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활용도 및 요구도 조사
Survey on utilization and demand for national food composition database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1 no.2, 2018년, pp.186 - 198  

이현숙 (동서대학교 에너지생명공학부 식품영양전공) ,  장문정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혜영 (용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심지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이정숙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기남 (대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영양사와 영양교사, 식품업계 종사자, 식품영양학과 교수와 연구자 등 총 349명의 식품영양전문가들의 국가식품영양성분 DB에 대한 활용 현황과 요구도를 조사하고, DB 구축 및 갱신 시에 보완과 추가가 필요한 영양소를 선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식품영양성분 DB 구축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모든 식품영양성분 DB들에 대한 영양전문가들의 사용 경험 즉, 활용도는 약 73.6%로 높았고, 특히 식품영양 연구자군이 97.8%로 가장 높았다. 2. 식품영양성분 DB를 활용한 프로그램의 사용경험은 90.5%로 식품영양성분 DB 자체를 사용한 경험보다 더 높게 나타나, DB 자체 보다는 DB를 활용하여 개발한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의존도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3. 식품영양성분 DB의 각 영양성분별 활용도를 조사한 결과, 활용도가 높은 영양소는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이었고, 비타민 중에서는 비타민 C, 비타민 A, 비타민 D가, 무기질 중에서는 나트륨과 칼슘의 활용도가 높았다. 반면, 개별 아미노산과 개별 지방산, 토코트리에놀, 망간, 황, 불소 및 크롬의 활용도는 낮았다. 4. 조사대상자의 직종별로 영양성분 활용도를 비교한 결과 식품영양 연구자군은 모든 영양성분에 있어 전반적으로 활용도가 높았고, 특히 식이섬유와 비타민 A, 엽산, 비타민 C, n-3 지방산, 콜레스테롤, 레티놀, 베타카로틴, 비타민 E와 토코페롤, 비타민 $B_2$, 니아신과 비타민 $B_6$의 활용도가 다른 직종에 비해 높았다. 5. 피토케미컬 DB를 활용한 경험은 전체 대상자 중 17.4%이었고, 식품영양 연구자군이 33%, 식품산업체 종사자군이 18.8%, 영양사 및 영양교사가 14.5%의 활용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토케미컬 중에서 카로티노이드류, 안토시아닌류, 이소플라본류의 순으로 DB 활용도가 높았다. 6. 식품영양성분 DB의 영양소별 중요도는 활용도 조사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고, 모든 영양성분별 중요도 점수가 5점 만점에 3점을 상회하여 대체로 보통이상의 중요도를 가진 것으로 평가하였다. 7. 앞으로 식품영양성분 DB에 보완 또는 추가되기를 희망하는 영양성분은 당류와 비타민 D, 엽산, 셀레늄, 요오드, 식이섬유, 비타민 $B_{12}$, 카로티노이드류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각 정부 부처의 노력으로 구축된 한국의 식품영양성분 DB는 여러 가지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는데, 급변하는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영양정보를 얻기 위해 보다 완성도 높고 다양한 영양소가 보완된 국가식품영양성분 DB 구축에 대한 요구가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앞으로 다양한 분야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요구도 조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이를 DB 개선에 반영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utilization of a current national Food Composition Database (FCDB) and to investigate demand for nutrients that should be added or supplemented in order to expand the national FCDB. Methods: Survey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utilization of FCDB,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학계와 산업계 등 식품영양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식품영양 DB들의 사용경험과 목적, 기 구축된 식품영양 DB에 포함된 영양소에 대한 활용도와 중요도, 그리고 앞으로 우선적으로 추가 또는 보완되어야 할 영양소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여 국가식품영양 DB 보완 및 확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 현재 국내에서 구축되어 사용되고 있는 식품영양성분 DB 및 이러한 DB를 활용한 프로그램의 사용 경험을 조사하였다. 농촌진흥청의 농식품종합정보시스템 DB, 아미노산 분석표, 무기질/지방 성분표, 가공식품 영양성분 DB, 소비자가 알기 쉬운 식품영양가표, 우리아이 영양길잡이, 실물로 보는 실버세대 영양길잡이, 건강한 상차림 길잡이, 기능성식품성분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FANTASY DB와 외식/명절제사 음식 영양성분 자료집, 질병관리본부의 레시피 DB와 지방산 DB, 그리고 한국영양학회의 CAN-ProDB를 예시로 제시하였고, 이 중 하나라도 사용한 경험이 있는 경우를 DB 사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는 무엇인가? 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DB)는 영양소 섭취량 추정의 근간이 되는 자료로서 국민의 식생활을 파악하고 영양 요인 노출량을 측정하는 영양역학 분야의 중요한 요소이며, 식품품질평가나 국가식품수급 계획 등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데도 활용된다.1 식품영양성분 DB는 식품 및 영양성분 표시, 식품 개발, 식생활과 관련된 질병 연구,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소비자 교육, 단체급식관리 및 임상영양관리의 식단 작성 등 식품영양 분야에서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보건의료계열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우선순위에 기반 한 DB의 확충은 무슨 효과가 있는가? 우선순위에 기반 한 DB의 확충 및 보완은 DB의 유지 및 관리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식 환경이 서로 상이하므로 외국의 주요 식품과 영양소 DB를 우리나라에 바로 적용할 수 없다.
식품영양성분 DB의 중요성을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본 연구 결과 영양사, 영양학자, 식품업계 종사자 등 영양전문가들의 식품영양성분 DB 활용도는 73.6%로 매우 높은 수준이며 특히 식품영양 연구자군의 97.8%는 식품영양성분 DB를 활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이는 식품영양성분 DB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각 직업군별로 그 이용 목적은 달랐지만 식품영양성분 DB를 연구, 교육, 식단 작성이나 상담 분야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oi JS. Food nutrition information, where can we get sources of nutrition information in food? J Korean Diabetes 2011; 12(3): 163-166. 

  2. Williamson C. Synthesis report No 2: the different uses of food composition databases [Internet]. Norwich: European Food Information Resource Consortium; 2006 [cited 2017 May 18]. Available from: http://www.bezpecnostpotravin.cz/UserFiles/File/Kvasnickova2/EuroFIR_2.pdf. 

  3. Lim SH, Kim JB, Cho YS, Choi YM, Park HJ, Kim SN. National standard food composition tables provide the infrastructure for food and nutrition research according to policy and industry. Korean J Food Nutr 2013; 26(4): 886-894. 

  4.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KR). Standard food composition table, 9th revision [Internet]. Wanju: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2017 [cited 2017 May 5]. Available from: http://koreanfood.rda.go.kr/kfi/fct/fctFoodSrch/list. 

  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R). Food and nutrient database [Internet].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7 [cited 2017 May 5].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portal/board/boardDetail.do. 

  6. Kim YH. Recipe database for evaluation of food and nutrient intakes [Internet].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cited 2017 May 5]. Available from: http://cdc.go.kr/CDC/. 

  7. Haytowitz DB, Pehrsson PR, Holden JM. The identification of key foods for food composition research. J Food Compos Anal 2002; 15(2): 183-194. 

  8. Shim JS, Lee JS, Kim KN, Lee HS, Kim HY, Chang MJ. Selection of key foods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a food and nutrient composition database. Nutr Res Pract 2017; 11(6): 500-506. 

  9. Pehrsson PR, Haytowitz DB, Holden JM. The USDA's National Food and Nutrient Analysis Program: update 2002. J Food Compost Anal 2003; 16(3): 331-341. 

  10. Lundberg-Hallen N, Ohrvik V. Key foods in Sweden: identifying high priority foods for future food composition analysis. J Food Compost Anal 2015; 37: 51-57. 

  11. Food Standards Australia New Zealand. Developing the food nutrient database [Internet]. Majura: Food Standards Australia New Zealand; 2014 [cited 2016 Apr 11]. Available from: http://www.foodstandards.gov.au/science/monitoringnutrients/ausnut/foodnutrient/Pages/developingdatabase.aspx.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13. Greenfield H, Southgate DA. Food composition data: production, management and use. 2nd edition. Rom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03. 

  14. Charrondiere UR, Rittenschober D, Nowak V, Stadlmayr B, Wijesinha-Bettoni R, Haytowitz D. Improving food composition data quality: three new FAO/INFOODS guidelines on conversions, data evaluation and food matching. Food Chem 2016; 193: 75-81. 

  15. Rand WM, Young VR. Report of a planning conference concerning an international network of food data systems (INFOODS). Am J Clin Nutr 1984; 39(1): 144-151. 

  16. FAO/INFOODS report on the nutrition indicator for biodiversity - food composition. Global Progress Report 2012. Rom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3. 

  1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urvey guidebook for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ANES VI).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18.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CAN-Pro 5.0 (Web ver.) [Internet].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cited 2017 May 7]. Available from: http://www.kns.or.kr/Center/CanPro5.asp. 

  19. Park JY, Heo YR. Relationship of vitamin D status and obesity index in Korean women. J Nutr Health 2016; 49(1): 28-35. 

  20. Jung IK. Prevalence of vitamin D deficiency in Korea: results from KNHANES 2010 to 2011. J Nutr Health 2013; 46(6): 540-551. 

  21.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Nutrient data laboratory [Internet]. Washington D.C.: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2016 [cited 2017 May 7]. Available from: http://www.ars.usda.gov/nutrientdat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