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협응이동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걷기에 미치는 효과 -단일사례설계-
The Effect of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on Walking in a Chronic Stroke Patient -A Single Subject Design- 원문보기

PNF and movement, v.16 no.1, 2018년, pp.7 - 17  

김진철 (광주 씨티병원) ,  이문규 (더랩 프렌즈) ,  이정아 (더랩 협동조합) ,  고효은 (천사 요양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in a chronic stroke patient. Methods: A left hemiplegic patient diagnosed with a right middle cerebral artery strok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patient's functional conditions were assessed,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ICF의 개념을 이용하여 치료사는 임상 실기를 포괄적이고 통합된 계획을 구성할 수 있는 논리적인 도구와 치료사가 갖추어야 할 사고의 틀로 사용한다. 그래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 실기에서 협응이동훈련을 적용하여 만성 뇌졸중 환자의 걷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 장거리 보행을 일차 목표로 삼았다. 목표를 삼은 활동 수준에서 손상들을 규명하고 서로 어떤 요인들이 상호작용을 하였는지 인과관계를 파악하여 문제를 목록화하였다. 그렇게 규명된 문제 목록을 해결하기 위하여 협응이동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지역사회 걷기 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상자의 지역사회 걷기 활동이 향상되었다.
  • 이러한 연구 배경을 토대로, 본 연구는 보행 훈련의 효과를 치료실 내 환경에서만 평가한 기존의 연구와 달리 실제 환경인 지역사회에서 환경적 과제인 장애물 피하기, 경사로 오르고 내리기, 자갈밭 걷기, 교차로 걷기로 구성하여 지역사회 걷기 활동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 대상자의 지역사회 걷기 거리가 기초 선에 비해 중재를 적용한 기간에 향상되었고 중재가 끝난 기간에도 향상된 거리를 유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협응이동훈련(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CLT)은 뇌졸중 환자의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는가? 특히, 이러한 목적 있고 의미 있는 움직임을 수행하려면 섬세하고 조화로운 운동 기술이 뒷받침되어야 하는데, 이 움직임의 가장 기본적인 전제 조건은 협응이다. 뇌졸중 환자는 몸통과 골반, 팔과 다리의 분절에서 움직임의 순서가 뒤바뀌게 되는 비대칭적인 형태를 보인다(Lamontagne et al., 2005). 예를 들면, 보행을 할 때 지면에서 발을 들어 올리는 쪽의 골반,엉덩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이 조절되지 않거나 지면을 닿는 쪽의 발은 체중을 충분히 수용하지 못하고 무너지는 경우이다. 또 몸통과 머리는 보행시 안정자 역할을 하지 못하여 팔과 다리를 섬세하게 조절하지 못하는 협응에 문제를 보인다(Wagenaar & Beek,1992).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 분절에 대해 패턴을 통합하여 운동과 훈련 목적으로 고안한 것이 바로 협응이동훈련(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CLT)이다(Kim, 2006).
이동(locomotion)의 정의는 무엇인가? 보행은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locomotion)하는 것으로 인간이 삶을 영위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방식이다. 이동(locomotion)은 팔과 다리의 움직임이 필요하며, 각 분절의 연속적이고 반복적인 주기로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활동이다. 이러한 복합적인 활동은 시⋅공간적인 영역에서 다른 신체 분절과 관절들은 상호작용을 하며, 구간에서 주기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능력을 협응적 보행이라 한다(Krasovsky & Levin,2010).
협응적 보행이란 어떤 능력을 말하는 것인가? 이동(locomotion)은 팔과 다리의 움직임이 필요하며, 각 분절의 연속적이고 반복적인 주기로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활동이다. 이러한 복합적인 활동은 시⋅공간적인 영역에서 다른 신체 분절과 관절들은 상호작용을 하며, 구간에서 주기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능력을 협응적 보행이라 한다(Krasovsky & Levin,2010). 이때 분절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협응은 기능적인 보행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Roerdin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da L, Dean CM, Lindley R, et al. Improving community ambulation after stroke: the ambulate trial. BMC Neurology. 2009;9(8):1-6. 

  2. Americ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APTA endorses World Health Organization ICF model. Available from: http://www.apta.org/Media/Releases/APTA/2008/7/8/. 

  3. Bickenbach J, Cieza A, Rauch A, et al. ICF core sets: manual for clinical practice for the ICF research branch, in cooperation with the who collaborating centre for the family of international classifications in germany (DIMDI) Hogrefe Publishing. 2012. 

  4. Botolfsen P, Helbostad JL, Moe-nilssen R, et al. 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expanded timed up-andgo test in older people with impaired mobility. Physiotherapy Research International. 2008;13(2):94-106. 

  5. Dean CM, Richards CL, Malouin F. Walking speed over 10 meters overestimates locomotor capacity after 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2001;15(4):415-421. 

  6. Dietz B. Let's sprint, letts skate innovason en irn pnf-konzept. Heidelberg. Splinger. 2009. 

  7. Dietz B, Tae-yoon K, Lang E, et al. Let's sprint, let's skate. Heidelberg.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9. 

  8. Dietz V. Interaction between central programs and afferent input in the control of posture and locomotion. Journal of Biomechanics. 1996;29(7):841-844. 

  9. Dietz V. Do human bipeds use quadrupedal coordination? Trends in Neurosciences. 2002;25(9):462-467. 

  10. Goldie PA, Matyas TA, Evans OM. Deficit and change in gait velocity during rehabilitation after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1996;77(10):1074-1082. 

  11. Hill K, Ellis P, Bernhardt J, et al. Balance and mobility outcomes for stroke patients: a comprehensive audit. Australian Journal of Physiotherapy. 1997;43(3):173-180. 

  12. Kelly-Hayes M, Beiser A, Kase CS, et al. The influence of gender and age on disability following ischemic stroke: the framingham study.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2003;12(3):119-126. 

  13. Kelso JS, Schoner G. Self-organization of coordinative movement patterns. Human Movement Science. 1988;7(1):27-46. 

  14. Kelso JS, Southard DL, Goodman D. On the nature of human interlimb coordination. Science. 1979;203(4384):1029-1031. 

  15. Kim TY. The effect of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the sprinter/skater patterns. Kore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ssociation. 2006;4(1):71-79. 

  16. Krasovsky T, Levin MF. Review: toward a better understanding of coordination in healthy and poststroke gait.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010;24(3):213-224. 

  17. Kugler PN, Kelso JS, Turvey MT. On the concept of coordinative structures as dissipative structures: I. Theoretical lines of convergence. Advances in Psychology. 1980;1:3-47. 

  18. Lamontagne A, De Serres SJ, Fung J, et al. Stroke affects the coordination and stabilization of head, thorax and pelvis during voluntary horizontal head motions performed in walking. Clinical Neurophysiology. 2005;116(1):101-111. 

  19. Landau WM, Sahrmann SA. Preservation of directly stimulated muscle strength in hemiplegia due to stroke. Archives of Neurology. 2002;59(9):1453-1457. 

  20. Lerner-Frankiel MB, Vargas S, Brown M, et al. Functional community ambulation: what are your criteria. Clinical Management in Physical Therapy. 1986;6(2):12-15. 

  21. Lord SE, McPherson K, McNaughton HK, et al. Community ambulation after stroke: how important and obtainable is it and what measures appear predictiv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4;85(2):234-239. 

  22. Michael KM, Allen JK, Macko RF. Reduced ambulatory activity after stroke: the role of balance, gait, and cardiovascular fitnes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5;86(8):1552-1556. 

  23. Patla AE, Shumway-Cook A. Dimensions of mobility: defining the complexity and difficulty associated with community mobility.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1999;7(1):7-19. 

  24. Perry J, Garrett M, Gronley JK, et al. Classification of walking handicap in the stroke population. Stroke. 1995; 26(6):982-989. 

  25. Peters DM, Fritz SL, Krotish DE. Assess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shorter walk test compared with the 10-meter walk test for measurements of gait speed in healthy, older adults. Journal of Geriatric Physical Therapy. 2013;36(1):24-30. 

  26. Pohl PS, Duncan PW, Perera S, et al. Influence of stroke-related impairments on performance in 6-minute walk test.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2002;39(4):439-444. 

  27. Pound P, Gompertz P, Ebrahim S. A patient-centred study of the consequences of 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1998;12(4):338-347. 

  28. Roerdink M, Lamoth CJ, Kwakkel G, et al. Gait coordination after stroke: benefits of acoustically paced treadmill walking. Physical Therapy. 2007;87(8):1009-1022. 

  29. Shumway-Cook A, Horak FB. Assessing the influence of sensory interaction of balance. Suggestion from the field. Physical Therapy. 1986;66(10):1548-1550. 

  30. Thomas G. The co-ordination and regulation of movements. Psyccritiques. 1967;12(9):468. 

  31. Wade MG, Jones G. The role of vision and spatial orientation in the maintenance of posture. Physical Therapy. 1997;77(6):619-628. 

  32. Wagenaar R, Beek W. Hemiplegic gait: a kinematic analysis using walking speed as a basis. Journal of Biomechanics. 1992;25(9):1007-1015. 

  33. Wolf SL, Catlin PA, Gage K, et al. Establish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ments of walking time using the emory functional ambulation profile. Physical Therapy. 1999;79(12):1122-11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