 후속연구를 위해 제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academic motivation improvement program for underachieved students. Participants in the program consisted of 14 sophomores and senior.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n=7) or the control group(n=7). To analys...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학습부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기존중감, 학습무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프로그램은 총 6회기로 매 회기는 90분으로 구성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학습부진 대학생들의 동기능력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동기강화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학습동기향상 프로그램의 목표는 학습부진 학생들의 심리적 지원 및 학업적 지원을 통한 학습능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바탕으로 구성한 프로그램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첫째, 학습부진에서 벗어나 학업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하기. 둘째, 학습부진에서 벗어나기 위해 학습동기 향상시키기.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좋은 학업 성적 유지가 미치는 영향? 우리나라의 많은 학생들은 대학에 입학하여 학업, 취업, 대인관계, 대학생활 등의 다양한 문제들에 직면하게된다. 대학 생활 중 좋은 학업 성적 유지는 진로선택, 취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들이 대학에 다니는 동안 학업은 매우 중요한 과업이다.
학습부진 학생의 정의? 학습부진 학생에 대한 정의는 분야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지만 일반적으로 ‘교육과정 상에서 학업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자’로 정의된다[3]. 선행연구 연구에서는 학업 저성취와 관련하여 일반적인 성취수준보다 성취수준이 하위 5%-20%에 속하는 학생들을 학습부진 학생으로 정의한다.
대학생의 학습부진이 초래하는 문제? 대학생의 학습부진은 낮은 성적으로 나타나며 반복될 경우 학사경고로 나타날 수 있다. 학사경고의 경험은 개인의 대학생활 적응의 어려움 초래, 잦은 휴학, 학업 포기, 이러한 악순환은 결국 개인의 진로선택의 어려움, 대인관계에서의 자신감 하락, 인생계획의 혼란을 초래하여 학생 개인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6]. 학습부진 대학생의 특징으로는 낮은 전공 만족도, 낮은 학습 동기 수준, 목표 부재, 학습 전략이나 기술 부족, 시간 관리 능력 부족 등의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7-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E. H. Erikson.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Norton, 

  2. J. Y. Lee, B. M. Kim & E. J. Chanmg. (2013). Development of program (Exploring Myself) for unsuccessful college students in academic achievement,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4(1), 359-384. 

  3. D. I. Kim. (1999). Educating children with learning difficulties - the prospective agenda of research and practice for educational psychology. Korea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3(2), 13-32. 

  4. S. W. Kim & H. T. Chae. (2015). Effectiveness of a program for improving learning competency of underachievers at university.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20(3), 25-45. 

  5. M. J. Park & D. W. Choi. (2017). The convergence effect of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freshmen of nursing department on learning motivation, college life ddaptation and self-efficac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4), 339-349. 

  6. K. W. Cho, S. H. Kang, E. K. Lee & N. M. Yang. (2000). A research on students with academic probation and program for academic development, Ewha Womans University Student Counseling Center, 51-97. 

  7. K. H. Lee & K. R. Kang. (2016). Study on the dffects of the learning coaching programs focused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for academic underachievers. The Korean Journal of Thinking Development, 14(2), 1-22. 

  8. S. H. Kang, E. K. Lee & N. M. Yang. (2000). A study about developing the academic support system through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high achievers and underachievers in their academic performance in the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2(2), 221-242. 

  9. J. Y. Park, H. N. Lim & D. R. Kim. (2018). The effects of learning motivation program for freshmen of nursing college : focusing on learning motivation, core competence, time Management, career attitude matur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8), 331-341. 

  10. B. H. Jun, S. H. Kang & S. J. Yune. (2015). Academic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having academic probation experiences and the effect of learning consultation for the development of learning strategie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15(9), 137-160. 

  11. Y. H. Song. (2017). Comparing Levels of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Convergence Competency according to Their Field Experienc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3), 147-152. 

  12. J. H. Lim. (2017). A Convergence Study on the Path Analysis of Motivation towar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0), 323-332. 

  13. S. W. Yoon, & Y. S. Kwon. (2015). Relationship between test anxiety and self-esteem in partial health related department convergenc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5), 91-98. 

  14. H. K. Lee et al. (2017). Converged Factors Affecting Learning Flow in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5), 15-23. 

  15. M. Rosenberg,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6. M. J. Lee. (2009). A comparative study of self-esteem and learned helplessness of the academic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17. O. O. Oh. (2002). Factors influencing self-directedness in learning of u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5), 684-845. 

  18. S. H. Lee. (2006). Effects of learning motive enhancing program on academic self efficacy, learning habits, and self-esteem in underachieve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2(1), 5-12. 

  19. S. S. Nam. (2003). Effects of a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on the self-esteem and sociality of low achieving student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 C. P. Smith & M. T. Winterbottom. (1970).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1. Journal of Personality, 38(3), 379-391. 

  21. A. Y. Kim. (2010). Acadamic Motiv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Seoul: Hakjisa. 

  22. J. H. Lim. (2017). A Convergence study on the path analysis of motivation towar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0), 323-332. 

  23. L. Legault, D. I. Green, L, Pelletier. (2006) Why do highschool students lack motivation in classroom? Toward understanding of academic motivation and the role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8(3), 567-582. 

  24. J. H. Bae. (2008).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hool learning history, and motivational variables on learned helplessnes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5. T. E. Kim & Y. B. Kim. (2013). The effect of a motivation program for low academic achievers in the elementary schools.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9(4), 93-113. 

  26. C. A. Wolters. (1999). The relation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motivational regulation and their ues of learning strategies, effort, and classroom performance.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3(3), 281-299. 

  27. N. Purdie, J. Hattie & G. Douglas. (1996). Student conceptions of learning and their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8, 87-100. 

  28. E. M. JO & J. E. Lee. (2012). Development and dffectiveness of motivation regulation program for amotivated middle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9(1), 85-110. 

  29. Y. J. HA. (2006). (The)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focusing on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and 30s, Yonsei University of Education, 

  30. E. L. Deci & R. M. Ryan. (2002).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University Rochester Press. 

  31. L. Legault, I. Green-Demers & L. Pelletier. (2006). Why do high school students lack motivation in the classroom?: Toward an understanding of academic motivation and the role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8(3), 567-582. 

  32. E. M. Jo. (2012).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Motivation Regulation Program for Amotived Middle School Student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