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산 활동 모형 만들기' 실험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n the Experiment of Making a Model of Volcanic Activity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9 no.6, 2018년, pp.617 - 629  

이규호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화산 활동 모형 만들기 실험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화산 활동 모형 만들기' 실험으로 실제 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30명의 초등 교사들에게 설문을 통해 교사들이 생각하는 학교 과학 탐구의 목표를 바탕으로 해당 실험에 가진 장점과 개선점을 알아보았다. 결과에 의하면, 교사의 50-60%가 경력이나 근무 지역에 관계없이 교과서 화산 모형 만들기 실험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교사들이 언급한 현재 교과서 화산 모형 만들기 실험의 장점은 안전하고 학생들의 창의성에 개발에 유용하다는 것이었다. 반면, 교사들은 현재 교과서 화산 모형 만들기 실험의 문제점으로 현재 교과서 화산 모형 만들기 실험은 이 수업이 추구해야 하는 본질과 괴리가 있으며 실제 화산 활동 모습과도 다르고 단순한 만들기 활동에 한정되고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탐구의 특성에 근거해서 분석해 본 교사가 생각하는 학교 과학 탐구의 주요 목표는 과학적 지식 적용, 탐구 능력 개발 및 학생 호기심 함양이었다. 이러한 목표에 비추어 볼 때 현재의 교과서 화산 모형 만들기 실험은 세 가지 모두를 충족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교사들은 모형 실험은 실제성을 충족해야만 한다고 강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bout making a model of volcanic activity. Thirty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fter they in which they conducted the experiment of "Making a Model of Volcanic activity". A questionnaire was used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대체 실험들도 여러 개선점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하였는데 대체 실험들도 폭발 현상을 보여줄 수 없다거나 마그마의 이동을 보여줄 수 없으며 실제 화산 활동과 괴리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화산 폭발과 관련된 이론 부분과 관련하여 학생들이 한 질문에 답하기가 매우 어려웠으며 해당 활동으로 학생들이 화산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는지에 대한 의구심 또한 제기하였다. 그리고 한 교사의 경우 해당 실험으로 인해 학생들에게 화산에 대한 오개념이 심어지지 않을까 걱정의 말을 남겨 놓기도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직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지구과학의 탐구 대상의 특징을 잘 가지고 있는 ‘화산’이라는 주제와 이러한 탐구 대상을 학교 현장에서 다루는 방식인 ‘모형’이라는 방법이 함께 녹아 있는 ‘화산 활동 모형 만들기’라는 실험이 어떻게 학교 현장에서 수행되고 있는지 현황과 함께 현재 실험의 장점과 개선점을 알아보고 향후 관련 탐구활동 개발의 기초를 마련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교육과정이 제시하는 과학 교육의 목표는? 과학 교육의 목표에 대해 현재의 교육과정은 “자연 현상과 사물에 대하여 호기심과 흥미를 가지고, 과학의 핵심 개념에 대한 이해와 탐구 능력의 함양을 통하여,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과학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과학적 소양을 기른다.”고 명시하고 있다(Minister of Education, 2015).
탐구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어떠한가 하는 연구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이유는? 교사들은 과학 탐구를 통해서 탐구 기능뿐만 아니라 과학적 태도와 성취도에서도 향상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Mao and Chang, 1998). 이러한 과학 탐구가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제대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기 때문에 탐구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어떠한가 하는 연구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져왔다(Park et al., 2004; Park and Kim, 2007; Kang et al.
초등 교사들이 생각하는 학교 과학실험의 목표는? , 2011). 특히 초등학교에서는 실험 경험을 통해 동기 유발, 호기심, 민감성을 발달시키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Lee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n, Y-L. and Kim, H-J., 2011. Recogni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on the Basis of the Atomic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4), 539-556. (in Korean) 

  2. Ban, M., 2009, Preconceptions and Miscon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Volcanoes Shown in Science Writing. Unpublished M. 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50 p. (in Korean) 

  3. Cho, H.S. and Nam, J., 2017. Analysis of Trends of Model and Modeling-Related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4), 539-552. (in Korean) 

  4. Cho, S. and Baek, J., 2015, A Case Study on the Inquiry Guidance Experience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solving the Dilemmas between Cognition and Practice of Inquir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4), 573-584. (in Korean) 

  5. Choi, Y-Y., 2016, Development of a Digital Textbook on 'Volcanoes and Earthquakes' for 4th Grade Students. Unpublished M. 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59 p. (in Korean) 

  6. Gilbert, J., Boulter, C., and Rutherford, M., 1998, Models in Explanations, Part 1; Horses for Cours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1), 83-97. 

  7. Gobert, D.J., 2000, A typology of causal models for plate tectonics: Inferential power and barriers to understand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9), 937-977. 

  8. Grosslight, L., Unger, C., Jay, E. & Smith, C. L., 1991. Understanding models and their use in science: Conception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exper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9), 799-822. 

  9. Jung, J-G., Sung, S-H., Wee, S-M. and Jeong, J-W., 2003, The Effects of Utilizing Concept Map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Volcano in th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4(7), 614-624. (in Korean) 

  10. Kang, N-H., 2017. Korean Teachers' Conceptions of Models and Modeling in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1), 143-154. (in Korean) 

  11. Kang, N-H, Orgill, M., and Crippen, K., 2008, Understanding Teachers' Conceptions of Classroom Inquiry with a Teaching Scenario Survey Instrument.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9(4), 1573-1847. 

  12. Kang, Y.H., 2013, Qualitative Research on the Cause of Volcanoes and Earthquakes for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Unpublished M. 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78 p. (in Korean) 

  13. Kim, C-J., 2002, Inference Frequently used in Earth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3, 183-193. 

  14. Kim, H-B., Jeong, J-W. and Ryu, C-R., 2011,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Volcanoe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7), 871-880. (in Korean) 

  15. Kim, H.J., 2005, The Effects of Instruction Using Volcanic Activity Films to the Scientific Conceptual Change. Unpublished M. 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73 p. (in Korean) 

  16. Kim, M.Y. and Kim, H.B., 2007. A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Conceptual Change for Blood Circulation in Model-based Instruction. BIOLOGY EDUCATION, 35(3), 407-424. (in Korean) 

  17. Kim, M.Y. and Kim, H.B., 2009. Analysis of the Types of Scientific Models in the Life Domain of Science Textbook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4), 423-436. (in Korean) 

  18. Lee, G. and Kwon, B-D., 2010, Reasoning-Based Inquiry Model Embedded in Earth Science Phenomen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1(2), 185-202. (in Korean) 

  19. Lee, M.K., Sim, J., Kim, D.Y., Ku, J.O., Kim, H.J., Choi, B.S., Kim, J.U., Min, K.N., Bea, Y.H., and Kim, Y.G., 2013, A Study on Developing in Core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of Science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CRC 2013-9, 249 p. (in Korean) 

  20. Lee, N.Y., 2007, The Effect of Internet Use as Science Teaching Assistance Materials on "Volcanoes and Rocks" in Elementary School. Unpublished M. 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114 p. (in Korean) 

  21. Lee, S-K., Lee, G-H. and Shin, M-K., 2011, Exploring Elementary Teachers' Epistemological Understandings of School Science Lab Practice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8(2), 21-49. (in Korean) 

  22. Lim, S-M., 2015, An Analysis of Concepts and Inquiry Activities Related to the 'Earth Science' Area in the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o the Current and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uture Textbook.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4(3), 288-296. (in Korean) 

  23. Lim, S-M. and Kim, S., 2017, Development and Effects Analysis of a Elementary School Scientific Inquiry Learning Module in a View of ESD: Focusing on 'Volcano and Earthquake' Uni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4), 603-613. (in Korean) 

  24. Mao, S., and Chang, C., 1998, Impacts of an Inquiry Teaching Method on Earth Science Students' Learning Outcomes and Attitudes at the Secondary School Level. Proceedings of the National Science Council Part D: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8(3), 93-101. 

  25. Minister of Education, 1983, Nature 6-1. National Textbook Corporation. 128 p. 

  26. Minister of Education, 1990, Nature 6-1. National Textbook Corporation. 128 p. 

  27. Minister of Education, 1997, Nature 6-1. National Textbook Corporation. 128 p. 

  28. Minister of Education, 2014, Science 4-1. Mirae N Corporation. 156 p. 

  29. Minister of Education, 2015, 2015 Revised Curriculum Science. Seoul: Ministry of Education. 278 p. 

  30.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2, Science 5-2. Korea Textbook Corporation. 88 p. 

  3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Science 4-2. Kumsung Publishing Corporation. 16 p. 

  32. Oh, P.S., 2009.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n Models Used in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8(4), 450-466. (in Korean) 

  33. Oh, P.S., Jon, W.S. and Yoo, J.M., 2007, Analysis of Scientific Models in the Earth Domain of the 10th Grade Science Textbook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1(2), 185-202. (in Korean) 

  34. Park, G-N. and Kim, Y., 2007, Analysis of Difference between Preferences and Practice about Science Teachers' Inquiry Based Instructio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1), 1-10. (in Korean) 

  35. Park, J.H., Kim, J.Y. and Park, Y.R., 2004,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Inquiry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8), 731-738. (in Korean) 

  36. Park, K-K., 2011, Effects of Lessons with the Explanatory Diagram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 Unpublished M. 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68 p. (in Korean) 

  37. Park, Y-S., 2010,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Views of Scientific Inquiry: With the View of Hands-on, Mindson, and Hearts-o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1(7), 789-812. 

  38. Yoon, H-G, Kang, N-H, and Kim, M., 2011,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Science Inquiry Teaching: Cases of South Korea, Singapore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4), 574-588. (in Korea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