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간호시뮬레이션 시 학생의 의사소통
Communication of Students in Nursing Simulation using Standard Patient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5, 2018년, pp.267 - 276  

손해경 (성신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김동희 (성신여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학생의 의사소통을 위한 간호 교과과정 내 표준화된 지침이 요구된다. 이에,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간호시뮬레이션 시 학생의 의사소통의 양태를 분석하였다. 2017년 3월부터 6월까지 간호학생 41명의 장염 환아 간호시뮬레이션을 녹화하고 질문지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이는 훈련된 연구원이 필사하고 의사소통 과정 분석에 근거해 내용, 빈도 분석한 결과, 학생은 간호사로서 중립적인 정보 교환을 위한 의사소통을 주로 사용하였고 자기노출(소개), 개방적 질문, 확인, 정보제공, 의견제시, 조언, 눈맞춤 등을 사용하였다. 간호 대상자가 불만을 제기하는 등의 불편한 상황에서 학생은 긴장하거나 경직되었으며 공감적 이해, 치료적 스킨십과 같은 높은 수준의 의사소통은 제한적으로 사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간호 전문성과 간호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치료적 의사소통과 관련된 교육 전략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tegories and frequencies of communication of students in nursing simulation using standard patien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video recording of communication process of 41 nursing students in simulation related to pediatric ente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아직까지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치료적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표준화된 지침이 마련되지 않았고, 간호학생의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학생의 치료적 의사소통에 대한 실제적인 고찰 등을 확인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14,1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의 분석틀을 근간하여 간호시뮬레이션 시 학생들이 사용하는 의사소통 기술을 분석하고 학생들의 실제적인 의사소통의 강점과 문제점, 의사소통과 관련된 교육 방향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추후 간호 시뮬레이션 시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는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간호시뮬레이션 시 학생이 사용한 의사소통을 분석하기 위한 단면적 설계를 이용한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간호시뮬레이션 시 학생이 사용한 의사소통의 범주에 따른 빈도를 분석하고자 시도되었으며, 본 연구 결과의 분류 기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간호시뮬레이션 시 학생이 사용한 의사소통의 범주와 빈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의사소통에 대한 분석 결과는 실제적 간호사례 중심의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대한 근거가 된다.
  • 본 연구에서 간호시뮬레이션 시 적용한 시나리오는 아동간호학 교수 2인이 임상 사례를 바탕으로 장염 환아 간호 및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을 위해 개발하였다. 장염 환아는 만 4세의 남아로 내원 시 설사, 발열, 탈수 증상을 주호소로 입원하였으며 잦은 설사로 인한 피부 통합성장애와 체액 불균형 등의 간호 문제를 동반하고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간호학생이 사용한 의사소통을 분석하고자 시도되었으며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간호시뮬레이션 시 학생이 사용한의사소통의 범주를 확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사소통을 표준화 환자를 혼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으로 교육할 때의 장점은? 국내 간호교육 분야에서도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이 간호임상 실무에 대한 간호학생의 제한적 경험이나 한계를 보완해주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인식되어 실습교육의 효과검증과 관련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13,14]. 특히 의사소통 교육의 경우 임상 상황에 대한 높은 재현성을 가진 환자 시뮬레이터(Human Patient Simulator)와 표준화 환자를 혼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방법이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며 학생들의 학습전이(learning transfer) 상태를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학습전이는 앎을 행동으로 옮기는 것을 의미하며, 특히 간호학생의 학습전이는 간호교육 시 학습한 내용을 실제 간호 임상 상황에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15,16].
이번 연구에 사용된 Bales[18,19]가 제시한 상호작용 과정 분석의 범주는 무엇인가? Bales[18,19]가 제시한 상호작용 과정 분석의 범주는 크게 긍정적 또는 부정적 반응과 중립적인 정보 교환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에서 사용된 각 12개의 범주는 긍정적 반응으로써 친근감, 긴장해소, 주목/동의 보이기와 부정적 반응으로써 긴장, 비우호적 태도, 주목/동의 보이지 않기, 그리고 중립적 정보 교환의 범주로써 제안하기, 의견 제시하기, 정보 제공하기와 같은 답변을 위한 부분과 정보 구하기, 의견 구하기,제안 구하기와 같은 질문을 위한 부분이 있다.
이 연구에서 학생의 의사소통의 분석 절차는 어떻게 되는가? 학생의 의사소통의 분석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간호시뮬레이션 시 학생의 의사소통 전체 과정을 비디오로 녹화하였다. 둘째, 코드화된 분류기준을 토대로 녹화된 내용을 보면서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학생의 의사소통을 확인하기 위하여 학생이 간호시뮬레이션 시 사용한 의사소통기술 가운데 언어적, 언어 외, 비언어적 의사소통 기술의 범주, 유형과 그 빈도를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 J. Lee. (2005). Communication in Nursing. Seoul: Shinkwang Pub;ishing. 

  2. M. R. Song. (2006). An analysis of the nursing research on communica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3(3), 474-484. 

  3. S. Y. Ahn. (2017). The convergence relation of communication,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nurs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6), 147-152. 

  4. I. S. Kwon. (2002). An analysis of research on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5), 706-715. 

  5. E. J. Bong. (2013).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curriculum were utilized group activiti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self-efficacy among nursing stud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13(10), 394-402. 

  6. E. J. Song. (2006). The effects of a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on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student nurses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3(3), 467-473. 

  7. H. K. Son, H. B. Song & D. H. Kim. (2018). Effects of the mother-medical staff partnership on mothers' condition management ability for children with chronic allergic disease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4(1), 101-103. 

  8. K. S. Park, S. Kam, H. S. Kim, J. K. Lee & J. B. Hwang. (2008). Therapeutic compliance and its related factors in pediatrics patients.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51(6), 584-596. 

  9. M. J. Kim, & M. H. Choi. (2011). Knowledge, compliance and quality of lif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7(4), 272-280. 

  10. M. A. Ahn, M. Kwon & S. Y. Oh. (2017). A study on the convergent influencing factors of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perceived by patients and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0), 135-145. 

  11. S. O. Lee, M. Eom & J. H. Lee. (2007). Use of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3(1), 90-94. 

  12. W. S. Lee, K. C. Cho, S. H. Yang, Y. S. Roh & G. Y. Lee. (2009).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combined with simulation on the basic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1), 64-72. 

  13. K. S. Hyun & Y. H. Jeong. (2010). The relationship among clinical competence on diabetic diet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self-efficacy, communic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values of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2(2), 221-228. 

  14. H. M. Yang & S. Y. Hwang. (2016).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ssessment tool for measuring communication skills in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8(1), 95-105. 

  15. I. J. Kemp & L. Seagrave. (1995). Transferable skills-can higher education deliver? Studies in Higher Education, 20(3), 315-328. 

  16. G. R. Nabi & D. Bagley. (1998). Graduates' perceptions of transferable personal skills an future career preparation in the UK. Career Development International, 3(1), 31-39. 

  17. Y. J. Oh & K. S. Han. (2008). Learning transfer of therapeutic communication skills in clinical nursing practicum. Korea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3(1), 60-66. 

  18. R. F. Bales. (1950). Interaction Process Analysis: A Method for the Study of Small Groups. Chicago &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 R. F. Bales. (1970). Personality and Interpersonal Behavior.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20. B. M. Severtsen. (1990). Therapeutic communication demystified.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9(1), 190-192. 

  21. K. S. Han, K. M. Kim, Y. S. Kim, J. W. Park, S. H. Yang & M. S. Jung. (2007).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Seoul: Komoonsa. 

  22. S. B. Im. (2009). Nurse-client therapeutic communication: active listening and feedback. Korea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4(1), 43-48. 

  23. M. H. Jun. (1999). A study about the human communication between clinical nurse and pati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4), 841-854. 

  24. J. W. Park. (2000). The experiences of psychiatric patients about nurses'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9(1), 35-43. 

  25. S. H. Lee. (2017). Effect of nurse practice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job embeddedness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2), 369-380. 

  26. Y. Lee, & G. A. Seomun (2016). Impact of unit-level nurse practice environment on nurse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6), 355-362. 

  27. O. S. Lee & Y. G. Noh (2017).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problem solving skills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2), 349-358. 

  28. Y. H. Song. (2017). Comparing levels of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conbergence competency according to their field experienc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3), 147-152. 

  29. M. S. Choi. (2017). Convergence study about awareness towar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efficacy : centered on the 'S' university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6), 79-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