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학계열 장기현장실습(IPP) 참여자 반응 및 행태분석
Analysis of Response and Behavior of Engineering Students Participated in Long-Term Field Practice (IPP) 원문보기

JPEE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10 no.2, 2018년, pp.131 - 137  

김동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입 4년차인 IPP제도의 성과를 공학계열 참여자의 관점에서 중간평가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결과 IPP에 참여한 공학계열 학생들은 진로선택 도움, 취업경쟁력 제고 등의 IPP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가운데 조사대상 3개년간 긍정적 인식수준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IPP종료 시점에 평가한 참가자 자신들의 전공 역량, 비전공 역량 수준 역시 3개년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반면 실습기업과 운영대학에 대한 만족도는 3개년간 보통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IPP제도를 후배나 동료에게 추천할 의향은 3개년간 보통수준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희망직무와 IPP 참여직무가 일치할수록 IPP효과에 대해서 긍정적 평가를 하였고 IPP제도 추천의향 역시 크게 증가하였다. 이를 종합하면 IPP참가자들이 인식하는 지난 3년간의 IPP성과는 전반적으로 긍정적 수준에 있으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직무적합성 정도가 IPP효과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IPP system were examined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was suggested from the viewpoint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long-term field practice. The participating students recognized that the IPP system was helpful in enhancing their major competence, non-major com...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IPP사업이 지난 4년간의 성장으로 본 궤도에 오른 만큼 현재 시점에서 IPP사업의 효과를 중간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안정적 제도발전에 필요한 개선방안들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IPP에 참여한 학생들의 IPP성과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 참여자의 인식을 활용하는 이유는 참여대학 수, 실습 기업 수, 참여 학생 수와 같은 IPP의 외형적 성과지표의 경우 본 사업 시행 이후 투입된 정부 재정지원 규모 증가에 비례하는 당연적 지표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지난 3년간의 IPP참여학생 만족도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IPP참여학생의 관점에서 IPP 성과를 분석하고 참여자들의 참여특성에 따른 성과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 뿐만 아니라 IPP참여 전과 후에 각각 측정된 값의 차이로 성과를 파악하다 보니 IPP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은 경우 IPP의 실제 성과와 무관하게 성과가 낮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었으며[4], 무엇보다 참여기간이 4개월임을 고려할 때 참여 전후의 역량차이를 인식하는 것은 힘듦에도 이를 비교하여 성과를 분석했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난 3년간 (2015년~2017년) IPP에 참가한 실습학생들이 각각 IPP종료 시점에 응답한 IPP효과 인식 정도, IPP만족도, IPP 종료시점에 인식하는 자신의 전공역량, 비전공역량 수준 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이들 측정값들의 년간 변화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IPP의 성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선행연구에서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사전, 사후 측정의 문제점을 극복하였고, 참가자들의 전공계열 또한 구분하여 공학계열 참가자만을 대상으로 IPP참여 성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PP제도는 무엇인가 IPP제도는 북미의 Co-op (co-operative education) 교육모델을 국내 대학실정에 맞게 수정한 산학협력모델로서 교육과 실무의 미스매칭, 전공과 직무의 미스매칭을 줄여 구직자인 대학 졸업자와 구인자인 기업이 상호 윈윈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기 현장실습제도이다. 2012년 코리아텍에서 시범사업으로 시작한 IPP는 2015년 부터 전국 13개 대학으로 확산 되었으며, 2018년 8월 현재 총 38개 대학, 1,282개 실습기업, 2800여명의 실습학생이 참여하는 4년제 대학의 대표적인 장기현장실습 사업으로 성장하였다.
IPP관련 선행연구는 어떤 연구들이 중심을 이루고있는가? IPP관련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IPP제도의 개념을 소개하거나 IPP운영모델 제안, 학제개편 방안, 성과평가 방안 등을 제안하는 IPP제도의 내용과 운영에 대한 연구들이 중심을 이 루고 있다. 구체적으로 Oh 등[1]은 북미 Co-op (co-operative education) 교육모델을 소개하면서 IPP제도와의 차별성을 정리하였고, IPP제도의 장점을 학생과 기업의 입장에서 각각 도출한 바 있다.
IPP장기현장실습에 참여한 학생 수는 지역별, 전공별로 어떻게 나타나고있는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개년간 IPP장기현장실습에 참여한 학생 수는 표 1과 같이 매년 급증하였으며, 2018년 8월 현재 참여자 2,800여명을 포함하면 4년간 누적 참여자 수는 약 11,500여명에 이른다. 지역별로는 호남지역(28.2%) 참여 학생이 가장 많은 가운데 다음으로 서울(25.7%), 경기/인천 지역(20.2%)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공계열은 공학계열(51%) 참여자가 절반 수준을 차지하고 있고, 경영/경제계열(30.6%)이 그 다음으로 두 계열의 참여자가 전체 참여자의 80%를 상회하고 있다. 한편, 실습기업의 수도 꾸준히 증가하여 2015년 723개, 2016년 1,356개, 2017년 1,927개로 나타났으며, 운영 대학 역시 2015년 13개, 2016년 23개, 2017년 32개 대학으로 지속적으로 늘어 2018년 8개 참가대학까지 포함 총 38개(2개 대학은 선정취소) 대학이 IPP사업에 참여 중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

  1. C. H. Oh, J. H. Ha, N. H. Kim, and M. S. Lee, "Industry.Government.University related professional practice model for higher education,"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vol. 3, no. 2, pp. 128-135, December 2011. 

  2. C. H. Oh, J. H. Ha, N. H. Kim, J. S. Cho, and K. Y. Om, "Academic program operation for the 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implementation,"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vol. 4, no. 2, pp. 110-115, December 2012. 

  3. K. Y. Om and C. H. Oh,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KOREATECH IPP program: Focusing on the main operation of 2013,"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vol. 6, no. 1, pp. 57-64, June 2014. 

  4. M. S. Lee, C. H. Oh, N. H. Kim, and J. H. Ha,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for successful introduction and operations for IPP program,"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vol. 4, no. 1, pp. 86-92, June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