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 서울·경기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of a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 Focusing on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Participants in Seoul and Gyeonggi -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1 no.2, 2018년, pp.284 - 292  

박숙현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전공) ,  정희선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lements that are required and that need improvement in the contents of dietary life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by analyzing the importance-satisfaction of a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for dietary life education trainees. The results of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교육 서비스 품질은 지식 요인, 강사 요인과 더불어 흥미요인이 학습자의 만족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식생활교육 중 이론과 실습으로 이루어지는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수강생들의 중요도-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여 식생활교육 요구에 발 맞추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구결과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분석에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난 항목은 무엇인가? 교육의 질과 학습자의 만족도에 있어 강사의 역할이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 강사들의 전문성에 대한 만족도와 수업자료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근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에 체험, 실습, 실험 등이 함께 포함되어 있는 형태들이 많아지고 있고, 학습자들 역시 지식만 전달하는 방법이 아닌 함께 활동하는 교육을 원하고 있다.
식생활교육은 어떤 효과가 있는가? 식생활교육은 식습관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를 형성하고, 식생활관리와 질병예방과의 관계를 가르치는데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근본적인 식생활문제를 해결하는 기초 경로가 되며, 건강수준 향상에 가장 큰 역할을 한다(Kim YK 2010).
식생활교육 활성화를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 그러나 식생활 교육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에서조차 실습을 할 수 있는 조리실이 있는 학교는 많지 않으며, 식생활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지도자 교육 역시 부족한 실정이다(Sin & Choi 2013). 따라서 식생활교육 활성화를 위해 물리적 환경의 마련과 보완이 시급하며, 예산의 확충, 실습시설기준이나 교구 지침의 마련, 식생활교육을 위한 교사양성프로그램의 표준화와 독자성을 강화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노력이 필요하다(Jeon YM 2010). 식생활교육은 국민 개개인의 식습관 개선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사업의 효과가 더디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k HJ, Kim HS. 2016. A study of general educational quality factors, satisfaction, and loyalty - Focused on general courses related to dietary life - Culin Soci & Hospitality Res 22:155-165 

  2. Cho CB, Choi RM, Kim SY. 2017. A study on the education of dietary life that affects the educational performance and its results. J Foodserv Manag Soc of Korean 20:277-299 

  3. Hong SK. 2011. A study on processed food purchas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urban housewives' food-related lifestyle.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 Korea 

  4. Han JS, Kim SS, Go MA. 2015. Influences of dietary education activity 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self-respect. Korean J Culin Res 21:236-250 

  5. Her SH. 2013. Eating behavior, nutrition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of the food and nutr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Gyeungnam province. Korean J of Community Nutr 18:11-24 

  6. Jeon SK. 2010. Educational meanings and effective practical plans of school dietary life education. J Korean Home Econo Educ 22:117-135 

  7. Jeon YM. 2010. A study on the interest and satisfaction of parents on the effect of cooking programs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typ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Korean J Culin Res 16:137-151 

  8. Jung IK. 2005. A study on perception of teachers on the nutri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J Korean Home Econo Educ 17:73-85 

  9. Jung KA. 2016.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J Korean Pract Arts Educ 29:95-114 

  10. Kang MH. 2012. Activation method and actual condition of dietary life education in househol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 Korea 

  11. Kim HJ. 2013.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exploring the new possibility od dietary education for school children - Focusing on sensory education -. J Korean Pract Arts Educ 26:59-82 

  12. Kim HJ. 2015. 21C dietary life education, What we should do?: Focusing on green dietary life education and seasonal foods. The Korea Associ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Symposium's Collection of Dissertations. pp.133-139 

  13. Kim JY, Sim KH. 2011. The actual and recognition of dietary lif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fter execution of the dietary life education support act. Korea J Food & Nutr 24:295-305 

  14. Kim SH. 2013. A study for the effects of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of cooking class on happiness of personal and family. Master's Thesis, Woosong Univ. Korea 

  15. Kim YH. 2010. A study on the eating behaviour and nutrition knowledge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satisfaction of dietary life instryction in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J Korean Home Econo Educ 22:117-128 

  16. Kim YH. 2012. A survey on the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dietary education of hight school female students. J Korean Home Econo Educ 24:21-36 

  17. Kim YH. 2013. A survey of the cognition on teaching consulting and dietary class of home economics teachers. J Korean Home Econo Educ 25:1-18 

  18. Kim YK. 2010. Parent's behavior and perception of their kids' snacking behavior and dietary life education. Korean J Soc Food Sci 26:596-602 

  19. Lee HJ. 2011. Current cooking classes at community centers and promotional plans for the cooking classes according to dood-related lifestyle.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 Korea 

  20. Lee HW, Na YS, Cho MS. 2016.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dietary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slow life in school children. J Korean Soc Food Cult 31:111-120 

  21. Lee IO, Na JK. 2014. Effects of food - related lifestyle on consumer nutrition attitude and food preference - Focused on a married woman with young children -. J Foodserv Manag Soc of Korea 17:201-227 

  22. Lee SM. 2013. Effects of a healthly diet lifestyle and the desire to improve one's health on the demand for healing-experience.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 Korea 

  23. Lin HB, Lee SS. 2016. A study of Korean consumers on dietary satisfaction to sentiment index about food safety. J Korean Home Management Assoc 34:15-26 

  24. Min EH, Ryu SH, 2012. Effect of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 to health, environment and consideration. J Korean Pract Arts Educ 18:45-60 

  25. Park SH, Jeong HS. 2016. Effects of dietary life application according to preferred dietary life education type on quality of life - Focus on participants of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7:268-279 

  26. Rah YA, Kang MJ, Lee SH, Kim JY. 2015. Nutrition intake according to food and exercise habits in female college students of Yang-Ju si. Korean J Culin Res 21:284-293 

  27. Sim KH. 2011. A survey on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Korean herbal foods according to dietary behavior in lifestyle. Korean J Culin Res 17:39-58 

  28. Sin KO, Choi KS, 2013. Study on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nutrient intake behaviors, and healthly dietary habits of male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majors. Korea J Food & Nutr 26:163-176 

  29. Siniscalchi JM, Beale EK, Fortuna A. 2008.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o evaluate training. Performance Improvement 47:30-35 

  30. Tak MG, Lee JE. 2015. Dietary Life Education and Implication of Major Advanced Countries, World Agriculture. vol. 179,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pp.7-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