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처치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mergency Treatment Education Program for Self-leadership,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and Nursing Performance Ability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12, 2018년, pp.636 - 644  

도은수 (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김순구 (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응급처치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자기효능감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6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였다. 연구대상자는 D시 D대학 간호학과 학생 중 연구참여를 희망하고 동의한 실험군 27명과 대조군 25명으로 총 52명이었다. 대조군은 2017년 6월 1일 사전 설문조사 후 어떠한 처치도 없이 2주 후 사후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실험군은 7월 25일 실험처치인 응급처치 교육 프로그램 시행 전에 사전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중재 후 8월 31일까지 사후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실험군에게 제공된 응급처치 교육프로그램은 성인심폐소생술과 기도폐쇄, 화상, 출혈 및 골절에 대한 응급처치 교육내용 2시간 수강, 자율적인 동영상 시청, 강사로서 4시간 동안 초등학생 응급처치 교육수행 등으로 진행되었다. 자료분석방법은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x^2$ test 및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응급처치 교육프로그램 적용 전후 두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셀프리더십(t=2.08, p<.05), 진로결정자기효능감((t=4.22, p<.05), 및 수행능력(t=5.02, p<.05)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본 연구에서 적용한 응급처치 교육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수행능력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emergency treatment education program on nursing students' self-leadership,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nursing performance ability. The study was design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data were c...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수행능력을 파악하고 응급처치 교육프로그램이 그들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수행능력을 증진시키는지 사전 사후로 비교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응급처치 교육프로그램의 적용범위를 확대하고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자기 효능감을 향상시켜 임상수행능력을 증진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방법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응급처치 교육프로그램이 셀프리더십, 진로결정자기 효능감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응급처치 교육프로그램 효과로 검증되었기에, 이를 기초로 다양한 상황에 적합한 간호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응급처치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해 볼 것을 제언한다.
  • 본 연구는 응급처치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자기 효능감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응급처치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자기 효능감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여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응급처치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수행능력을 파악하고 응급처치 교육프로그램이 그들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수행능력을 증진시키는지 사전 사후로 비교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응급처치 교육프로그램의 적용범위를 확대하고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자기 효능감을 향상시켜 임상수행능력을 증진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방법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실 이용자 수 중 사망자 수의 경향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의 우리나라 응급의료 통계자료에 의하면, 전국적으로 응급실 이용자 수는 연도별로 각각 1,019만 명, 1,042만 명, 1,034만 명이었고 그중 사망자는 각각 2만 7천여 명에서 2만 9천여 명으로[1],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경향이었다. 의료인, 경찰 공무원, 보건교사, 다중이용시설 근무자, 소방안전관리자, 일반인 등을 대상으로 시행한 구조 및 응급처치 교육의 시행으로 이들의 응급실 도착 전 사망자는 3만 7천여 명에서 3만여 명으로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2], 교육의 효과로 짐작하며 지속적인 교육이 계속 진행되어 사망자 수를 더 감소시켜야 한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응급실 이용자 수는? 2013년부터 2015년까지의 우리나라 응급의료 통계자료에 의하면, 전국적으로 응급실 이용자 수는 연도별로 각각 1,019만 명, 1,042만 명, 1,034만 명이었고 그중 사망자는 각각 2만 7천여 명에서 2만 9천여 명으로[1],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경향이었다. 의료인, 경찰 공무원, 보건교사, 다중이용시설 근무자, 소방안전관리자, 일반인 등을 대상으로 시행한 구조 및 응급처치 교육의 시행으로 이들의 응급실 도착 전 사망자는 3만 7천여 명에서 3만여 명으로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2], 교육의 효과로 짐작하며 지속적인 교육이 계속 진행되어 사망자 수를 더 감소시켜야 한다.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사고의 비율이 증가하고 아동과 부모연령 집단에서 응급사고의 발생률이 높다는 근거는? 2015년 한 해 동안 응급실을 이용한 대상자는 1~9세가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이 50~59세, 40~49세 순이었으며[1], 2014년 만 12세 이하 아동의 안전사고 유형은할퀴거나 긁힌 사고(56.8%), 찔리거나 베임 사고(38.9%), 삐임 및 접질림 사고(34%), 화상(20.3%), 골절(19.9%), 질식(2.7%) 등으로 나타났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