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타인지 교수학습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협력적 성향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eta-cognition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for Self-Leadership, Collaborative Preferenc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12, 2018년, pp.383 - 392  

서영숙 (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정추영 (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메타인지 교수학습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협력적 성향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3월 5일에서 5월 30일까지이다. 연구대상자는 D시 소재의 D대학 간호학과 2학년 재학생이며, 연구 참여를 희망하고 동의한 실험군 36명과 대조군 38명으로 총 74명이다. 메타인지 교수학습프로그램은 메타인지 하위전략을 활용하여 총 10회기로 구성되어 개별 및 소집단 학습법이 병행되어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chi}^2$ test와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메타인지 교수학습프로그램 적용 전후 두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셀프리더십(t=4.79,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협력적 성향(t=5.07, p<.001)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문제해결능력(t=6.48, p<.001)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적용한 메타인지 교수학습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협력적 성향 및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과 협력적 성향을 증진하고 문제해결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meta-cognition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on nursing students' self-leadership, collaborative preferenc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e study was design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Data were collected betwee...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협력적 성향 및 문제해결능력 정도를 파악하고, 메타인지 교수학 습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간호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 협력적 성향 및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는지를 사전 사후로 비교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메타인지 교수학습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질적인 간호교육 및 학습법을 제공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메타인지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셀프리더십, 협력적 성향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와 관련된 셀프리더십, 집단 내에 서의 협력적 성향 및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효과로 입증되었기에, 이를 기초로 메타인지 교수학습프로그램을 적용해 볼 것을 제언한다.
  • 본 연구는 메타인지 교수학습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협력적 성향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메타인지 교수학습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협력적 성향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메타인지 교수학습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현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각 대학은 교수학습지원센터 등의 부서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지만 대학생의 학습전략을 강조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수준을 파악하고 메타인지 하위학습전략을 포함한 학습과정을 통해 셀프리더십, 협력적 성향 및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메타인지 교수학습프로그램으로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 따라서 이러한 과정을 교육하고 훈련하는 것은 간호사의 핵심역량강화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에 그룹 기반의 메타인지 전략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그룹학습을 통한 협력적 성향의 향상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메타인지 교수학습법의 그룹기반 적용을 통한 협력적 성향에 대한 효과 검증은 의미를 가진다 할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협력적 성향 및 문제해결능력 정도를 파악하고, 메타인지 교수학 습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간호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 협력적 성향 및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는지를 사전 사후로 비교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메타인지 교수학습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질적인 간호교육 및 학습법을 제공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타 인지란 무엇인가? 이러한 실무능력의 핵심역량은 문제해결능력으로 메타인지(meta-cognition)는 관심을 모으고 있다[3]. 메타 인지는 자신의 사고과정을 알고 조절하며, 이전에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과제 해결을 위해 어떻게 적용시킬 것인지를 아는 사고능력이다[4]. 메타인지는 교육과 훈련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3], 학습자의 능동적이고 성공적인 학습을 위해 매우 필요하다.
메타 인지가 높은 사람은 무엇을 조정할 수 있는가? 메타인지는 학습과 문제해결의 중요한 변수로, 메타 인지가 높은 사람은 자신의 인지과정에 대하여 알게 되고 동시에 문제 해결과정을 모니터하며 조정할 수 있다 [11]. 특히 자기주도성, 학습몰입 및 문제해결력 등은 메타인지가 이들 변수들을 상당부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1,12].
간호교육의 목표로 간호학과 졸업생들이 전문직 간호사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간호핵심역량을 갖도록 하는데 초점을 두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의 과학기술 발전과 지식·정보의 급속한 변화는 보건의료 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생활 수준의 향상과 함께 의료서비스에 대한 기대가 높아짐에 따라 간호사의 근무환경과 업무는 복잡해지고 다양화되고 있다. 특히 보건의료 현장은 다양한 문제가 예측하기 어려운 형태로 동시에 또는 산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분야로 실무능력은 매우 중요하다[1]. 이에 간호교육의 목표는 간호학과 졸업생들이 전문직 간호사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간호핵심역량을 갖도록 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E. J. Choi, J. J. Sun, O. H. Kim, "Educational needs of program outcomes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6, no. 5, pp. 2819-2839. 2014. 

  2. Y. S. Lee, S. H. Park, "Nursing students self-leadership,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 college life satisfaction,"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14, no. 6, pp. 229-240, 2014. DOI:http://dx.doi.org/10.5392/JKCA.2014.14.06.229 

  3. M. J. Choi, D. Y. Jeong, "A study on the effect of metacognition to the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 47, no. 2, pp.. 75-101, 2013. 

  4. M. J. Choi, "A study of effect of cognitive style and metacognition to the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Ewha Womans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2012. 

  5. C. C. Manz, H. P. Sims, "Super-leadership: beyond the myth of heroic leadership", Organizational Dynamics, vol. 19, no. 4, pp. 18-35, 1991. DOI: http://dx.doi.org/10.1016/0090-2616(91)90051-A 

  6. J. Y. Kim, J. Y. Hong, "Self-leadership,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3, no. 2, pp.184-190, 2007. 

  7. N. Y. Yang, S. Y. Moon, "Relationship of self-leadership, stress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7, no. 2, pp. 216-225, 2011.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2.216 

  8. Y. H. Han, Y. L .Park,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job involvement on clinical competence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9, no. 4, pp. 462-469, 2013.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4.462 

  9. K. S. Jang, N. Y. Kim, S. A. Ryu, Y. M. Kim, K. H. Chung, "Effects of collaborative learning on problem-solving processes according to the level of meta-cognition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management",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13, no. 2, pp. 191-198. 2007. 

  10. M. H. Kang, M. J. Kim, H. J. Kim, S. Y. Um, H. Y. Jung,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among students' collaboration preference, self-efficacy, interaction and achievement in the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48 No. 1, pp. 157-180, 2010. 

  11. Y. J. Oh, H. Y. Kang, "Metacognition, learning flow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imulation learn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 Nursing, vol. 20, no. 3, pp. 239-247, 2013. DOI: http://dx.doi.org/10.7739/jkafn.2013.20.3.239 

  12. S. Poorman, M.. Mastorovich, "Using metacognitive strategies to help students learn in pretest and posttest review", Nurse Educator, vol. 33, no. 4, pp. 176-180, 2008. 

  13. M. Norris, P. Gimber, "Developing nursing students' metacognitive skills using social technology", Teaching and Learning in Nursing, vol. 8, pp. 17-21, 2013. 

  14. S. O. Lee, M. H. Suh, "A study on interaction pattern, learning attitude, task performance by meta-cognitive level in web-based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8, no. 2, pp. 323-331, 2012.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2.323 

  15. M. J. Kang, M.. H. Piao, C. S. Park, "The effects of students' interaction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er satisfaction in PBL class-A social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6, no. 5, pp. 2807-2818, 2014. 

  16. M. Y. Jho, M. O. Chae, "Impa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metacognition on clinical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0, no. 4, pp. 513-522, 2014. DOI:http://dx.doi.org/10.5977/jkasne.2014.20.4.513 

  17. Y. Othman, Z. Mahamud, N. Jaidi, "The effect of metacognitive strategy in reading expository text", International Education Studies, vol. 7, no. 13, pp. 102-111, 2014. DOI: http://dx.doi.org/10.5539/ies.v7n13p102 

  18. T. H. Noh, S. H. Jang, H. J. Lim, "The instructional influences of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ie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ours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ol. 18 no. 2, pp. 173-182, 1998. 

  19. C. Weinstein, R. Mayer, "The teaching of learning strategies", In Wittrock, M.,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Macmillan, New York, pp. 315-327, 1986. 

  20. B. J. Zimmerman, M. Martinez-Pons,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 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82, pp. 51-59, 1990. 

  21. G. Schraw, R. S. Dennison, "Assessing metacognitive awarenes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vol. 19, pp. 460-475, 1994. 

  22. J. Shin, H. Choi, "Comparisons of metacognition tests in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Self-report versus task-performance tes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19, no. 3, pp. 615-631, 2005. 

  23. C. C. Manz, "The art of self-leadership: strategies for personal effectiveness in your life and work", pp. 50-73, New Jersey: Prentice Hall Inc. 1993. 

  24. K. H. Kim, E. S. Kim, "The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self-leadership, self-esteem o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stress coping",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4, no. 3, pp. 1519-1533, 2012. 

  25. D. W. Johnson, F. P. Johnson, "Joining together: Group theory and group skills". Cengege Learning, 2003. 

  26. S. J. Yoon, "The effect of shared-leadership and questioning scaffolding o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n CSC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45, no. 4, pp. 155-144, 2007. 

  27. J. S. Lee, "The effects of process behaviors on problem solving performance of various test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1978. 

  28. J. H. Park, A. H. Woo,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process according to learner 's metacognitive level"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15, no. 3, pp. 55-81, 1999. 

  29. J. J. Yang, "Effects of problem based learn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12, no. 2, pp. 287-294, 2006. 

  30. Y. J. Oh, H. Y. Kang, "Metacognition, learning flow and problems solving ability in nursing simulation learn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 Nursing, vol. 20, no. 3, pp. 239-247, 2013. DOI: http://dx.doi.org/10.7739/jkafn.2013.20.3.239 

  31. H. J. Wang, S. A. Jung, H. E. Park, H. S. Yoo, Y. H. Bae, J. Y. Kim, "The metacognition,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 among nursing students",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9, pp. 619-627,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9.619 

  32. H. J. Kim, M. S. Yeom, "The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 and debate class on undergraduates' self-leadership and self-regulated learning",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 8, no. 4, pp. 513-540, 2014. 

  33. S. Y. Kim, "The influence and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n social capital building in learning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vol. 23, no. 4, pp. 919-944, 2017. DOI: http://dx.doi.org/10.15833/KAFEIAM.23.4.919 

  34. J. H. Kim, "Developing collaborative personality through discussion and debate using platform evalu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2018. 

  35. S. H. Kim, "The effects of task type and collaboration type on learners' shared-knowledge and collaborative preference in Wiki-based collaborative learning",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ster's Thesis, 2014. 

  36. D. H. Kim, "Meta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mong nursing students in Korea", Global Health & Nursing, vol. 4, no. 1, pp. 42-48, 2014. 

  37. M. H. Chae, "A study on activating the metacognitive ability for improvement of problem solving ability: cooperative learning in small group", Sook-Myung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2006. 

  38. K. Kim, D. S. Kim, "The effects of the level of background knowledge and the metacognition supporting tool(MST) on the learning activities and outcomes in Web problem based learn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 5, no. 2, pp. 29-37,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