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의 이용동기에 대한 이용자의 태도 분석 - 개인성향을 조절 효과로 -
An Analysis of Users Attitudes toward the Motivation of Mobile Messenger Emoticons - Moderating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5, 2018년, pp.407 - 417  

권미정 (단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커뮤니케이션학) ,  김종무 (단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커뮤니케이션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의 이용동기가 무엇이며, 이용동기와 구매의도간의 영향관계에서 개인성향(외향성/내향성)은 조절역할을 할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모바일 메신저를 사용하는 10대-60대의 198명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이를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 이용동기 요인은 "유희성 요인", "유용성 요인", "간결성 요인", 그리고 "범용성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 이용동기 중 유희성만이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의 사용자의 개인성향중 외향적인 성향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tives for using emoticons on mobile messengers and determine whether an individual's character (extrovert/introvert) played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es and purchase intention. To achieve that, this study had 198 users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게 이모티콘의 시각적 부분과 관계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양한 연구는 진행이 되고 있으나 이모티콘의 이용 동기에 대한 분석과 개인성향에 따른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급증하는 이모티콘 사용자에 대한 연구를 심도있게 진행하여 향후 이모티콘 이용자들에게 보다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최근의 연구인 마크로밀엠 브레인(2015.
  • 본 연구는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의 이용동기가 무 엇이며, 이용동기와 구매의도간의 영향관계에서 개인성향(외향성/내향성)은 조절역할을 할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모바일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모바일 메신저를 사용하는 10대~60대의 사용자 198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의 이용동기가 무엇이며, 이용동기와 구매의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개인성향(외향성/내향성)은 조절역할을 할 것인지를 알아보고 자, 모바일 메신저를 사용하는 10대-60대의 198명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이를 분석 하였으며, 연구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그리고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을 서술한다.
  • 본 연구는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의 이용동기가 무엇이며, 이용동기와 구매의도간의 영향관계에서 개인성향(외향성/내향성)은 조절역할을 할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연구 모형은 Fig. 1과 같다.
  • 이모티콘은 점차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에서 모바일 이모티콘 시장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모바일 메신저에서 개인의 성격에 따른 차이가 이모티콘 사용자의 지속적인 이용의도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이용자들의 편의에 맞는 양질의 이모티콘 개발을 위한 유용한 기초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A(1992)[9]는 소비자 행동을 예상하는 중요한 요소로 구매의도를 정의하였으며, 소비자가 제품 구매와 관련하여 특정한 행동을 하려고 하는 의도가 외부로 표출된 성향으로 보았다. 이처럼 구매의도는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려는 의지 또는 행동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요소이기에 어떠한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 이용동기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연구문제 2를 제시 하였다.
  • 즉 고객의 행동을 유발하는 다양한 동기요인을 고찰하여 고객의 심리적 의사결정 과정을 파악하고 만족시키며, 기업의 성과 창출에 기여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이용 동기는 고객이 제품 구매에 있어 의사결정에 참여하며 경제적 이윤 창출에 영향을 제공하기 떄문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이용자들이 어떠한 이유로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을 이용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문제 1을 제 시 하였다.

가설 설정

  • 연구가설 3-7. :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의 이용동기 중 간결성은 구매의도간의 영향에 있어 사용자의 내향적인 태도가 정(+)의 조절효과를 발휘할 것이다.
  • 연구가설 3-3. :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의 이용동기 중 간결성은 구매의도간의 영향에 있어 사용자의 외향적인 태도가 정(+)의 조절효과를 발휘할 것이다
  • 연구가설 3-8. :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의 이용동기 중 범용성은 구매의도간의 영향에 있어 사용자의 내향적인 태도가 정(+)의 조절효과를 발휘할 것이다.
  • 연구가설 3-4. :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의 이용동기 중 범용성은 구매의도간의 영향에 있어 사용자의 외향적 인 태도가 정(+)의 조절효과를 발휘할 것이다.
  • 연구가설 3-6. :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의 이용동기 중 유용성은 구매의도간의 영향에 있어 사용자의 내향적인 태도가 정(+)의 조절효과를 발휘할 것이다.
  • 연구가설 3-2. :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의 이용동기 중 유용성은 구매의도간의 영향에 있어 사용자의 외향적인 태도가 정(+)의 조절효과를 발휘할 것이다.
  • 연구가설 3-5. :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의 이용동기 중 유희성은 구매의도간의 영향에 있어 사용자의 내향적인 태도가 정(+)의 조절효과를 발휘할 것이다.
  • 연구가설 3-1 :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의 이용동기중 유희성은 구매의도간의 영향에 있어 사용자의 외향적인 태도가 정(+)의 조절효과를 발휘할 것이다.
  • 연구가설 3: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의 이용동기와 구매의도간의 영향관계에서 개인성향(외향성/내향성)은 조절역할을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의 결과로 기업에서 유희성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이모티콘을 제작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분석 결과 첫째,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 이용동기 요인은 “유희성 요인”, “유용성 요인”, “간결성 요인”, 그리고 “범용성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 이용 동기 중 유희성만이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기업에서 이모티콘을 기획, 제작에 있어 사용자에게 재미요소인 유희성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이모티콘을 제작해야 할 것이다.
이모티콘은 무엇인가? 이모티콘은 픽토그램(Pictogram)의 한 종류로 언어나 문자가 글을 모르는 다른 사람이 보아도 이해가 가능하 도록 만든 그림문자라고 할 수 있다. 이모티콘은 감정을 뜻하는 “Emotion”, 과 아이콘 “Icon”이 조합하여 만들어진 단어로 온라인 공간에서 감정을 풍부하게 전달하고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비언어적 시각언어이다(황하 성, 박성복2013)[4].
이모티콘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모티콘은 감정을 뜻하는 “Emotion”, 과 아이콘 “Icon”이 조합하여 만들어진 단어로 온라인 공간에서 감정을 풍부하게 전달하고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비언어적 시각언어이다(황하 성, 박성복2013)[4]. 이모티콘은 문자, 기호, 숫자와 이미지들의 조합으로 표현되며 웹상에서 메신저와 스마트폰으로 자신의 감정이나 의사의 표현, 특정 사물의 묘사를 글자를 대신하여 다양한 이미지로 표현하고 전송이 가능한 새로운 비언어적 표현 수단으로 언어의 빠른 정보전달, 기호의 함축적 표현, 사용자간의 친밀감의 조성이 가능하며, 특히 감정표현과 다양한 언어구사가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Y. M. Lee. (2013). Study on Visual Creatibility and Communication of SNS Mobile Messenger Emoticons. Doctorate's doctor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DOI : 10.21326/ksdt.2013..38.009 

  2. E. J. Park. (2017). The Impact of Boss's Communication Strategies on Employees' Impression and Job Immersion : Focused on Humor and Emoticons. Doctoral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Business. Gwangju. DOI : 10.5934/kjhe.2011.20.3.651 

  3. H. K. Lee. (2016).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Japan on the Effects of Mobile Messenger Emoticons on Purchase Intentions. Master's degree. Hongik University. Seoul. DOI : 10.13087/kosert.2013.16.1.071 

  4. H. S. Hwang & S. B. Park. (2012). Using Emoticons in Text Messages : Focused on the Relations between Use Motives and Social Existencies. Media, Gender & Culture, 11(1), 133-162. DOI : 10.15344/2349-2635/2014/107 

  5. S. T. Joe. (2006). The research regarding the emoticon design from interface environment-the flash cone in the center. Information Design, 9 (Single Issue), 289-302. DOI : 10.17280/jdd.2007.7.1.004 

  6. R. S. Woodworth. (1973). psychology. NY: Henry Holt and Company. DOI : 10.1037/13498-025 

  7. J. M. Mcleod. & L. B. Becker. (1981). The Uses and Gratification Approach. Hanfbook of political communication. Beverly Hills. CA: Sage. DOI : 10.4135/9781412953993.n682 

  8. James F. Engel. & D. Blackwell. Roger (1982). Consumer Behavior. 4th ed.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DOI : 10.1080/00913367.1979.10673276 

  9. D. A. Aaker. (1992). The Value of Brand Equity, Journal of Business Strategy, 14(4), 1-885. DOI : 10.1017/s0008423900048009 

  10. R. Landers & J. Lounsbury. (2006). An Investigation of Big Five and Narrow Personality Traits in Relation to Internet Usag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2(2), 283-293. DOI : 10.1016/j.chb.2004.06.001 

  11. S. Y. Kim& H. W. Jeon. (2018).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 Persons on Job Flow and Career Flow in Hotels : based on the 5 Factors of personality. Tourism Studies, 23(2), 239-257. DOI : 10.1016/j.paid.2017.03.058 

  12. Y. Kim & J. Jeong. (2005). Personality Predictors for the Use of Multiple Internet Functions. Internet Research, 25(3), 399-415. DOI : 10.1108/intr-11-2013-0250 

  13. H. J. Lee. (2012). Study on the Interrogators of Interaction and Consumer's Interjection into SN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Business. Seoul. 

  14. S. J. Kim. (2014). Comparative Study on Emoticons Properties of Mobile Messenger: Focused on Kakao Talk, Line, Facebook, Watslab. Digital Design Studies, 14(3), 73-82. DOI : 10.17280/jdd.2014.14.3.008 

  15. H. S. Hwang & S. B. Park. (2012). Using Emoticons in Text Messages : Focused on the Relations between Use Motives and Social Existencies. Media, Gender & Culture, 11(1), 1589-1597. DOI : 10.4018/978-1-60566-652-5.ch115 

  16. G. Y. Mun. (2015). A Study on the Effects of Mobile Instant Messenger Emoticons Properties on Satisfaction and Purchasing Intentions. Master's degree. Hongik University. Seoul. 

  17. I. S. Lee, K. H. Lee, J. W. Choi, S. H. Yang, S. T. Im, W. Seok & J. W. Kim. (2008). An Empirical Study on the Theory. Integration Model of User Satisfaction and Emotion, 37(5), 1171-1203. DOI : 10.1117/12.804668 

  18. J. H. Yoo. (2010). A Study on the Consumer's Acceptance and Post-Acceptable Behavior. Doctoral degree. Korea University's Graduate School. Seoul. 

  19. W. M. Ahn, J. W. Kim & K. H. Han. (2010). Emotional Effect of Emoticons on the Interpretation of Messages : Focused on the Cell Phone Text Message Status. published by HCI , 5(1), 1-11. DOI : 10.17210/jhsk.2010.05.5.1.11 

  20. G. Y. Mun. (2015). A Study on the Effects of Mobile Instant Messenger Emoticons Properties on Satisfaction and Purchasing Intentions, Master's degree. Hongik University. Seoul. 

  21. M. S. Park. (2011). A Study on the Human Relation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Job performance by the Types of Character: Focused on the Investigation staff of five-star hotels in Seoul. Journal of Korea Service Management Society, 12(3), 57-86. DOI : 10.15706/jksms.2011.12.3.003 

  22. K. V. Petrides. & A. Furnham. (2000). On the dimensional structure of emotional intellige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9(2), 313-320. DOI : 10.1016/s0191-8869(99)00195-6 

  23. Y. H. Cho. (2017). The Effect of SNS Characteristics of Hotel Firms on Brand Attitudes and Purchasing Intentions, Professor of Tourism Management at University of Sejong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Hotel. Seoul. 

  24. R. P. A Bagozzi. (1983). Holistic Methodology for Modelling Consumer Response to Innovation. Operations Research, 31(1), 128-176. DOI : 10.1287/opre.31.1.128 

  25. R. Landers & J. Lounsbury. (2006). An Investigation of Big Five and Narrow Personality Traits in Relation to Internet Usag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2(2), 283-293. DOI : 10.1016/j.chb.2004.06.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