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재적 혁신성과 상품 관심이 특정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nate Innovativeness and Product Interest on Product-Specific Consumer Innovativeness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6 no.2, 2018년, pp.167 - 174  

정인희 (금오공과대학교 화학소재융합공학부) ,  조윤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텍스타일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consumer innovativeness by examining a relationship model of innate innovativeness, product interest, product-specific innovativenss, and actualized innovativeness for eight product items as well as observed gender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The eight product items for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상품을 대상으로 특정 상품에 대한 혁신성이 내재적 혁신성과 상품 관심의 영향을 받는 한편 구현적 혁신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이론적 모형을 제안하고 이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한두 개 상품에 제한하여 연구하는 경우 특정 상품 혁신성과 내재적 혁신성 및 구현적 혁신성의 관계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므로, 가능한 한 폭넓게 상품군을 선택하여 조사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 , 2016), 혁신적 제품을 측정 대상으로 포함하여 분석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녀의 관심이 모두 많거나 적은 품목, 한쪽의 성별이 다른 쪽의 성별보다 더 관심을 갖는 상품 및 소비자들이 혁신으로 지각하는 품목 등을 특정 상품 혁신성의 측정 대상으로 포함하고자 한다. 더불어 상품 관심에서 나타나는 성별 차이가 특정 상품 혁신성과 구현적 혁신성에 이르기까지 일관성 있게 유지되는지 확인할 것이다.
  • 그러나 잠재적 혁신성은 상품에 대한 관심도에 의해 현실화되어 나타나고(Midgley &Dowling, 1978) 내재적 혁신성은 제품 관여에 영향을 미치며 제품 관여는 혁신적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Reinhardt & Gurtner,2015) 하였으므로, 상품에 대한 관심은 내재적 혁신성과 특정 상품 혁신성 사이를 매개하기 보다는 내재적 혁신성과 독립적으로 특정 상품 혁신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그리고 추상화된 내재적 혁신성보다는 상품 관심이 특정 상품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재적 혁신성과 상품 관심이 특정 상품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이들 세 개 변수가구현적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볼 것이다.
  • 혁신성을 측정할 수 있는 특정 분야는 패션의 대상과 그 범위가 유사하여 옷, 신발, 가방, 장신구, 휴대전화, 자동차, 집, 화장품, 책, 언어, 사상 등(Blumer, 1969; Chung, 2011) 다양할 것이며, 특정 분야가 상품이 될 때에는 특정 상품 혁신성으로 변수를 정의하는 것이 의사 전달에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재적 혁신성에 대응하는 특정 분야 혁신성을 특정 상품 혁신성으로 개념화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 또한 성별은 패션 소비자 행동을 이해하는 데 있어 가장 기초가 되는 변수이고, 다양한 소비 상품은 성별에 따라 전반적 관심도도 다르고 성별에 따라 혁신성이 높은 소비자가 관심을 보이는 상품에도 차이가 난다는 사실이 실증적 결과로 보고된 바 있으므로(Chung, 2015a) 다양한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혁신성 연구에서 응답 대상의 성별 차이를 확인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상품을 측정 대상으로 선정하여 소비자 혁신성 및 관련 변수의 관계를 규명할 것이며, 그 과정에서 성별 변수의 역할을 탐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성별에 따른 관심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다양한 소비 상품을 대상으로 하여 내재적 혁신성, 특정 상품 혁신성 및 구현적 혁신성을 측정하고 상호 관계를 규명할 것이다. 이로써 소비자 혁신성 관련 변수들의 상호 관계를 이론적 모형으로 구축하는 데 더해 상품별 관심과 혁신성에 대한 성별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선행연구들로부터 축적된 이론적 체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의의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소비자 혁신성 연구에 관한 선행 연구의 일반화된 결과를 검증하여 소비자 혁신성 이론 체계 구축에 기여하였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소비 행동을 논리적으로 해석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단초를 제공하였다. 새로운 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정보 수집과 구매 행동에는 상품 관심이 기저에 자리하고 있으므로, 마케팅의 관점에서는 신상품 출시나 사업 영역 확장 시에 다양한 경로로 소비자들의 상품 관심도를 확인해 보는 절차를 거치는 것이 필요하다.
  • 본 연구는 소비자 혁신성을 내재적 혁신성, 특정 상품 혁신성 및 이에 대한 구현적 혁신성으로 구분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다양한 상품 유형에 걸쳐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내재적 혁신성과 특정 상품에 대한 혁신성에서의 성별 차이를 함께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그간 상품 단위별로 수행되어 온 소비자 혁신성에 관한 연구를 다양한 상품군에 걸쳐 단일 표본을 대상으로 일시에 시행하여 연구 결과를 얻음으로써 소비자 혁신성 관계 모델을 일반화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향후 측정 상품을 보다 다양화하여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또한 Schrank 등(1982)은 유행 선도력을 유행 혁신성과 유행 의사 선도력으로 측정하여 혁신성과 의사선도력이 병행함을 제안한 바 있다. 즉 구현적 혁신성은 행동적 측면과 주변에서의 인정으로 측정할 수 있을 것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특정 상품을 타인보다 빨리 구매하는 경향과 주변에서 특정 상품에 대한 혁신성을 인정해 주는 정도로 본 변수를 측정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상품을 대상으로 특정 상품에 대한 혁신성이 내재적 혁신성과 상품 관심의 영향을 받는 한편 구현적 혁신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이론적 모형을 제안하고 이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한두 개 상품에 제한하여 연구하는 경우 특정 상품 혁신성과 내재적 혁신성 및 구현적 혁신성의 관계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므로, 가능한 한 폭넓게 상품군을 선택하여 조사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2-1. 남성과 여성의 내재적 혁신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을 것이다.
  • 가설 2-2. 여성보다 남성의 상품 관심이 높은 상품에서는 여성보다 남성의 특정 상품 혁신성이 높을 것이다.
  • 가설 2-4. 여성보다 남성의 특정 상품 혁신성이 높은 상품에서는 여성보다 남성의 구현적 혁신성이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비자 연구에서 혁신성 변수는 어떻게 나뉘나? 혁신의 채택은 혁신 자체의 특성과 소비자 개인의 특성에 달려 있으므로(Reinhardt & Gurtner, 2015) 소비자 연구에서 혁신성 변수는 제품 혁신성과 소비자 혁신성으로 양분된다. 제품 혁신성은 소비자 연구의 자극물이 되는 제품의 새로움 정도인 반면, 소비자 혁신성은 연구의 표본이 되는 소비자들이 새로운 것을 얼마나 잘 수용하려고 하는가의 정도이다.
소비자 혁신성은 어떻게 구분될 수 있나? 소비자 혁신성은 내재적(innate) 혁신성과 특정 영역(domain-specific) 혁신성 및 구현적(actualized) 혁신성의 세 개 차원으로 구분될 수 있다(Kaushik & Rahman, 2014). 일반적으로 특정 영역 혁신성은 내재적 혁신성의 영향을 받지만, 내재적 혁신성이 낮은 경우라 하더라도 특정 관심 상품에 대한 혁신성은 높을 수 있는데(Park & Chae, 2011), 이는 잠재적 혁신성이 상품에 대한관심도에 따라서 달리 구현되어 나타나기(Midgley & Dowling,1978) 때문일 것이다.
소비자 연구에서 혁신성 변수에서 제품 혁신성과 소비자 혁신성의 차이는? 혁신의 채택은 혁신 자체의 특성과 소비자 개인의 특성에 달려 있으므로(Reinhardt & Gurtner, 2015) 소비자 연구에서 혁신성 변수는 제품 혁신성과 소비자 혁신성으로 양분된다. 제품 혁신성은 소비자 연구의 자극물이 되는 제품의 새로움 정도인 반면, 소비자 혁신성은 연구의 표본이 되는 소비자들이 새로운 것을 얼마나 잘 수용하려고 하는가의 정도이다. 제품 혁신성에 관한 최근 연구를 보면 전기 자동차(Morton et al, 2016), 천연 연료 자동차(Heidenreich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lumer, H. (1969). Fashion: From class differentiation to collective selection. In G. B. Sproles (Ed.), Perspectives of fashion (pp. 49-57). Minneapolis, MN: Burgess Publishing Company. 

  2. Choi, E. Y. (2001). A study of consumers' adoption process of casual Hanbok: Applying Rogers' model of innovation decision proc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3. Chung, I. H. (2011). Fashion marketing. Seoul: Sigongart. 

  4. Chung, I. H. (2015a). Difference of product interest and relation to innate innovativeness, and perceptive construct of products according to consumers' gend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39(4), 505-516. https://doi.org/10.5850/JKSCT.2015.39.4.505 

  5. Chung, I. H. (2015b). Clothing expense, consumer innovativeness and perceived risk of male and female customers of various fashion retail channe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39(5), 714-727. https://doi.org/10.5850/JKSCT.2015.39.5.714 

  6. Citrin, A. V., Sprott, D. E., Silverman, S. N., & Stem, D. E., Jr. (2000). Adoption of internet shopping: The role of consumer innovativeness. Industrial Management and Data Systems, 100(6), 294-299. https://doi.org/10.1108/02635570010304806 

  7. Clark, R. A., & Goldsmith, R. E. (2006). Interpersonal influence and consumer innovative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 30(1), 34-43. https://doi.org/10.1111/j.1470-6431.2005.00435.x 

  8. Hausel, H. G. (2008). Brain view: Warum Kunden kaufen . (J. A. Bae, Trans.). Seoul: Heureum. 

  9. Heidenreich, S., Spieth, P., & Petschnig, M. (2017). Ready, steady, green: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external policies to enhance the adoption of eco-friendly innovations. The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34(3), 343-359. https://doi.org/10.1111/jpim.12364 

  10. Im, S., Bayus, B. L., & Mason, C. H. (2003). An empirical study of innate consumer innovativenes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new-product adoption behavior.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1(1), 61-73. https://doi.org/10.1177/0092070302238602 

  11. Jun, D. G. (2007). The effects of clothing consumers' innate innovativeness on fashion innovativeness and fashion adop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2. Kang, K. Y., & Jin, H. J. (2008). The study on the perceived risk and product innovativeness evaluation of smart cloth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0(5), 618-624. 

  13. Kaushik, A. K., & Rahman, Z. (2014). Perspectives and dimensions of consumer innovativeness: A literature review and future agenda. Journal of International Consumer Marketing, 26(3), 239-263. https://doi.org/10.1080/08961530.2014.893150 

  14. Kim, H. N. (2000). Consumer segmentation of clothing products by fashion conformity/innovativeness and their reference group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5. Kim, S. D., Lim, J. I., & Yang, S. B. (2016). Empirical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intention to use third-party mobile payment services: Applying the task-technology fit model.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 15(2), 185-201. 

  16. Kim, Y. G. (2012). The empirical study of the influence of consumer innovativeness, product involvement and product expertise on vicarious and adoptive innovativeness.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7(7), 187-198. https://doi.org/10.9723/jksiis.2012.17.7.187 

  17. Lee, S. S. (2015). Effect of consumer innovativeness on the satisfaction with social commerce use.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3(3), 293-307. https://doi.org/10.6115/fer.2015.023 

  18. Lim, H. G., Chang, B. H., Nam, S. H., & Baek, S. K. (2012).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the favorite channel function: Focusing on innate innovativeness and perceived characteristics of innovation, viewing behavior, and social influence.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58(2), 154-177. 

  19. Midgley, D. F., & Dowling, G. R. (1978). Innovativeness: The concept and its measuremen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4(4), 229-242. https://doi.org/10.1086/208701 

  20. Morton, C., Anable, J., & Nelson, J. D. (2016). Exploring consumer preferences towards electric vehicles: The influence of consumer innovativeness. Research in Transportation Business and Management, 18(1), 18-28. https://doi.org/10.1016/j.rtbm.2016.01.007 

  21. Park, J. E., Yu, J., & Zhou, J. X. (2010). Consumer innovativeness and shopping styles. The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27(5), 437-446. https://doi.org/10.1108/07363761011063330 

  22. Park, Y. S., & Chae, H. N. (2011).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customer innovativeness: Focused on 'sensation seeking tendency' and 'need for intelligence'.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18(3), 55-81. 

  23. Reinhardt, R., & Gurtner, S. (2015). Differences between early adopters of disruptive and sustaining innovation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8(1), 137-145. https://doi.org/10.1016/j.jbusres.2014.04.007 

  24. Rhee, E. Y. (1997). Fashion marketing. Seoul: Kyomunsa. 

  25. Rogers, E. M. (1962). Diffusion of innovation. New York: The Free Press. 

  26. Schrank, H. L., Sugawara, A. I., & Kim, M. (1982). Fashion leadership: A two-culture study.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10(3), 235-240. 

  27. Xie, Y. H. (2008). Consumer innovativeness and consumer acceptance of brand extensions. The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17(4), 235-243. https://doi.org/10.1108/1061042081088758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