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중집단분석을 활용한 장기현장실습 프로그램 성과 영향요인 간의 구조관계 연구: K대학 IPP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formance influence factors of long-term on-site training using multi-group analysis: Focusing on IPP of K university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3 no.2, 2020년, pp.49 - 60  

이지영 (한국기술교육대학교 IPP센터) ,  이상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group characteristics in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 requirements on practice performance in university long-term on-site training.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job sco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장기현장실습 프로그램 성과에 관련된 요인들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에서 실습특성(실습범위, 실습내용, 실습지도, 복리후생), 실습만족, 실무역량 간의 영향관계가 집단 특성(성별, 전공유형. 기관유형)에 따라 어떠한 구조관계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장기현장실습 프로그램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구조가 집단 간에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실습범위, 실습내용, 실습지도, 복리후생의 실습 특성요인이 실습성과로써 실습만족과 실무역량에 미치는 영향이, 집단특성(성별, 전공유형, 기관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장기현장실습 프로그램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구조가 집단 간에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실습범위, 실습내용, 실습지도, 복리후생의 실습 특성요인이 실습성과로써 실습만족과 실무역량에 미치는 영향이, 집단특성(성별, 전공유형, 기관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계한 연구 모형은 Fig.
  • 이에 이 연구는 장기현장실습 프로그램의 실습특성(실습범위, 실습내용, 실습지도, 복리후생)과 실습성과로서 실습만족 및 실무역량과의 관계가 집단특성(성별, 전공유형, 기관유형)에 따라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지 실증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으로 어떤 인재가 요구되고 있는가? 사회적으로 학력중심의 스펙보다는 조직문화에 적응하여 직무를 능숙하게 수행할 수 있는 현장지향적인 역량을 지닌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최근 지식과 정보가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이제는 단순히 전문지식과 기술을 갖추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고 협력하여 유연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에 주목하고 있다.
공과계열 엔지니어 채용에서 어떤 자질을 중요한 평가요소로 보고 있는가? 직무중심의 능력있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제시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도 산업현장에서 직업인에게 필요한 역량으로 전공 관련 특수적인 능력과 함께 보편적인 직업생활에 필요한 직업기초능력을 규정하고 있다(한국산업인력공단, 2013). 공과계열 엔지니어 채용에 있어서도 공학 지식 응용력, 설계능력 등의 기술적 자질은 물론 의사소통능력, 팀워크 등의 일반적인 조직생활에 필요한 비기술적 자질을 중요한 평가요소로 보고 있다(강소연, 최금진, 2016). 대학에서도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직무역량 뿐만 아니라 조직생활에서 필요한 다양한 직업적 능력과 자질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을 확대하고 있는 추세이다(조성희, 강소연, 2012).
본 논문에서 장기현장실습 프로그램 성과에 관련된 요인들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에서 실습특성(실습범위, 실습내용, 실습지도, 복리후생), 실습만족, 실무역량 간의 영향관계가 집단 특성(성별, 전공유형. 기관유형)에 따라 어떠한 구조관계를 보이는지 연구한 결과는 어떠한가? 첫째, 전체집단에서 실습특성과 실무역량 간의 관계에서 만족도는 유의한 매개역할을 하였다. 실습특성의 모든 하위변인인 실습범위, 실습내용, 실습지도, 복리후생은 실습만족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실습만족은 실무역량에 정의 영향을 주는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은아와 이소영 (2016)의 만족도가 학습한 경험을 느끼는 정도로써 학습과정과 결과를 연결시키는 매개적 역할을 한다는 주장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Manganelli 외(2018)의 직무특성에 의해 강화된 만족감은 개인의 수행동기를 높여 웰빙, 수행능력과 같은 긍정적인 성과를 높였던 결과와 같은 맥락을 지닌다. 실습경험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높은 만족감은 실습활동에 더욱 몰입하고 충실하게 실습을 이행하게 하는 동인으로 작용하여 궁극적으로 역량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다. 특히 실무역량의 하위요인으로 비전공역량은 의사소통능력이나 팀워크 등과 같이 조직구성원과 관계를 맺고 사회생활을 잘하기 위한 역량이다. 따라서 실습기간 동안 멘토의 지원이나 멘토와의 관계십 등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 실습만족은 실습제도를 평가하는 단편적인 반응결과의 의미를 넘어, 취업과 사회생활에 필요한 역량을 높이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집단특성에 따른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성별유형에서 남성집단은 실습특성의 모든 하위변인인 실습범위, 실습내용, 실습지도, 복리후생이 실습만족에 정의 영향을, 실습만족은 실무역량에 정의 영향을 가지는 구조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집단은 실습내용, 실습지도만이 실습만족에 정의 영향을, 실습만족은 실무역량에 정의 영향을 가지는 구조관계가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여성이 실습기간동안 직무내용에 대한 도움도, 관련성에 더 민감하며, 지도 선배와의 관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전공유형에서 살펴보면, 기계계열 집단은 실습내용이 실습만족에 정의 영향을, IT계열 집단은 실습범위가, 경영계열 집단은 실습범위, 실습내용, 실습지도, 복리후생 모든 변인이, 기타계열 집단은 실습내용만이 실습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실습만족이 실무역량과의 관계는 모든 집단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관계로 나타났다. 기계계열 학생들은 전공특성상 설비, 생산시스템, 제어시스템, 공정관리 등의 작업현장에 배치 받는 경우가 많기에 직무의 내용이나 지도 선배의 지도가 다른 전공보다 더욱 중요하게 작용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비해 IT계열 학생들은 주로 프로그램 개발, 데이터분석 등의 지원부서로 배치받기에, 배정되는 직무크기나 양에서 배우는 학습내용이나 수준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차이가 실습만족이나 성과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좌우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경영계열 학생은 다양한 부서로의 배치가 가능하고 이로 인한 수행직무의 질적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에 실습내용이나 선배사원의 지도가 도움이 되었는지, 실습기관의 복리후생적 처우 등의 다양한 요인들의 수준여하가 중요하게 작용된 것으로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기타계열 학생은 신소재, 바이오, 디자인, 건축 등 분야의 전문성과 다양성으로 실습내용만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기관유형에서 살펴보면, 대규모기업 집단은 실습범위, 실습내용, 실습지도, 복리후생의 모든 하위변인이 실습만족에, 중소기업 집단은 실습내용, 실습지도가, 공기업 집단은 실습지도만이 실습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실습만족과 실무역량과의 관계는 모든 집단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규모기업은 기업의 규모가 큰 만큼 다양한 부서로 배치되어질 가능성이 높은 특성을 지닌다. 따라서 수행하는 과업 크기나 수준, 지도 선배와의 관계, 복리후생 등의 모든 조건이 실습만족을 결정하는 데 고려되는 중요 요인인 것을 보여준다. 중소기업은 상대적으로 소규모집단이기에 기관매칭에 있어서도, 기관의 직무기술서가 전공 관련 직무인지를 판단하고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기대했던 직무내용과의 차이가 발생한다거나 지도 선배와의 지도가 미흡할 경우 실습만족에도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보여준다. 공기업은 최근 학생들이 선호도가 높은 취업처로 실습범위나 내용, 복리후생은 충분히 수용될 수 있는 영역이나 지도 선배와의 관계와 친밀도의 수준에 따라 실습에 대한 만족도에 차이를 보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강소연.최금진(2016). 공학계열 졸업생의 직무역량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학교육학회, 19(2), 102-111. 

  2. 강흥구(2009). 사회복지실습 목표달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실습만족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 9, 1-21. 

  3. 강흥구(2011). 실습 선행과정요인이 실습목표달성도에 미치는 영향: 실습 수퍼비전과 실습세미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 15, 26-50. 

  4. 고가연 외(2019).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실습만족도, 셀프리더십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연구학회지, 3(1), 41-49. 

  5. 곽미선.정철영(2014). 국내 기업에서의 OJT 특성요인과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6(3), 159-179. 

  6. 곽현주.최은영(2018). 임금근로자의 일자리 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97(2), 103-140. 

  7. 김성희.이상곤(2018). 재학 중 현장실습과 취업 후 직무만족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장.단기현장실습의 비교. 공학교육연구, 21(1), 44-55. 

  8. 김유경.전미애(2016). 사회복지 현장실습에서의 학습경험이 실습에 대한 인식을 매개로 사회복지실천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0, 161-188. 

  9. 김종숙.윤지수(2014).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만족도가 학습성과 및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ndragogy Today: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7(4), 179-204. 

  10. 남화성.유미선(2018). IPP(장기현장실습)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K대학교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5(3), 129-157. 

  11. 도향선.조인주(2014).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 전공학생이 인식한 전문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29, 561-583. 

  12. 문윤경.강순희(2018). 델파이조사를 이용한 NCS기반 대학생구직역량 모형. 취업진로연구, 8(2), 23-45. 

  13. 민혜성.김영수(2004). 관광관련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 만족에 대한 연구. 호텔관광연구, 15, 67-82. 

  14. 박정희.이명주.구효진(2015). 치위생과 학생들의 임상실습내용에 따른 실습기관별 만족도. 한국치위생학회지, 15(4), 631-639. 

  15. 성미경 외(2016). 치위생 전공 학생들의 현장실습기관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치위생학회지, 16(3), 391-399 

  16. 송윤희(2017). 대학생의 현장실습교육 경험에 따른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및 융합역량 비교. 융합정보논문지, 7(3), 147-152. 

  17. 송익회.황일영.이남겸(2016). 호텔현장실습교육 참여의 중요도 인식이 현장실습 만족도와 취업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0(4), 179-187. 

  18. 엄기용.오창헌(2014).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장기현장실습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2013년 본 사업 대상.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6(1), 57-64. 

  19. 오창헌.엄기용(2015). 대학 장기현장실습 프로그램의 성과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기술교육대학교의 사례. 경영과학, 32(4), 155-173. 

  20. 유은진(2018). 항공관광과 학생의 현장실습 복리후생과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30(9), 421-441. 

  21. 유지원(2017).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현장실습교육에 따른 진로동기 및 전공만족도 변화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9), 1-21. 

  22. 이병희(2001). 청년 고용 문제, 눈높이 때문인가?. 산업노동연구, 17(1), 71-95. 

  23. 이지영.이상곤(2018). 장기현장실습 프로그램의 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K대학 IPP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21(5), 40-53. 

  24. 조성희.강소연(2012). 공학교육인증평가가 교육과정에 미친 영향 연구. 공학교육연구, 15(4), 58-65. 

  25. 조은아.이소영(2016). 문화예술 분야 사이버강좌에서 과제가치, 이러닝품질, 학습접근방식,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예술경영연구, 37(2), 5-38. 

  26. 차성종(2015). 문헌정보학 전공 학생의 현장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학제별 비교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2), 355-379. 

  27. 한국산업인력공단(2013).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매뉴얼 보고자료. 

  28. 한상미(2015). 2년제 대학 사회복지전공학생의 현장실습 성과영향요인. 청소년시설환경, 13(2), 99-110. 

  29. 한주빈.홍선미(2011). 수퍼비전이 사회복지 진로확신정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실습성과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사회복지교육, 15, 87-108. 

  30. Cheng, D., & Alcantara, L.(2007). Assessing working students' college experiences: A grounded theory approach. 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32(3), 301-311. 

  31. Doornbos, A. J., Simons, R. J., & Denessen, E.(2008). Relations between characteristics of workplace practices and types of informal work­related learning: A survey study among Dutch Police.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19(2), 129-151. 

  32. Lee, J. Y., Lee, S. K., & Lee, J. Y.(2019) What Kind of Job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for Improving Students' Competencies in Co-op Education : KoreaTech IPP Case.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11(2), 219-229. 

  33. Faerman, S., & Ban, C.(1993). Trainee satisfaction and training impact: Issues in training evaluation. Public Productivity Management Review, 16(3), 299-314. 

  34. Fortune, A. E., McCarthy, M., & Abramson, J. S.(2001). Student learning process in field education: Relationship of learning activities to quality of field instruction,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among MSW students.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37(1), 111-123. 

  35. Hackman, J. R., & Oldham, G. R.(1976). Motivation through the design of work: Test of a theory.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16(2), 250-279. 

  36. Kanno, H., Koeske, F.(2010). MSW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field placements: The role of preparedness and supervsion quality.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46(1), 23-38. 

  37. Kline, R. B.(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3rd ed.). New York, NY: Guilford Press. 

  38. Manganelli, L., et al.(2018). Self-determination theory can help you generate performance and well-being in the workplac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dvances in Developing Human Resources, 20(2), 227-240. 

  39. Merriam, S. B.(2001). The new update on adult learning theory. San Francisco: Jossey-Bass. 

  40. Narayanan, V. K., Olk, P. M., & Fukami, C. V.(2010). Determinants of internship effectiveness: An exploratory model.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 Education, 9(1), 61-80. 

  41. Waryszak, R. Z.(2000). Before, during and after: International perspective of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cooperative education placements in the tourism industry. Journal of Cooperative Education, 35(2/3), 84-94. 

  42. Willging, P. A., & Johnson, S. D.(2004). Factors that influence students' decision to dropout of online courses.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8(4), 105-1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