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산가공식품 중 알레르겐 고등어 혼입여부 신속 검출을 위한 간접효소면역분석법의 개발
Development of an Indirect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for Rapid Detection of Adulteration of Food Allergen Mackerel in Processed Marine Fo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3 no.3, 2018년, pp.185 - 192  

이정은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김아윤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김솔아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김효인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박지혜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심원보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수산가공품 중 고등어 어육을 신속하게 검출하기 위하여 고등어 어육 중 열 안정-수용성 단백질에 특이한 단클론성 항체(3A5-2)를 이용하여 indirect ELISA 법을 개발하였다. Indirect ELISA을 개발하기에 앞서 먼저 시료 전처리는 이전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이전 연구에서는 3A5-2 항체가 37 kDa 부근의 열 안정-수용성 단백질과 반응하였고, 0.05 M carbonate buffer로 추출하였을 때 흡광도가 가장 두드러지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indirect ELISA의 시료 전처리는 0.05 M carbonate buffer를 이용한 열처리 추출법으로 추출한 후 0.05 M PBS로 희석하는 것으로 확립하였고, indirect ELISA 법을 최적화하였다. 개발된 indirect ELISA법에 실험실에서 임의로 열처리한 고등어 샘플을 적용한 결과 indirect ELISA법은 0.001% (0% 흡광도 표준편차 양의 값: $0.0003{\times}3$)의 검출한계를 확인하였으며, 꽁치 중 고등어는 0.002%(0% 흡광도 표준편차 양의 값: $0.0006{\times}3$)까지 검출이 가능하였다. 또한 조리($100^{\circ}C$, 30분)와 멸균($121^{\circ}C$, 30분) 처리된 고등어의 검출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멸균된 제품에서도 고등어에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고등어의 혼입여부 판별도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시판되는 고등어 가공품에 대해서는 양성결과를 나타내었고 다른 수산물에서는 음성으로 판단되어 개발된 분석법은 가공품에 혼입될 수 있는 알레르겐인 고등어를 보다 신속하고 민감하게 분석할 수 있고, 점차 가격이 증가하고 있는 고등어의 혼입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분석 도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direct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indirect ELISA) based on a monoclonal antibody (MAb) that is specific to mackerel thermal stable-soluble protein (TSSP), that can be used for the rapid detection of mackerel in processed marine foods. Among the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 이러한 열 안정-수용성 단백질은 가공식품 중 존재하는 식품알레르겐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마커로써 이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연구에서 개발한 고등어 어육 중 열 안정-수용성 단백질에 특이한 단크론성 항체를 이용하여 간접효소면역분석법(indirect ELISA)을 개발하였고, 수산가공식품 중 식품 알레르겐으로서의 고등어 어육 혼입여부를 확인하는데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 알레르기는 어떤 현상인가? 식품 알레르기의 발병은 인체의 면역체계와 깊은 관련이 있으며 특정 항원이 포함된 식품을 섭취하거나 접촉·호흡했을 때 체내 면역글로불린(IgE)이 과도하게 반응하여 나타나는 현상으로, 대다수 사람에게는 별 영향이 없는 식품이지만 특이 체질을 가진 사람은 식품 알레르겐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증상으로는 두드러기·혈관 부종·아토피 피부염 등과 같은 피부 증상이 흔하게 나타나며 설사·구토·복통 등의 소화기 증상과 심한 경우 기관지가 확장되면서 기도가 좁아져 호흡곤란에 이를 수 있다1-3).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식품 알레르겐의 함유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식품 알레르겐의 함유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기기분석법(HPLC와 LC-MS/MS),특이항체를 이용하는 면역분석법(ELISA, immuno-strip),대상 DNA를 검출하는 유전자검사법(PCR)으로 나눌 수 있다15,16). 그러나 HPLC법은 표준품과의 머무름시간(retentiontime)을 비교하고, DAD (diode array detector)에서의 spectra를 확인하는 것이 유일한 화학적 정보이며, 분석물질의 표준품을 반드시 확보하고 있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식품 알레르겐의 함유유무를 판별하기 위한 방법으로 ELISA법이 있는데, 현재 개발된 kit들은 실제 산업에서 어떤 난점을 가지고 있는가? 실제로 식품산업현장에서 식품 알레르겐의 혼입유무 및 식품 알레르겐을 사용한 시설 및 설비 공정에서의 세척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ELISA법과 immuno-strip 등의 면역분석법 kit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는 면역분석법 kit들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특정 단백질을 대상으로 개발하였기 때문에 이들 단백질이 살균 및 조리 공정 등의 열처리 과정 중에 변성되면 실제 가공식품에는 적용하기 어려움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9). 현재까지 보고된 연구문헌 중 가공식품에 알레르기 검출 ELISA kit를 적용하였을 때 시판되고 있는 제품 kit 중 약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Lee H.K., Song W.J., Ha T.U.: A single or combined effects of IL-4 and other various cytokines on IgE production of human tonsillar mononuclear cells. Korean J. Immunol., 17, 193-201 (1995). 

  2. Okunuki H, Teshima R, Sakushima J, Akiyama H, Goda Y, Toyoda M, Sawada JI. Induction of active systemic anaphylaxis by oral sensitization with ovalbumin in mast-cell-deficient mice. Immunol. Lett., 74, 233-237 (2000). 

  3. Broide DH. Molecular and cellular mechanisms of allergic disease. J. Allergy Clin. Immun., 108, S65-S71 (2001). 

  4. Lim, K.M., Park S.M., Shim, B,S., Kim, S.K., Choi, S.L., Ahn K.S.: Effect of bulhwangeumjeonggi-san on cytokine levels of mouse th1/th2 cells and anti-allergic activity in ovalbumin-sensitized allergic inflammation model. Korean J. Oriental Physiology&Patholog., 20(6), 1467-1476 (2006). 

  5. The Korean academy of asthma allergy clinical immunology. Asthma and Allergic Diseases. Yeomungag Press, 445-469 (2012). 

  6. Lee, J.E., Kim, J.S., Shim, W.B.:Production of A monoclonal antibody (mab) against a thermal stable-soluble protein in mackerel and confirmation of the properties for the MAb. J. Food Hyg. Saf., 32, 1-7 (2017). 

  7. George, C.W., Susott, R.A.: Effects of ammonium phosphate and sulphate on the pyrolysis and combustion of cellulose. USDA Forest Service INT-90 (1971). 

  8. Loiseau, O., Cottin, J., Robert, R., Tronchin, G., Mahaza, C., Senet. J.M.: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specific for the genus Listeria. Immunol. Med. Microbiol., 11, 219-230 (1995). 

  9. Towbin, H., Staehelin, T., Gordon, J.: Electrophoretic transfer of proteins from polyacrylamide gels to nitrocellulose sheets: Procedure and some applications. Proc. Natl. Acad. Sci., 76, 4350-4354 (1979). 

  10. Faeste, C.K, Plassen C. Quantitative sandwich ELISA for the determination of fish in foods. J. Immunol., 329, 45-55 (2008). 

  11. Sletten G, Van Do T, Lindvik H, Egaas E, Florvaag E. Effects of industrial processing on the immunogenicity of commonly ingested fish species. Int. Arch. Allergy Imm., 151, 223-236 (2010). 

  12. Taylor SL, Nordlee JA, Niemann LM, Lambrecht DM. Allergen immunoassays-considerations for use of naturally incurred standards. Anal. Bioanal. Chem., 395, 83-92 (2009). 

  13. Son, D.H. and Kim, M.H.: Development of sandwich ELISA for the detection of mackerel in processed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1), 1-7 (2012). 

  14. Chen, F.C., Hsieh, Y-H.P.: Porcine troponin I: a thermostable species marker protein. Meat Sci., 61, 55-60 (2002). 

  15. Nhari, R., Hafidz, R.M., Hamid, M., Rasli, N.M., Omar, A.R., Sheikha, E., Mustafa, S.: Monoclonal antibodies specific to heat-treated porcine blood. J. Sci. Food Agric., 96, 2524-2531 (2015). 

  16. Chen, F.C., Hsieh, Y-H.P., Bridgman, R.C.: Monoclonal antibodies to porcine thermal-stable muscle protein for detection of pork in raw and cooked meats. J. Food Sci., 63, 201205 (1998). 

  17. Marion, M., Bradford: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ytical Biochemistry, 72, 248-254 (1976). 

  18. Asensio, L., Gonzlez, I., Garca T., Martn, R. Determination of food authenticity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Food Control, 19, 1-8 (2008). 

  19. Lee, J.H., Song, K. Y., Hyeon, J.Y., Hwang, I.G., Kwak, H.S., Han, J. A., Chung, Y. H., Seo, K. H.: Comparison of standard culture method and real-time pcr assay for detec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in processed and unprocessed foods. Korean J. Food Sci. An., 3, 410-418 (2010). 

  20. Hwang, E.S., Lee, T.U. Jung, D.Y., Cho, H.S.; Development of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method for the rapid and sensitive detection of bovine tuberculosis in Korea native cattle. Korean J. Veterinary Service., 4, 333-339 (2011). 

  21. MF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Notice 2017-15, Available from https://www.mfds.go.kr/index.do?mid686&pageNo1&seq11721&sitecode/ Accessed Mar. 08 (2017). 

  22.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 survey of fisheries production trends,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W0002vw_cdMT_ZTITLE&list_idF37&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Accessed Aug. 25 (2017). 

  23. KCA (Korea Consumer Agency): Need to improve labeling system for food allergens, Available from http://www.kca.go.kr/brd/m_32/view.do?seq2395&multi_itm_seq0/ Accessed Mar. 14 (2018). 

  24. NSC (Norwegian Seafood Council): 2017 Research on marine product consumption, Available from https://norge.co.kr/contentassets/f77cd3f4658e475b9f22b1024eb6e90a/nsc_seafood-study-2017/ Accessed Nov. 23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