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준화 환자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imulation Practicum using a Standardized Patient on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and Clinical Competency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3 no.2, 2016년, pp.186 - 194  

정수경 (우송대학교 간호학과) ,  김경아 (우송대학교 간호학과) ,  정은영 (우송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tandardized patient simulation on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and clinical competency. Methods: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f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 환자를 통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 대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주요 간호역량과 관련된 변수 즉,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및 임상수행능력 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통해 표준화 환자를 적용한 다양한 학습모듈 개발 및 평가도구 개발 등에 기초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한다.

가설 설정

  • 가설2. 표준화 환자를 적용한 시뮬레이션교육에 참여한 실험군은 수업 후, 문제해결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3. 표준화 환자를 적용한 시뮬레이션교육에 참여한 실험군은 수업 후, 비판적 사고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4. 표준화 환자를 적용한 시뮬레이션교육에 참여한 실험군은 수업 후, 임상수행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뮬레이션 수업이란 무엇인가? , 2008), 이러한 제약을 극복 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교육이 대두되고 있다(McGaghie, Issenberg, Petrusa, & Scalese, 2010). 시뮬레이션 수업은 임상상황을 근거로 재구성하여 이론과 실습을 병행할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 이론과 실제의 차이에서 느끼는 부담과 스트레스를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다(Eom, Kim, Kim, & Seong, 2010). 이러한 교육방법의 적용을 통해 병원실습에서 미흡하게 반영되고 있는 직접 수행부분을 안전한 환경인 시뮬레이션 상황 속에서 경험할 수 있어 실습현장에서의 적응력을 높일 수 있고 학생들의 부담을 줄이면서 효율적 지도를 가능하게 하였다(Kim, 2012; Lee, Park, & Noh, 2013; Lee, Roh, Jang, Ryoo, & Park, 2010).
표준화 환자활용 시뮬레이션 교육의 장점은 무엇인가? 표준화 환자활용 시뮬레이션 교육은 일반인이 질병을 가진 환자 역할을 수행하도록 전문적 훈련을 받아 학생들의 실습 교육에 참여하게 된다(Kim, 2012). 표준화 환자를 활용하면 실제적인 의사소통능력 향상(Gliva-McConvey, 2014)에 도움을 줄 수있으며,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 사고 능력을 습득하는데 효과가 있다(Samuel, Tracy, Helen, & Ritin, 2010). 실제로 표준화 환자를 실제 환자에게 하듯이 의사소통하면서 건강사정과 간호중재를 실시하는 등 이러한 실습 활용은 학생들의 흥미를 높일뿐만 아니라 신체검진 수기를 배우고 익혀 임상수행능력 또한 향상된다(Choi et al., 2008).
임상 실습 교육이 변화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에 최근 간호교육은 성과중심 교육체제를 바탕으로 임상현장에서 요구되는 간호사 역량을 갖춘 학생을 배출할 수 있도록 간호 교육의 질 관리를 강조하고 있다(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4). 그러나 임상 실습 교육은 현대 의료소비자들의 권리의식이 신장되고, 수준 높은 의료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고객 만족도 제고가 의료현장의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어 직접적인 간호수행의 기회는 점차 축소되고 주로 관찰에 의존하는 실습으로 변화되고 있는 실정이다(Choi, Jang, Choi, & Hong, 2008). 또한, 2009년도부터 간호 대학생 입학 정원이 대폭 확대된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임상실습기관의 수는 변화가 없어 간호 대학생들이 간호 실무를 충분히 훈련받기에는 더 많은 한계가 발생되었다(Lee & Hahn,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mbini, D., Washunrn, J., & Perkins, R. (2009). Outcomes of clinical simulation for novice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confidence, clinical judgment.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0(2), 79-82. 

  2. Choi, J. Y., Jang, K. S., Choi, S. H., & Hong, M. S. (2008).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1), 83-91. 

  3. Choi, M. S. (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effectiveness of clinical nursing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4.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5. Eom, M., Kim, H., Kim, E., & Seong, K. (2010). Effects of teaching method using standardized patients on nursing nompetence in subcutaneous injecti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2), 151-160. 

  6. Elfrink, V. L., Nininger, J., Rohig, L., & Lee, J. (2009). The case for group planning in human patient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0(2), 83-86. 

  7. Gliva-McConvey, G. (accessed Oct., 2, 2014). Definition of an SP, from http://www.aspeducators.org/node/48. 

  8. Jang, H. J., Kim, J. H., Ji, E. J., Jung. D, Y., Lee, S. H., Kim, S. H., Jeon, H. J., Shin, H. S., Park, S. Y., Choi, E. H., Song, Y. S., Kim, O. H., Lee, K. J., Choi, E. Y. & Jeong, H. C. (2016). The study on current status of simulation based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4(1), 1-12. 

  9. Kim, D. H., Lee, Y., Hwang, M. H., & Park, J. H. (2012).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integrated clinical practice program(SICPP) o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clinical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in a nursing atud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3), 499-509. 

  10. Kim, H., Choi, E., Kang, H., & Kim, S. (2011). The relationship among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attitude, self-efficacy and the nurs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fter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emergency nursing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1), 5-13. 

  11. Kim, S. H., & Park, I. S. (2015). Effects of simulation practice by applying problem based learning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solving process and self-confidence of nursing proces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3(2), 1-11. 

  12. Kim, S. (2012). Effects of simulation-based practice using standardized patients for the care of women with postpartum hemorrhage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performance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deposition. Korean Parent Child Health, 15(2), 71-79. 

  13. Kim, Y., & Kang, H. (20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imulation learning scenario using standardized patients:caring for neurological patients in particular. Korea Contents Association Review, 13(11), 237-248. 

  14.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accessed Oct., 2, 2014). http://www.kabon.or.kr/HyAdmin/view.php?&bbs_idkab01&page&doc_num446. 

  15. Lee, M. S., & Hahn, S. W. (2011). Effect of simulation-based practice on clinical performance and problem solving process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2), 226-234. 

  16. Lee, S. J., Roh, Y. S., Jang, K. I., Ryoo, E. N., & Park, Y. M. (2010). Comparison of multi-mode simulation and simman(R) simulation on evaluation of nursing care for patients with dyspnea.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1), 51-60. 

  17. Lee, S. J., Park, Y. M., & Noh, S. M. (2013). The effects of simulation training with hybrid model for nursing students on nursing performance ability and self confidenc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5(1), 170-182. 

  18. Lee, W. S., Cho, K. C., Yang, S. H., Roh, Y. S., & Lee, G. Y. (2009).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combined with simulation on the basic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1), 64-72. 

  19. McGaghie, W. C., Issenberg, S. B., Petrusa, E. R., & Scalese, R. J. (2010). A critical review of simulation-based medical education research : 2003-2009. Medical Education, 44(1) 50-63. 

  20. Park, H., Han, J., Park, M., & Oh, J. (2004). Comparison of results from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s for medical students performed before and after clinical clerkship.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16(1), 63-71. 

  21. Parker, R. A., McNeill, J. A., Pelayo, L. W., Goei, K. A., Howard, J. J., & Gunter, M. D. (2011). Pediatric clinical simulation: a pilot project.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0(2), 105-111. 

  22. Reznick, R. K., Sydney, S., Baumber, J., Cohen, R., Rothman, A., &. Blackmore, D. (1993). Guideline for estimating the real cost of an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Academic Medicine, 68(7), 513-517. 

  23. Samuel. L., Tracy, L. J., Helen, B. & Ritin, F. (2010). Effectiveness of patient simulation manikins in teaching clinical reasoning skills to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Simulation in Nursing, 6(6), 207-222. 

  24.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 News, (accessed Jul., 12, 2016). http://www.nursenews.co.kr/main/ArticleDetailView.asp?sSection62&idx20383. 

  25. Wallace, P. (2007). Coaching standardized patients: For use in the assessment of clinical competence. New York, NY:Springer Publishing. 

  26. Woo, O. H. (2000). The effects of a PBL o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of students by their meta-cognitive leve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27. Yang, J. (2006). Effects of problem based learn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2(2), 287-294. 

  28. Yang, J. J. (2012). The effect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the knowledge and clinical competenc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1), 14-24. 

  29. Yoo, M. S.(2001). The effectiveness of standardized patient managed instruction for a fundamental nursing cours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7(1), 94-112. 

  30. Yoon, J. (2004).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 In nurs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