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TEAM 수업에서의 멘토교사 경험이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수 역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entoring Experience in STEAM Classes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for STEAM Educ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2 no.1, 2018년, pp.1 - 22  

한혜숙 (단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STEAM 수업에서의 멘토교사 경험이 예비수학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 교수 역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사범대학과 연계된 중학교 자유학기제 수학탐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23명의 예비수학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수행되었다.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수 역량의 변화 및 멘토교사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STEAM 교수 역량 검사와 수업 일기 및 간담회 자료 분석 결과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STEAM 수업에서의 멘토교사 경험은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지식, 교과내용지식, 교수학습방법, 수업상황 및 환경 역량 함양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특히,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STEAM 수업에서의 현장 경험이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이해 향상과 더불어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entoring experience in STEAM classes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for STEAM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3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mentoring program affiliated with free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설명식 수업, 강의식 수업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사용한 효과적인 교수 방법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예비교사O의 수업 일기 내용 중-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들에게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대학과 연계된 자유학기제 STEAM 수업에 멘토교사로 참여하게 하여 멘토교사 경험이 예비수학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 교수 역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자유학기제와 연계된 STEAM 수업에서 이루어진 멘토교사 경험이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수 역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연구자 : 이번 STEAM 수업에서 멘토교사로 참여하면서 아쉬웠던 점이 있다면 무엇이었는지 이야기를 해 봅시다.
  • 김선영, 전재형, 2016; 손연아, 2012; 주미경, 김래영, 2016; 주미경 외, 2016; 최숙영 외, 2015; 한혜숙, 2015; 홍예윤, 2014)가 주를 이루고 있다. 예비교사교육 과정에서 이루어진 선행연구들은 주로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STEAM 또는 융복합 교육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러한 프로그램이 예비교사들의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이나 이해도, 교수 지식 또는 핵심역량, 신념, 문제해결력 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예비수학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융합교육 수업 사례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STEAM 수업 경험이 예비수학교사들의 지식 및 태도 측면에서 융합인재교육 핵심역량의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되었고(한혜숙, 2015), ABCD기반 융복합 교사 교육 프로그램은 예비교사들의 수학교육의 목표, 교사의 역할, 맥락에서의 교육 현상의 이해와 관련해서 긍정적인 신념의 변화를 야기한 것으로 보고되었다(주미경, 김래영, 2016).
  • 2016년도에 A사범대학의 수학교육과에서는 인근의 B중학교와 연계하여 대학과 연계된 자유학기제 수학 탐구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개발 목적은 사범대학과 학교 현장과의 연계를 통해 예비교사들의 현장역량 강화 및 지역 사회에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자유학기제 수학 탐구 프로그램은 10차시로 구성된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수업4)과 5차시로 구성된 공학도구를 활용한 수학 수업으로 구성되었다.
  • 함수를 IoT 시대가 되면서 이슈가 특히 되고 있는 보안과 관련하여 도입함으로써 학생들의 함수에 대한 관심과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방법에 대해서 배웠다. -예비교사Q의 수업 일기 내용 중-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TEAM-PCK는 무엇인가? STEAM-PCK는 STEAM 수업의 전문성을 나타내는 PCK 요소로 STEAM 수업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 내용적 융합 범주에서 교과내용지식, 교육과정지식, 교수방법지식, 학생지식, 평가지식, 상황지식 등이 상호복합적으로 결합하여 발현되는 명시적 지식(p. 73).
4차 산업혁명에 따라 교육계에서는 대표적으로 교육을 하고 있는가? 31)으로 설명하였고, 이를 토대로 제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미래 사회의 변화는 과학 기술의 혁신 및 융합으로 볼 수 있다. 이에 교육계에서도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STEM 및 융합인재교육(STEAM)을 들 수 있다.
수업의 질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는 무엇인가? 여러 연구를 통해서 교사는 학생들의 학습 활동 및 학업성취도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임임이 보고되었다(이현숙, 송미영, 2015; Hattie, 2003; Sanders, 1998). 즉, 교사의 전문성 또는 역량이 수업의 질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가 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Shulman(1986)이 교사의 지식 또는 전문성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개념을 정립하기 위하여 교수학적 내용 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에 대한 개념을 체계화한 이후로 교사의 전문성 또는 교사의 지식과 관련해서 수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교육부 (2010). 2011년 업무계획 :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Retrieved from http://lib.msip.go.kr/Search/Detail/14433?key (Ministry of Education (2010). Major business plan of MEST for 2011, Retrieved from http://lib.msip.go.kr/Search/Detail/14433?key) 

  2. 김방희, 김진수 (2013). STEAM 교육의 PCK 유형 탐색을 위한 분석틀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2), 63-85.(Kim, B-H., Kim, J-S. (2013). Development of Analysis Framework for Exploring PCK Type in STEAM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3(2), 63-85.) 

  3. 김방희, 김진수 (2016). STEAM 교육의 교수역량 평가지표에 대한 중등학교 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6(1), 122-140. (Kim, B-H., Kim, J-S. (2016).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n Evaluation Indicators for Teaching Competency in STEAM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6(1), 122-140.) 

  4. 김선영, 전재형 (2016).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생물교사의 융합에 대한 태도, 문제해결능력 및 교수지식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4(1), 100-113. (Kim, S. Y., Jeon, J. H. (2016). The Effects of STEAM Education Program on Preservice Biology Teachers' Attitude toward Convergenc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edagogical Knowledge, Biology Education, 44(1), 100-113.) 

  5. 김은주 (2010). 실천적 지식의 탐색: 교사교육에의 함의와 문제, 한국교원교육연구, 27(4), 27-46. (Kim, E-J. (2010). A Study on Practical Knowledge: The Implication on Teacher Education and Problem.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7(4), 27-46.) 

  6. 박남제, 신애경, 김희필, 최근배, 장승희, 고대훈, 계광선, 이광재, 이동혁, 김푸름, 이지은 (2017). 2016년 융합인재교육 예비교사 지원센터 최종보고서, 한국과학창의재단. (Park, N., Shin, A., Kim, H., Choi, K., Jang, S., Ko, D., Kye, K., Lee, K., Lee, D., Kim, P., Lee, J. (2017). STEAM Education for Preliminary Teacher Support, Kofac.) 

  7. 백성혜, 김종우, 최성욱, 이영준, 최정아, 양경은, 정경식, 최정원, 이슬비, 전민철, 김경은 (2012). STEAM 교육실현을 위한 사범대학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27. (Baek, S., Kim, J., Choi, S., Lee, Y., Choi, J., Yang, K., Jung, K., Choi, J., Lee, S., Jeon, M., Kim, K. (2012).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of secondary school, Kofac 2012-27.) 

  8. 손연아(2012). 예비과학교사들의 과학과 예술 융합 수업 준비와 시연과정에서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 및 수업 분석과 피드백-영화와 연극 접목 융합 수업을 중심으로, 생물교육, 40(4), 475-493. (Son, Y-a. (2012).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STEAM Education and Analysis of Science and Art STEAM Class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Biology Education, 40(4), 475-493.) 

  9. 손연아, 정시인, 권슬기, 김희원, 김동렬 (2012). STEAM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 13(1), 255-284. (Son, Y-a., Jung, S-i., Kwon, S-k., Kim, H-w., Kim, D-r. (2012). Analysis of Prospective and In-Service Teachers' Awareness of STEAM Convergent Education,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13(1), 255-284.) 

  10. 신동희, 김정우, 김래영, 이종원, 이현주, 이정민 (2012). 융합형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6(1), 371-398. (Shin, D., Kim, J., Kim, R., Lee, J., Lee, H., Lee, J. (2012). Development of Interdisciplinary Teacher Education Program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6(1), 371-398.) 

  11. 신영준, 한선관, 김혜경, 온정덕, 조고은 (2012). STEAM 교육 실현을 위한 교?사대 교육과정 개발 연구 :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28. (Shin, Y., Han, S., Kim, H., On, J., Cho, K. (2012). Development of Curriculum 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or STEAM Education, Kofac 2012-28.) 

  12. 이지원, 모진우, 김형준, 신지은, 양성호, 손정주, 이재영, 김중복 (2017). 융합인재교육의 현장적용을 경험한 예비 교사의 융합인재 지도역량 향상에 대한 인식조사, 현장과학교육, 11(1), 113-128. (Lee, J., Mo, J., Kim, H., Shin, J., Yang, S., Son, J., Lee, J., Kim, J. B. (2017). Perception of the Improvement of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Competencies through the Practical Training of STEAM Education, School Science Journal, 11(1), 113-128.) 

  13. 이현숙, 송미영 (2015). PISA 2012 수학 성취도를 설명하는 학생의 정의적 특성 및 교사 특성 분석을 위한 다층 구조방정식모형의 적용, 교과교육학연구, 19(1), 137-158. (Yi, H. S., Song, M-Y. (2015). A multi-level SEM approach for the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Math-related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and Math Literacy of PISA 2012,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9(1), 137-158.) 

  14. 임청환, 오보정 (2015).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과 요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1), 1-11. (Lim, C-h., Oh, B-j. (2015).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on STEAM Edu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8(1), 1-11.) 

  15. 주미경, 김래영 (2016). ABCD기반 융복합교사교육 강의 운영 사례: 예비수학교사 신념체계에 대한 영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0), 1281-1309. (Ju, M. K., Kim R. Y. (2016). A Case Study of ABCD-based Yungbokhap Teacher Education: Analyzing Its Impact on Pre-service Teachers' Beliefs about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10), 1281-1309.) 

  16. 주미경, 장민정, 문종은, 박미영, 정수용 (2016). ABCD 기반 융복합교사교육 맥락에서 예비수학교사 신념체계의 변화: 수업 실연에 대한 동료 평가자료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1), 1083-1114. (Ju, M. K., Jang, M. J., Moon, J. E., Park, M. Y., Jung, S. Y. (2016). Change in preservice teachers beliefs about mathematics teaching in the context of ABCD based Yungbokhap Teacher Education: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evaluation of microteaching,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11), 1083-1114.) 

  17. 최숙영, 이재원, 노태희 (2015). 중등 예비과학교사의 STEAM 수업 시연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4), 665-676. (Choi, S., Lee, J., Noh, T. (2015). A Case Study of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Demonstration of STEAM Less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asearch in Science Education, 35(4), 665-676.) 

  18. 클라우스 슈밥 (2016). 제4차 산업혁명 (송경진 역). 서울: 새로운 현재. (원저 2016년 출판) (Schwab, K.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K. J. Song, Trans.), Seoul: New present) 

  19. 한혜숙 (2015). 코티칭 전략을 활용한 STEAM 수업이 예비수학교사의 융합인재교육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2), 283-317. (Han, H. (2015). The effect of STEAM course using co-teaching strategies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core competencies for STEAM,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12), 283-317.) 

  20. 현은령 (2017). 공학계열 교직전공 예비교사의 STEAM교육 이해도 및 인식현황, 공학교육연구, 20(2), 3-8. (Hyun, E. (2017). The Present Status for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STEAM Education in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Teaching Profession of Engineering System,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20(2), 3-8.) 

  21. 홍예윤 (2014). STEAM 교육을 위한 예비교사들의 그래핑 계산기 활용,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3), 355-372. (Hong, Y. (2014). Pre-service teachers' practical use of graphing calculators for STEAM 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0(3), 355-372.) 

  22. Hattie, J. (2003). Teachers make a difference: What is the research evidence?, Keynote presentation at the Building Teacher Quality: The ACER Annual Conference, Melbourne, Australia. 

  23. Sanders, W. L. (1998). Value-Added Assessment. The School Administrator, 55(11), 24-32. 

  24.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