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절경 수술환자의 불확실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of uncertainty on patients with arthroscopic surger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6, 2018년, pp.311 - 319  

정지영 (원광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김민숙 (백석문화대학교 간호학과) ,  조유나 (충청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관절경 수술환자의 불확실성, 불확실성평가, 자기효능감의 정도를 파악하고 불확실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관절경 수술 후 퇴원을 앞둔 대상자 중 연구에 동의하고 설문지를 완성한 1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SPSS 18.0을 이용하여 t-test, ANOVAScheffe 사후검정,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산출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교육수준, 배우자유무, 수술 전 한방치료경험, 자기 효능감이 불확실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관절경 수술환자의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입원 중, 퇴원 전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gree of uncertainty, uncertainty appraisal, and self-efficacy in pre-discharge arthroscopic patient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ir uncertainty.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April to October 2016 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he subj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관절경 수술 후에 퇴원을 앞둔 환자의 불확실성이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에 따라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되어 이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고, 불확실성, 불확실성 평가,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와 불확실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관절경 수술 환자를 위한 효과적인 수술 후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퇴원 전 관절경 수술환자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불확실성, 불확실성 평가, 자기효능감의 정도를 조사하고, 불확실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최근 수술환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위암수술[13], 고관절수술[14], 허리척추수술[6]등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관절경 수술 후에 퇴원을 앞둔 대상자의 불확실성, 불확실성 평가,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와 불확실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 하여 관절경 수술환자를 위해 수술 전, 후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은 관절경 수술대상자들이 불확실성을 극복하도록 해주는 중요한 내적자원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관절경 수술 후 퇴원을 앞둔 대상자의 자기효능감을 확인하고 불확실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관절경 수술 시행의 특징은 무엇인가? 관절경은 관절 내부의 여러 가지 이상 소견에 대하여 진단뿐만 아니라 치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1]. 관절경 수술은 일반적으로 이상 소견이 있는 관절에 호전이 없고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의 통증, 부종, 운동장애 그리고 마찰음이 있는 경우에 시행될 수 있는 데, 수술기술 및 기구의 발달로 인체의 거의 모든 관절 즉, 무릎, 어깨, 손목, 팔꿈치, 발목, 둔부 및 손가락 관절 등에서 시행된다[2].
환자들이 불확실성을 인지하는 때는 언제인가? 불확실성은 사건이나 상황이 의미하는 바를 이해하지 못하거나, 발생한 사건이나 상황의 결과를 예측할 수 없을 때 발생하는 질병, 치료과정, 입원에 대한 환자의 주관적인 인지 상태이다[4]. 환자들은 자신이 갖고 있는 질환에 대하여 정확하게 인식을 하지 못할 때 또는 질환에 대하여 인식은 하지만 치료방법이나 관리에 대하여 스스로 판단이 잘 서지 않을 때 불확실성을 인지하며 그 결과, 부가적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게 된다[5]. 관절경 수술을 받는 대상자들은 절개 부위가 적어서 빨리 회복하고 통증과 불편감이 최소일거라 기대하면서 입원한다.
배우자가 있는 대상자의 불확실성점수가 높았던 이유는 무엇인가? 척추수술환자나 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 [6,23]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배우자가 있는 대상자의 불확실성점수가 높았다. 이는 관절경 수술이 절개수술에 비해 입원기간이 짧아, 퇴원 후 바로 일상생활을 시작해야 하는 상황이 배우자가 있는 대상자의 불확실성을 높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J. H. Ahn, S. E. Lee, S. Lee & W. S. Rhi. (1987). The Removal of Loose Bodies from the Knee Under Arthroscopic Control.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22(1), 103-108. 

  2. J. H. Ahn. (1999). Arthroscopic Synovectomy. Journal of Rheumatic Diseases, 6(1), 1-5. 

  3. C. H. Cho, K. K. Yeo, S. Y. Lee & G. H. Jung. (2010). Mini-open Rotator Cuff Repair Using Anterolateral Approach. CiSE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13(1), 86-91. 

  4. M. H. Mishel. (1988). Uncertainty in illness. Image 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4), 225-232. 

  5. N. Y. Yang & M. J. Kim. (2002). Concept Analysis of Uncertainity Related to Illnes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4(2), 187-194. 

  6. M. H. Jun, J. Y. Jung & M. S. Kim. (2012). Factors Affecting Post-operative Uncertainty of the Patients Undergone Lumbar Spinal Surgery.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9(3), 294-307. 

  7. M. H. Mishel. (1990). Reconceptualization of the uncertainty in illness theory. Image 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2(4), 256-262. 

  8. M. J. Lee. (2009). Uncertainty, appraisal of uncertain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recovering clients discharged from hospital after CABG. Ewha Journal of Nursing Science. 21(1), 49-63. 

  9. H. S. Jang, C. S. Lee & Y. H. Yang. (2015). Influence of Uncertainty and Uncertainty Appraisal on Self-management in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5(2), 271-279. 

  10. A. Bandura. (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 122-147. 

  11. M. Y. Chon & S. A. Kang. (2014). The effect of uncertainty, family support and self-efficacy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 with diabetic foot diseases at hom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1(2), 260-271. 

  12. Y. J. Kang. (2015).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uncertain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3. E. H. Seong & M. S. Hong. (1995). The Effect of Preparatory Information on Uncertainty, Anxiety and Depression of Post Operative Patient with Gastric Cancer.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7(2), 245-258. 

  14. S. H. Kim & H. J. Lee. (2013). Effects of Supportive Nursing Care Program on Hip Function, Anxiety and Uncertainty for Patients with Total Hip Arthroplast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9(3), 419-431. http://doi.org/10.22650/JKCNR.2013.19.3.419 

  15. F. Faul, E. Erdfelder, A. Buchner & A. G. Lan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16. C. W. Chung, M. J. Kim, M. H. Rhee & H. G. Do. (2005). Functional Statu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Korean Journal Women Health Nursing, 11(1), 58-66. 

  17. M. H, Mishel & D. S. Sorenson. (1991). Uncertainty in gynecological cancer: A test of the mediating functions of mastery and coping. Nursing Research, 40(3), 167-171. 

  18. E. S. Teresa, L. B. Martha & J. M. Gail. (1996).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and Onset of ADL Disability: MacArthur Studies of Successful Aging.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1996, SIB(4), I9I-2OO. 

  19. K. O. Lee. (2007). (A)Structural analysis of successful aging factors of rural elders. Unpublished docto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 K. Ryu & S. H. Cho. (2015). The Effects of Visual Information on Anxiety and Uncertainty in Elderly Patients after the Total Knee Arthroplasty.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2(1), 48-56. http://dx.doi.org/10.5953/JMJH.2015.22.1.48 

  21. M. Y. Chon & S. A. Kang. (2014). The Effect of Uncertainty, Family Support and Self-efficacy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 with Diabetic Foot Diseases at Ho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1(2), 260-271. 

  22. M. H. Mo & B. Y. Chung. (2017). Influencing Factors on Uncertainty of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for Lung Neoplasms.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4), 248-259. http://doi.org/10.5762/KAIS.2017.18.4.248 

  23. S. H. Cho & K. S. Yun. (2016). Influence of Uncertainty, Physiologic Risk Factors, Self-efficacy on Self-management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3(2), 114-124. http://dx.doi.org/10.5953/JMJH.2016.23.2.114 

  24. I. S. Lee & C. S. Park. (2017). Convergent Effects of Anxiety, Depression, Uncertainty, and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Thyroid cance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8), 163-176. http://doi.org/10.15207/JKCS.2017.8.8.163 

  25. K. H. Nam, Y. S. Tae, C. S. Kim & S. M. Lee. (2017). Influence of Uncertainty and Uncertainty Appraisal on Quality of Life in Prostate Cancer Patients after Prostatectomy. Asian Oncology Nursing 17(1), 45-54. http://dx.doi.org/10.5388/aon.2017.17.1.45 

  26. K. Yeong & S. Y. Hwang. (2018). Impact of Uncertainty on the Quality of Life of Young Breast Cancer Patient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Marital Intimacy.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8(1), 50-58. http://doi.org/10.4040/jkan.2018.48.1.50 

  27. Y. H. Jeon & G. J. Park. (2018). Relationships between Specific self-efficacy, Family support, and Self-care performance for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after Gastrectom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1), 456-465. 

  28. E. J. Lee. (2017). Perceptions of quality of patient-centered nursing care, pain, anxiety and self-efficacy among cancer patients with surgery in Korea: A correlational study.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9. S. H. Kim. (2011). Comparison of factors affecting uncertainty between the patients with lung cancer in adult and the elderly.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