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방공무원이 지각하는 위험유발요인이 공공서비스동기, 직업소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isk Generation Factors Perceived by Fire Service Officers on a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a Vocational Calling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2 no.2, 2018년, pp.102 - 109  

김희동 (군산간호대학) ,  김종윤 (고려대학교 BK21+ 아시아에듀허브사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가의 안전을 담당하고 있는 소방공무원들이 직무 수행 중 감내하는 위험유발요인들이 공공서비스동기, 직업소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는 인적자원의 능력과 역량이 중요시 되는 소방조직에서 소방공무원들이 경험하는 위험유발요인들이 개인의 심리적 자본에 영향을 미쳐 조직의 효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경기 및 서울권 소방학교의 교육연수 대상 소방공무원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통해 회귀분석t-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소방공무원들이 위험유발요인을 높게 인식할수록, 공공서비스동기, 직업소명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균보다 위험유발요인을 높게 인식하는 소방공무원 집단과 낮게 인식하는 소방공무원 집단의 공공서비스동기와 직업소명의 수준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위험유발요인이 소방공무원의 공공서비스와 직업소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로서, 다양한 위험유발요인에 대한 인지필요성 및 소방공무원들이 위험요인들에 대해 인지할 수 있도록 관련 교육과 현장체험 중심의 교육방법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risk generation factors on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a vocational calling of fire service officers during their work. This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risk generation factors of firefighters in their organization should be related to the effecti...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실제 소방공무원들이 지각하는 위험유발요인이 개인의 심리적 자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 가운데에서도 본 연구는 소방부분 종사자들이 사회의 안전을 책임진다는 공공적 사명감을 갖고직무에 몰입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들의 공공서비스동기와 직업소명에 집중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위험유발요인을 긍정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위험유발요인에 대한 구체적 이해와 실증적 영향성에 대한 검증은 앞으로 우리 사회가 구축해 나가야 할 안전사회를 위해 어떠한 문제를 개선해야 할지에 대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방공무원들이 지각하는 위험유발요인이 소방공무원 개개인의 공공서비스 동기와 직업소명에 미치는 실증적 영향성을 검증하고, 이에 대한 위험유발요인 부분에 대한 해결 방향을 제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는 위험유발요인이 개인의 심리적 자본, 특히 공공부문에 종사하는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이들의 직무 수행에 중요한 공공서비스동기와 직업소명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특수성이 있으며, 안전사회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나날이 높아져가는 상황에서 시의적절한 연구라 할 수 있다. 다만 본 연구는 위험유발요인의 하위분류에 따른 개인 심리적 자본의 차이를 검증하지는 않았다는 점에서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따른다.
  • , 실제 이러한 위험유발요인의 영향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통해 이들 요인에 대한 해결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방공무원들이 지각하게 되는 다양한 위험유발요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들 요인이 미치는 영향의 대상으로 개인의 심리적 자본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인력이 곧 지원 역량과 직결되는 소방 조직의 효과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고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외적 시스템이나 체계만을 보완하기 보다는 인적 자원의 질적 향상을 통한 근본적 개선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방공무원들이 지각하는 위험유발요 인의 수준에 따라 이들의 공공서비스동기, 직업소명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소방공무원의 직무몰 입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첫째, 소방공무원이 지각하는 위험유발요인과 공공서비스동기와의 관계는 어떠하며, 위험유발요인 수준에 따라 공공서비스동기에는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험유발요인이란? 위험유발요인은 소방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위험에 대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기여하는 요인이다(2).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관련업무 종사자들의 안전을 저해하는 요인을 단순히 사고원인으로 정의하여 사고와의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것들로 그 개념이 한정적으로 제시되었다.
인적 자원의 질적 향상을 통한 근본적 개선을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인력이 곧 지원 역량과 직결되는 소방조직의 효과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고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외적 시스템이나 체계만을 보완하기 보다는 인적 자원의 질적 향상을 통한 근본적 개선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제 소방공무원들이 지각하는 위험유발요인이 개인의 심리적 자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 가운데에서도 본 연구는 소방부분 종사자들이 사회의 안전을 책임진다는 공공적 사명감을 갖고직무에 몰입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들의 공공서비스동기와 직업소명에 집중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위험유발요인을 긍정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위험유발요인이 가지는 의미는? 그러나 현성호(2)는 위험유발요인을 사고를 포함,그와 연관된 판단착오를 발생시킬 수 있는 개인적 경험, 문화적 또는 제도적 요인 등의 직·간접 요인까지 모두 포함하는 보다 포괄적 접근이라고 제시하고 있다. 이를 종합해보면, 위험유발요인이란 소방공무원의 위험을 유발할 수 있는 인적 요인과 외적(환경적) 요인을 포괄하는 광범위적 의미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U. Beck, "Risk society: Towards a New Modernity", Sage Publications Ltd., London, UK (1992). 

  2. S. H. Hyun, "Analysis on the Impact of Risk Induction Factors to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irefighters: Focused on Firefigh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2010). 

  3. F. Redmill and J. Rajan, "Human Factors in Safety-Critical Systems", Butterworth-Heinemann Newton, USA (1996). 

  4. D. J. Im, "The Cognitive Level on Social Safety and its Influential Factors in South Korea : Focused on Local Citizens and Civil Servants",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ciences Journal, Vol. 20, No. 1, pp. 89-114 (2016). 

  5. Special Planning Report Team, "Half of Firefighters Said That They Wanted to Quit Their Life and Death Related Job", Segye Ilbo, Seoul, Korea (Mar. 23th, 2008). 

  6. S. H. Hyun, Y. W. Kim and H. C. Choi,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Firefighters' Recognition about Risk Induction Factors: Focus on recognition Differences between Firefighters of Seoul and Gyunggi Provinc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4, No. 6, pp. 160-169 (2010). 

  7. S. H. Hyun, J. M. Cha, H. C. Choi and Y. W. Kim, "A Study on the Impact of Risk Induction Factors to Stress", Proceedings of 2011 Autumn Annual Conferenc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011, No. 11, pp. 494-497 (2011). 

  8. Kyungmin University, "Development and Prediction of Safety Accident Characteristics by Disaster Typ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Research Service Report (2010). 

  9. J. L. Perry and L. R. Wise, "The Motivational Bases of Public Servic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 50, No. 3, pp. 367-373 (1990). 

  10. P. E. Crewson, "Public Service Motivation: Building Empirical Evidence of Incidence and Effect",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Vol. 7, No. 4, pp. 499-518 (1997). 

  11. K. A. Karl and C. L. Sutton, "Job Values in Today's Workforce: A Comparison of Public and Private Sector Employees", Public Personnel Management, Vol. 27, No. 4, pp. 515-527 (1998). 

  12. G. T. Gabris and G. Simo, "Public Sector Motiva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Affectings Career Decisions", Public Personnel Management, Vol. 24, No. 1, pp. 33-51 (1995). 

  13. D. Houston, "Public-service motivation: A multivariate Test",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Vol. 10, No. 4, pp. 713-727 (2000). 

  14. J. I. Perry, "Measur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An Assessment of Constant Rea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Vol. 6, No. 1, pp. 5-22 (1996). 

  15. M. F. Steger, N. K. Pickering, J. Y. Shin and B. J. Dik, "Calling in Work Aecular or Sacred?",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Vol. 18, No. 1, pp. 82-96 (2010). 

  16. J. Y. Kim, "Occupation and Calling", IVP, Seoul, Korea (1998). 

  17. S. C. Yoon, J. H. Lee, Y. W. Sohn and Y. J. Hah, "The Effect of Call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 The Mediated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Vol. 20, No. 4, pp. 61-86 (2013). 

  18. B. J. Dik and R. D. Duffy, "Calling and Vocation at Work: Definitions and Prospects for Research and Practice", The Counseling Psychologist, Vol. 37, No. 3, pp. 424-450 (2009). 

  19. I. Hunter, B. J. Dik and J. H. Banning,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Calling in Work and Life: A Qualitative Analysi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76, No. 2, pp. 178-186 (2010). 

  20. R. F. Baumeister, S. I. Kim and H. J. Kim, "Meaning of Life", Wonmisa, Seoul, Korea (2010). 

  21. J. I. Chang and J. Y.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ing a Calling and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 Meaning, Living a Calling, Life Meaning, and Job Satisfaction",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 15, No. 1, pp. 259-278 (2014). 

  22. J. H. Hahn and S. I. Koh, "Pay for Performance, Stress and Intrinsic Motivation", Korean Acamemy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Journal, Vol. 30, No. 2, pp. 25-44 (2006). 

  23. S. Y. Lee and N. S. Park, "The Moderating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Job Stress and Burnout: Focusing on Youth Counselors and University Counselors",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Vol. 35, No. 1, pp. 73-92 (2014). 

  24. C. W. Shin, "Prospectiv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Motivation", Industrial Management Research, Vol. 25, No. 1, pp. 35-50 (2002). 

  25. B. C. Ahn and K. C. Park,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Difference on Job Motivation: Comparative Analysis of Administrative and Military Organizations",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Vol. 28, No. 4, pp. 371-394 (2014). 

  26. H. T. Lee, "The Influence of Government Employees' Role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Relations Factors According to Performance-oriented Personnel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s on Job Stress and Job Burnout",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Journal, Vol. 18, No. 3, pp. 457-480 (2014). 

  27. K. O. Seol and J. I. Lim, "Collective Self-Esteem, Calling and Burnout Among Youth Companion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 25, No. 2, pp. 187-201 (2013). 

  28. E. Y. Cho and J. Y. Lee, "The Moderating Effects of Calling and Work Meaning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The Korea Association of Yeolin Education Journal, Vol. 23, No. 1, pp. 1-23 (2015). 

  29. D. W. Kim and N. S. Cho,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Calling Consciousness and Ethical Consciousness of Medical Social Workers", The Korean Society for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Vol. 11, No. 2, pp. 221-244 (2012). 

  30. S. Y. Kwon and M. S. Kim, "A Qualitative Study for Exploring the Construct of Vocational Calling and the Effect of Factors on Living a Calling",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21, No. 6, pp. 393-420 (2014). 

  31. B. J. Dik, B. M. Eldridge, M. F. Steger and R. D. Duff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 (CVQ) and Brief Calling Scale (BC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Vol. 20, No. 3, pp. 242-263 (2012). 

  32. Y. R. Shim and S. K. Yoo,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 (CVQ-K)",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 24, No. 4, pp. 847-873 (2012). 

  33. B. L. Wright and A. M. Grant, "Unanswered Questions about Public Service Motivation: Designing Research to Address Key Issues of Emergence and Effect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 70, No. 5, pp. 691-700 (2010). 

  34. E. Han,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Experiences in Organization and Job Characteristic", Master's Thesis, Ehwa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010). 

  35. S. H. Woo, "Determinant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A Comparative Study of Public and Private Sectors", Master's Thesis, Ehwa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