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linical Competency Scale for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9 no.2, 2018년, pp.220 - 230  

김보영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소) ,  채명정 (광주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최연옥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an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Methods: The Clinical Competency Scale was formed through modification of Lee's Clinical Competency Scale that was originally developed in 1990. The Clini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Lee 등[7]이 개발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측정도구를 현재의 간호임상 및 간호교육의 상황을 반영하여 수정 ‧ 보완하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Lee 등[7]이 개발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측정도구를 현재의 간호임상 및 간호교육의 상황을 반영하여 수정하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수정 ‧ 개발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측 정도구는 간호리더십, 전문직 발전, 간호술기, 의사소통, 간호 과정의 5개 하위영역 총 3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 본 연구는 달라진 간호임상 및 간호교육의 상황을 반영하여 기존의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측정도구를 수정하여 개발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그 결과 리더십 12문항, 전문직 발전 5문항, 간호술기 5문항, 의사소통 7문항, 간호과정 5문항으로 총 34문항의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측정도구가 개발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Lee 등[7]이 개발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측정도구를 현재의 간호임상 및 간호교육의 상황을 반영하여 수정 ‧ 보완하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임상현장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임상수행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Lee 등[7]의 도구를 현재의 간호임상 및 간호교육의 상황을 반영하여 수정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임상수행능력 측정도구의 적용을 보다 타당화하기 위해 시도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교육에서 임상수행능력이란 무엇인가? 간호교육에서의 임상수행능력이란 특정 간호실무에서 간호대상자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자신이 가진 지식과 기술, 태도, 판단 등의 역량을 종합하여 바람직한 간호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5]. 임상수행능력은 간호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고[5], 간호서비스의 질을 높여주며, 교육자들이 기대하는 교육과정의 최종산물로서 학생들이 교육과정을 통해 경험하고 변화되는 것을 말한다[6].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임상수행능력 측정도구의 정립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교육에서의 임상수행능력이란 특정 간호실무에서 간호대상자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자신이 가진 지식과 기술, 태도, 판단 등의 역량을 종합하여 바람직한 간호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5]. 임상수행능력은 간호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고[5], 간호서비스의 질을 높여주며, 교육자들이 기대하는 교육과정의 최종산물로서 학생들이 교육과정을 통해 경험하고 변화되는 것을 말한다[6]. 한국간호교육평가원[2]에서도 간호대학생을 위한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학습성과로서 임상수행능력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하며, 간호대학생은 지식에 근거한 간호술을 실무에 적용하고 간호상황에 따른 핵심기본 간호술을 수행하며 치료적 의사소통 및 비판적 사고를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를 볼 때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며, 방법론적으로 타당한 과정을 거쳐 개발되고 수정된 도구의 정립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간호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무엇인가? 간호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다양한 임상현장에서 요구되는 이론과 기술을 습득하여 임상실무를 이해하고 능숙하게 수행하는 간호사를 배출하는 것이다[1]. 이를 위해 한국간호교육평가원(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2]에서는 보건의료현장에서 요구하는 간호사의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이론, 실습실 및 임상실습교육을 통해 노력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CH, Sung YH, Jung YY, Kim JS. Analysis of nursing care activities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experien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98;4(2):249-263. 

  2.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manual of nursing education [Internet].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7 [cited 2018 June 1] Available from: http://www.kabone.or.kr/HyAdmin/upload/filelinkFile/%A1%DA%B0%A3%C8%A3%B1%B3%C0%B0%C0%CE%C1%F5%C6%F2%B0%A1%20%B1%E2%C1%D8%C1%FD_%C8%A8%C6%E4%C0%CC%C1%F6%20%B0%D4%BD%C3(2017.3).pdf 

  3. Song KA, Park HJ, Yeom HA, Lee JE, Joo GE, Kim HJ.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new educational program, introduction to clinical nursing, for third yea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2;19(3):322-333. https://doi.org/10.7739/jkafn.2012.19.3.322 

  4. Lee OS, Gu MO.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skill, clinical competence &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6):2749-2759. https://doi.org/10.5762/KAIS.2013.14.6.2749 

  5. Campbell B, Mackay G. Continuing competence: an Ontario nursing regulatory program that supports nurses and employers. Nursing Administration Quarterly. 2001;25(2):22-30. 

  6. Byeon YS, Lim NY, Kang KS, Sung MS, Won JS, Ko IS, et al. Clinical nursing competency for new graduate nurses: A grounded theory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3;10(1):47-56. 

  7. Lee WH, Kim CJ, Yoo JS, Hur HK, Kim KS, Lim SM. Development of a clinical competency measurement tool for student. Yonsei Nursing. 1990;13:17-29. 

  8. Kim JY, Kim MK, Cho J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in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7;18(1):669-678. https://doi.org/10.5762/KAIS.2017.18.1.669 

  9. Choi M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effectiveness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5. 79 p. 

  10. Schwirian PM.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nurse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Nursing Research. 1978;27(6):347-351. 

  11. DeBack V, Mentkowski M. Does the baccalaureate make a difference?: differentiating nurse performance by education and experienc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1986;25(7):275-285. https://doi.org/10.3928/0148-4834-19860901-05 

  12. Rosenberg M. Self esteem scale. In: Ward MJ, Fettler ME. editor. Instruments for use in nursing education research. Boulder, Colorado: Western interstate commission for higher education; 1979. p. 169-170. 

  13. Park JW, Kim CJ, Kim YS, Yoo MS, Yoo H, Chae S, et al. Impac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general self-efficacy, and leadership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Medicine Education. 2012;24(3):223-231. https://doi.org/10.3946/kjme.2012.24.3.223 

  14. Shin KA, Cho BH. Professional self-concept,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2;19(1):46-56. https://doi.org/10.7739/jkafn.2012.19.1.046 

  15. Coates C. The evolution of measuring caring: moving toward construct validity. In: Watson J. editor. Assessing and measuring caring in nursing and health science. 2nd ed.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2009. p. 163-170. 

  16. Joo GE, Sohng KY. Development of nursing competence scale for graduati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4;28(3):590-604. https://doi.org/10.5932/JKPHN.2014.28.3.590 

  17. Martin JH, Kinnick VL, Hummel F, Clukey L, Baird SC. Developing outcome assessment methods. Nurse Educator. 1997;22(6):35-40. 

  18. Webber PB. A curriculum framework for nursing.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2;41(1):15-24. https://doi.org/10.3928/0148-4834-20020101-05 

  19. Lenburg CB. The framework, concepts and methods of the competency outcomes and performance assessment (COPA) model. The Online Journal of Issues in Nursing. 1999;4(2):1-12. 

  20. Polit DF, Beck CT, Owen SV. Is the CVI an acceptable indicator of content validity? appraisal and recommendation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2007;30(4):459-467. https://doi.org/10.1002/nur.20199 

  21. Field AP. Discovering statistics using IBM SPSS statistics. 4th ed. London, UK: Sage; 2013. 952 p. 

  22. Fayers PM, Machin D. Quality of life: The assessment, analysis and reporting of patient-reported outcomes. 3rd ed. Chichester, UK: John Wiley & Sons; 2015. 648 p. 

  23. Kim JS, Kim YM, Jang KS, Kim BN, Jeong SH. Concept analysis of nursing leadership.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5;21(5):575-586.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5.575 

  24. Choi AS, Oh PJ. A study on self-leadership, fall attitude, and nurses' behavior to prevent patient fal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3):394-403.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3.394 

  25. Sung MH. Factors influencing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2;18(1):18-24. 

  26. Lee I, Park CS. Factors influencing confidence in performance compete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by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5;22(3):297-307. https://doi.org/10.7739/jkafn.2015.22.3.297 

  27. Kim KY, Lee E. The relationship amo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nursing process competency and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in nurses working in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16;27(2):451-461. https://doi.org/10.7465/jkdi.2016.27.2.451 

  28. Song HS, Moon MY.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promoting nursing process education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7;17:445-462. https://doi.org/10.22251/jlcci.2017.17.5.445 

  29. Shin SH, Park 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powerment scale for woman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4):613-624. https://doi.org/10.4040/jkan.2015.45.4.613 

  30. Jang KS, Kim BN, Jeong SH, Kim YM, Kim JS. A study on evaluation system for nursing bachelor degree program outcomes: focus on improvement in nursing leadership abi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6;22(5):540-552.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5.54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