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감성지능 조절효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Job Stress of Long Term Care Hospital Nurses on Turnover Intention focused on control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2, 2018년, pp.449 - 457  

강영실 (이화수로요양병원) ,  권영채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  김윤아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의 관계에 감성지능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요양병원 간호사 240명을 대상으로 2018년 2월 1일부터 28일까지 이루어졌다. 자료분석방법은 IBM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과 조절효과는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직의도는 의사소통능력과 직무스트레스에 따라 높게 나타났다. 이직의도는 직무스트레스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급여만족도, 직무스트레스, 연령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요양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임상특성을 반영한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job stress of nurses working in long term care hospitals on turnover intention and to verify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control on the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y,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he subject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효과를 확인하여 요양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가 지각하는 이직의도, 의사소통능력 및 직무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살펴봄으로써, 간호사의 이직을 최소화하여 업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간호 관리자로 하여금 효율적으로 인력자원을 관리하게 하는 대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의 실무적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K대학교의 IRB(기관생명윤리위원회) 승인(Kaya-209)을 받아 B시와 G시의 13개 용양병원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G-Power 3.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가 의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검증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 감성지능,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요양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다. 또한, 의사소통능력과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규명하여 요양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 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성지능이란 무엇인가? 감성지능이란 다양한 환경에서 자신과 타인의 감성을 잘 이해하고, 그 감성을 잘 조절하여, 감성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10]. 감성지능은 갈등을 최소화하여 긍정적인 역할을 하며[11], 간호 상황에서 감성지능이 높은 간호사는 긍정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로 갈등을 해소 할 수 있다[11,12].
간호사의 이직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그러나 요양병원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간호사 인력은 부족한 형편으로[4], 과중한 업무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들은 환자에 대한 무관심이나 직무에 대한 만족감 저하로 간호의 질을 떨어뜨리고 이직의 악순환이 반복되는 결과를 초래한다[5,6]. 간호사의 이직요인은 직무스트레스, 직업전문성, 근무환경 인식정도, 근무형태, 급여로 나타났다 [3,6-8]. 이와같이 일반병원에서의 이직의도와 요양병원에서의 이직의도 차이는 요양병원에서의 간호사는 일반병원의 간호서비스와 함께 식사보조, 위관영양식이, 기도흡인, 기저귀교환, 침상목욕, 체위변경등의 전문적 간호제공으로 이직의도가 더 높다.
간호조무사보다 간호사 인력 확보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와같이 일반병원에서의 이직의도와 요양병원에서의 이직의도 차이는 요양병원에서의 간호사는 일반병원의 간호서비스와 함께 식사보조, 위관영양식이, 기도흡인, 기저귀교환, 침상목욕, 체위변경등의 전문적 간호제공으로 이직의도가 더 높다. 특히, 간호조무사보다 간호사 확보 수준이 높을수록 노인환자의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욕창발생이나 악화가 감소한다는 연구결과[9]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인력 확보 및 관리는 질 높은 간호제공에 필수적이므로 요양병원 간호사의 이직예방을 위한 조직적 노력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tatistics Korea, 2017 http://kostat.go.kr/potal/korea/kor-nw/2/1/index.board?b moderead&bSeq348565&Tsargettitle&sTxt 

  2. http;//www.hira.or.kr/re/cvapl/infoopen/request/conclusi onView.dopgrnidHIRAA070 

  3. H. Y. Jung & G. L. Jung. (2015). Influential factors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9(3), 99-106. DOI: 2015.9.3.095. 

  4. S. Y. Yoon, Y. S. Seo & Y. C. Kwon. (2015). Factors influencing the turnover intention in long-term care hospital care workers,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3(1), 321-329. DOI: 1788-1913. 2015.01.20. 

  5. H. J. Heo & Y. C. Kwon. (2015). A study of convergenc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turnover intention and retirement, plans of hospital nurses, 16(6),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3(1), 337-344. DOI: 1788-1916. 2015.08.20. 

  6. H. J. Kim, H. R. Lee & S. O. Choi. (2013). Resilience to burnout, self-esteem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5(3), 218-226. 

  7. J. K Kim & M. J. Kim. (2011). Study on the flexible workplace, job satisfaction, intention to change job for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4), 538-550. 

  8. Y. H. Yang & J. K. Kim. (2016).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nurssing administration, 22(5), 562-569. DOI: 2016.22.5.562. 

  9. Y. M. Yoon, J. Y. Lee & H. C. Kang. (2014). Impact of Nurse, Nurses' Aid Staffing and Turnover Rate on Inpatient Health Outcom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1), 21-30. DOI: 2093-758X. 

  10. J. I. Kim. (2018).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5), 253-262. DOI: 2018.19.5.253. 

  11. C. S. Wong & K. S. Law. (2002).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 and attitude :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 243-274. DOI: S1048-9843(02)00099-1. 

  12. S. J. Han. (2011). Influence of Clinical Nurses'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ir Career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 Moderating Role of Career Commitment,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11(7), 418-425. 

  13. H. R. Ko & J. H. Kim. (2014). The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3), 413-423. DOI: 2104.20.3.413. 

  14. S. J. Lee & H. J. Woo. (2015).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Job Embeddedness,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1(1), 32-42. DOI: 2015.21.1.32. 

  15. H. S. Lee & J. W. OOK. (2012). Impact of Resourcefulness and Communication Style on Nursing Performance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2), 253-260. 

  16. K. H. Kang, Y. H. Han & S. J. Kang. (2012).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891), 13-22. 

  17. J. W. Kim, K. H. Kim & H. K. Jung. (2017),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Barriers on Nursing Performance of Intensive Care Units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12(1), 45-56. DOI: 2017.02.12.1.45. 

  18. A. K. Lee, J. Y. Y & S. W. Jung. (2013). Relations on Communication Competence, Job-stress and Job-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12), 299-308. DOI: 2013.13.12.299. 

  19. H. S. Lee & J. K. Kim. (2010).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Typ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4), 488-496. 

  20. Y. M. Kim & Y. S. Kang. (2015). Effects of Self-efficacy, Career Plateau, Job Embedded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1(5), 530-541. DOI: 2015.21.5.530. 

  21. Y. O. Park, K. J. Lee & U. H. Jo. (2009).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1(1), 81-89. DOI: 1229-5299. 

  22. Y. H. Kim, J, H, Choi & K. U. Kim. (2009). The Impact of Job Overload, Relationship with Senior on Nurses' Intention to Quit Their Jobs -Mediating Role of Emotional Exhaust,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3), 372-381. DOI:1225-9330. 

  23. K. S. Yoon & S. Y. Kim. (2010). Influences of Job Stress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6(4), 507-516. 

  24. W. H. Mobley. (1982). Employee turnover. Reading: Addison - Wesley. 

  25. M. R. Kim. (2007). Influential Factors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The Affect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to Turnover Intention,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3), 335-344. 

  26. H. W. Jung. (2007).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27. R. B. Rubin. (1990). Communication competence. In G. M. Phillips & J. T. Wood(Eds), Speech communication: Essays to communication the 75t anniversary of the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94-129, Carbonda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8. K. H. Heo. (2003). Communication competence. In G. M. Phillips & J. T. Wood(Eds), Speech communication: Essays to communication the 75t anniversary of the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94-129, Carbonda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9. M. J. Kim & M. O. Gu. (1984). The Development of the Stresses Measurement Tool for Staff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4(2), 28-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