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십자화과 작물의 종속간 교배를 통한 화색변화 경관용 자원식물 개발
Development of Flower Color Changed Landscape Plant through Interspecific and Intergeneric Crosses of Several Cruciferae Crop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1 no.1, 2018년, pp.77 - 85  

김광수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 ,  박원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 ,  이영화 (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국외농업기술과) ,  이지은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 ,  문윤호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 ,  차영록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 ,  송연상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에서 유채는 식용유 생산과 경관을 목적으로 매년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유채 꽃의 색상은 노란색으로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경관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유채 꽃색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유채 꽃색을 다양화하기 위해 유채와 십자화과 식물을 대상으로 종 속간교배를 실시한 결과, 유채와 양배추 종간 인공교배에서 꼬투리 형성율이 65.8%로 비교적 높았으며, 유채와 무, 유채와 소래풀 등 속간 교배조합에서의 꼬투리 형성율은 각각 39.5%와 42.3%로 낮았다. 인공수분 후 꼬투리가 발달하는 시기에 이종간 교잡 불화합성 때문에 종자 결실율이 매우 낮으며 꼬투리 당 생산된 평균 종자수는 유채와 양배추 교배조합에서 0.12개였으며, 유채와 무는 0.40개, 유채와 소래풀은 0.12개였다. 종속간 교배에 의해 생산된 $F_1$ 잡종식물체의 외부 표현형질은 잎의 형태와 꽃의 색은 모계인 유채와 유사하였으나, 잎의 길이와 폭 등이 전반적으로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유채와 양배추의 종간교배에서 꽃의 색이 양친의 중간인 미색으로 피는 개체가 나타났고, 유채와 소래풀의 속간 교배에서는 꽃의 크기가 커진 개체가 생겨 이 개체들을 육종재료로 이용하면 경관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부분의 $F_1$ 잡종종자의 올레인산, 리놀레산리놀렌산 등의 지방산 조성은 양친의 중간 정도였으나, 유채와 무의 $F_1$ 잡종종자의 지방산 중 에루진산은 화분친인 무에 비교하여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ultivation area of rapeseed (Brassica napus L.) has been increased for oil production and landscaping purpose in Korea. However, as the color of rapeseed flower is very simple, diversified flower color is necessary to improve landscape effect. Interspecific and intergeneric crosses between ra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유채와 같은 십자화과에 속하지만 다른 꽃색을 가진 양배추, 무, 소래풀 등의 유전형질을 유채에 도입하여 다양한 꽃색을 갖는 유채의 육종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종·속간교배를 실시하고, 종속간 인공교배에 따른 교배효율과 교배결과 만들어진 F1 잡종 식물체의 꽃색 및 꽃의 크기 등 식물학적 특성 및 지방산조성 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유채와 양배추의 종간교배 중 양배추를 화분침으로 이용하였을 때 꼬투리 형성율의 결과는 어떠한가? 12개로 나타났다. 양배추를 화분친으로 이용하였을 때 유채 품종에 따른 꼬투리 형성율은 ‘영산유채’ × 양배추 ‘VI033193’ 교배조합이 10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탐미유채’ × 양배추 ‘VI033193’ 66.4%, ‘한라유채’ × 양배추 ‘VI033193’ 58.7%, 순이었다. 꼬투리 당 형성된 종자 수는 ‘탐미유채’ × 양배추 ‘VI033193’의 조합이 0.17개로 가장 많았고, ‘한라유채’ × 양배추 ‘VI033193’ 교배조합에서는 꼬투리 당 0.13개의 종자가 생산되었다. ‘영산유채’ × 양배추 ‘VI033193’의 조합에서는 인공수분한 꽃에서 전부 꼬투리가 형성되었지만, 꼬투리 당 형성된 종자 수는 0.03개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Table 1). 십자화과 식물의 종간 교배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는데, 유채와 양배추종간 인공교배되었을 때 꼬투리 형성율이 22.
유채의 육종은 어떤 연구가 진행되었는가? 종간교배 및 속간교배를 통한 잡종 식물체의 생산은 불화합성 등의 이유로 어렵고 성공할 확률이 낮다(Myers, 2006). 그렇지만 유채의 육종은 양배추(B. oleracea L.), 겨자(B. junceavar. crispifolia L. H. Bailey) 및 배추(B. campestris ssp. pekinensis) 등의 십자화과(Cruciferae) 작물들과의 종간교배를 통해 유용한 형질의 도입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을 뿐만 아니라(Bajaj et al., 1986; Zhang et al., 2004), 무(Raphanus sativus L.)나 소래풀[Orychophragmus violaceus (L.) O. E. Schulz]과 같이 십자화과의 다른 속의 작물과의 속간교배에 대한 연구도 많이 진행되었다(Lelivelt et al., 1993; Li et al.
유채란 무엇인가? 유채(Brassica napus L.)는 복이배체(2n = 38, AACC) 식물로 전초를 나물용이나 가축의 청예사료로 이용하고, 유채기름은 튀김이나 샐러드와 같은 식용으로 이용되며, 바이오디젤의 원료로 이용된다. 착유 후 부산물인 유채박은 가축사료와 유기질 비료로도 사용되는 등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다(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yotte, R.P., M. Harney and S. Machado. 1987. The transfer of triazine resistance from Brassica napus L. to B. oleracea L. I. production of $F_1$ hybrids through embryo rescue. Euphytica 36:615-624. 

  2. Bajaj, Y.P.S., S.K. Mahajan and K.S. Labana. 1986. Interspecific hybridization of Brassica napus and B. juncea through ovary, ovule and embryo culture. Euphytica 35:130-109. 

  3. Cheng, B.F., G. Seguin-Swartz and D.J. Somers. 2002. Cytogenetic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intergeneric hybrids between Brassica napus and Orychophragmus violaceus. Genome 45:110-115. 

  4. Chengzhen, S., Y. Li, S.N. Zhang and J.S. Zheng. 2014. Production of intergeneric allotetraploid between autotetraploid non-heading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ssp. chinensis Makino) and qutotetraploid (Raphanus sativus L.). Acta. Soc. Bot. Pol. 83:75-79. 

  5. Chiang, M.S., B.Y. Chiang and W.F. Grant. 1977. Transfer of resistance race 2 of Plasmodiophora brassicae from Brassica napus to cabbage (B. oleracea var. capitata). I.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B. napus and B. oleracea var. capitata. Euphytica 26:319-336. 

  6. Heijenskjold, L. and L. Ernster. 1975. Studies of the mode of action of erucic acid on heart metabolism. Acta. Med. Scand. Suppl. 585:75-83. 

  7. Hu, Q., L.N. Hansen, J. Laursen, C. Dixelius and S.B. Andersen. 2002. Intergeneric hybrids between Brassica napus and Orychophragmus violaceus containing traits of agronomic importance for oilseed rape breeding. Theor. Appl. Genet. 105:834-840. 

  8. Jang, Y.S., I.H. Choi, Y.B. Oh, S.Y. Cho, D.H. Chong and H.C. Oh. 1997. New early-maturing, flower of large size and the use of sightseeing rapeseed variety 'Tammiyuchae'. Kor. J. Breed. 29:507-507 (in Korean). 

  9. Kim, K.S, Y.H. Lee, H.J. Cho, Y.S. Jang and K.G. Park. 2012. Effects of culture condition on embryogenesis in microspore culture of Brassica napus L. domestic cultivar 'Tammiyuchae'. Korean J. Crop Sci. 57(4):317-323 (in Korean). 

  10. Kim, K.S., Y.H. Lee, Y.S. Jang and I.H. Choi. 2013. Analysis of fatty acid compositions and biodiesel properties of seeds of woody oil plants in Korea. Korean J. Plant Res. 26(5): 628-635 (in Korean). 

  11. Kim, K.S., S.O. Ha, Y.H. Lee, Y.S. Jang and I.H. Choi. 2015. Study on growth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in the spring sowing for selection of rapeseed (Brassica napus L.) varieties. Korean J. Plant Res. 28(1):111-118 (in Korean). 

  12. Kim, K.S., Y.H. Lee, Y.S. Jang and I.H. Choi. 2015. The cross ability and the phenotypic characteristics of $F_1$ hybrid in the interspecific crosses between Brassica napus and B. campestris, B. rapa. Korean J. Plant Res. 28(1):119-125 (in Korean). 

  13. Lee, H.K., Y.H. Lee, K.S. Kim, Y.S. Jang and I.H. Choi. 2015. The effect control of root-knot nematode by using rapeseed meal in continuous cultivation at greenhouse. Korean J. Plant Res. 28(1):93-100 (in Korean). 

  14. Lee, Y.H., T.S. Lee, K.S. Kim, T.C. Seo, Y.S. Jang and K.B. Lee. 2015. Analysis of seed size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six crosses between Brassica napus and Brassica rapa. Korean J. Int. Agric. 27:197-203 (in Korean). 

  15. Lelivelt, C.L.C., W. Lange and O. Dolstra. 1993. Intergeneric crosses for the transfer of resistance to the beet cyst nematode from Raphanus sativus to Brassica napus. Euphytica 68: 111-120. 

  16. Li, Z., H.L. Liu and P. Luo. 1995. Production and cytogenetics of intergeneric hybrids between Brassica napus and Orychophragmus violaceus. Theor. Appl. Genet. 91:131-136. 

  17. Li, Z., J.G. Wu, Y. Liu, H.L. Liu and W.K. Heneen. 1998. Production and cytogenetics of the intergeneric hybrids Brassica juncea $\times$ Orychophragmus and B. carinata $\times$ O. violaceus. Theor. Appl. Genet. 96:251-265. 

  18. Luo, P., Q. Lan and Z.Y. Li. 1994. Orychophragmus violaceus, a potential Edible-oil crop. Plant Breed. 113:83-85. 

  19. Myers, J.R. 2006. Outcrossing Potential for Brassica Species and Implications for Vegetable Crucifer Seed Crops of Growing Oilseed Brassicas in the Willamette Valley. Extension Publication, Oregon State University, USA. 

  20. Rho, S.P., J.K. Bang, S.K. Kim, J.I. Lee, R.K. Park and B.S. Kwon. 1986. A new good quality and high-yielding rape variety, Hallayuchae. Res. Rept. RDA (Crops) 28:208-211 (in Korean). 

  21. Sabharwal, P.S. and J. Dolezel. 1993. Interspecific hybridization in Brassica: Application of flow cytometry for ananlysis of ploidy and genome composition in hybrid plants. Biology Plantarum 35:169-177. 

  22. Seo, M.S., S.Y Won, S.H. Kang and J.S. Kim. 2017. Analysis of flavonoids in double haploid population derived from microspore culture of $F_{1}$ hybrid of Brassica rapa. J. Plant Biotechnol. 44:35-41 (in Korean). 

  23. Wang, Y.P., K. Sonntag, E. Rudloff, I. Groeneveld and J. Gramenz. 2006. Production and charaterization of somatic hybrids between Brassica napus and Raphanus sativus. Plant Cell Tiss. Organ Cult. 86:279-283. 

  24. Zhang, G.Q., G.X. Tang, W.J. Song and W.J. Zhou. 2004. Resynthesizing Brassica napus from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Brassica rapa and B. oleracea through ovary culture. Euphytica 140:181-187. 

  25. Zhao, Z.G., T.T. Hu, X.H. Ge, X.Z. Du, L. Ding and Z.Y. Li. 2008.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intergeneric somatic bybrids between Brassica napus and Orychophragmus violaceus and their backcrossing progenies. Plant Cell Rep. 27:1611- 16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